저도 @봄솔 @연해 님 말씀에 공감..^^ 전 지금까지 채팅 모드로만 계속 써와서 게시판 모드는 이번에 첨 써봤는데 이걸 이용하니 예전 글에 새로 덧글이 올라온 건 놓치기 쉽네요;; @연해 님처럼 저도 글을 되도록 놓치지 않고 다 읽어보는 OCD적 경향이;;;
개인적으로 전 느리게 읽기도 하지만 시공간의 제약 때문에 그믐 게시판에 들어오고 글 다 읽고 제 덧글 쓰는 것도 느려서 그냥 저만의 스케쥴에 제 페이스로 과거의 덧글들과 대화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제가 고전작품을 좋아하는 이유도 시공간을 거슬러서 옛 작가들과 대화하는 기분이어서 좋아하는데 그믐도 약간 그런 기분이에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borumis

연해
그믐과 고전작품의 연결고리라니! 너무 신선합니다. 세월이 흘러도 고전만이 갖고 있는 클래식함이 있죠. 저도 좋아해요. @borumis 님 말씀처럼 시공간을 거슬러서 과거의 댓글에 뒤늦게 답하기도 하지만(저는 아직 여기 머물러 있네요ㅋㅋㅋ), 그 과정이 편안합니다. 카톡처럼 재촉당하는 느낌이 없어서 좋아요. 남겨주신 댓글들 읽다가 혼자 웃음 터지기도 하고, 끄덕끄덕하기도 하고. 몸은 떨어져있지만 이 공간에서 같이 연결된 느낌이라 든든하네요.

dobedo
@연해 저도 재촉당하는 느낌 없이 제 속도로 읽을 수 있어서 좋더라고요.

흰벽
그믐만의 시공간과 세계관, 넘 공감 가네요. 일반적인 플랫폼과 비교할 때 마치 프랜차이즈 카페와 개성 있는 개인 카페 같은 느낌이랄까요-
수정이 안 되니까 더 신중하게 댓글을 쓰게 되는 것도 좋았지만, 저는 모든 모임의 글들이 다 공개라는 게 좋더라고요. 책임감 있는 대화를 위한 거라고 하지만 어떤 면에서는 오히려 문턱을 낮춘 면도 있는 것 같아요. 모임에 참여하지 않거나 이미 종료된 모임이라도 대화를 보면서 여러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점에서. 뭔가 책이라는 매체와 닮은 느낌? 책은 모두에게 열려 있잖아요.

borumis
그러게요. 아까 그믐처럼 고전 작품들이 마치 시공간을 넘어 옛날 작가들과 대화하는 것 같다고 했는데 고전 작품들은 대개 저작권이 소멸된 public domain에서 아무나 볼 수 있는 점도 비슷하네요. 그믐과 책은 모두에게 열려 있는데.. 심리적 문턱만 낮춰진다면 진정한 생각과 대화의 장이 될 수 있지 않나 싶네요.

봄솔
@흰벽 맞아요.
아카이브 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이 모든 정보들을 나중에 인공지능 프로그램을 써서 습득한다면
나에게 어떤 정보를 제시하고 인사이트를 줄까 하는 기대도 해봅니다 ㅎ

새벽서가
어떤 이유에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모임지기님의 설정에 따른건 아닌지 조심히 유추해보고 있는데), 게시판 모드로 읽고 나갔다가 다시 들어오면 채팅모드로 바뀌어 있더라구요. 일단 매번 바꿔가며 사용해보고 있습니다. ^^

장맥주
사실 그믐 개발이나 운영에 제가 별로 간여하지 않아서 저도 자세한 설정은 잘 모르는데, 아마 이 모임을 모임지기가 채팅 모드로 설정을 해놓은 거 같습니다. ^^

새벽서가
그렇게 유추하고 있었습니다.

오구오구
4장 호르몬에 대 해 읽다보니 몇년전 읽은 책이 생각나네요. 암컷들, 너무너무 재밌게 읽었어요. 성에 대한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고 다양성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던 책입니다.

암컷들 - 방탕하고 쟁취하며 군림하는마다가스카르의 정글과 케냐의 평원, 하와이나 캐나다의 바다 등을 종횡무진 모험하면서, 진화생물학의 최전선을 걷고 있는 연구자들을 만난다. 바람둥이 암사자, 레즈비언 알바트로스, 폭압의 여왕 미어캣, 여족장 범고래 등 수컷보다 방탕하고 생존을 위한 투사로 살아가며 무리 위에 군림하는 자연계 암컷들의 진면목을 박진감 넘치는 스토리텔링으로 펼쳐 보인다.
책장 바로가기

꽃의요정
저도 이 책 조금 어렵지만 꽤 흥미롭게 읽었어요. 근데 읽다 말았.....다시 제대로 각 잡고 읽어 봐야겠어요!

YG
내일(1월 7일 화요일)과 모레(1월 8일 수요일) 읽을 4장의 주인공은 호르몬인데요. @오구오구 님께서 『암컷들』 추천해주셔서 저도 덧붙입니다. 4장을 깊이 있게 이해하기에 좋은 책은 『크레이지 호르몬』(동녘사이언스)과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어크로스)입니다.
각각 원서가 2018년과 2022년에 나온 책 인데요. 『크레이지 호르몬』은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호르몬 연구의 역사(약 100년)를 훑으면서 호르몬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는 현직 내분비 전문의가 쓴 '호르몬에 대한 모든 것' 같은 책이에요. 이 두 권과 4장을 읽으면 거의 호르몬에 대해서는 엄지 척! :)

크레이지 호르몬호르몬이 성 분화에 어떤 영향을 얼마나 미치는지에 관한 답을 제시한다. 또한, 남성도 여성도 아닌 간성인들의 삶을 들려줌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남성과 여성’이라는 이분법적인 성별 시스템을 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 - 순간의 감정부터 일생의 변화까지, 내 삶을 지배하는 호르몬의 모든 것세계적인 내분비 전문의인 막스 니우도르프 교수는 《호르몬은 어떻게 나를 움직이는가》에서 임신과 출산을 통한 생명의 탄생부터 갱년기 이후의 새로운 호르몬 균형이 나타나는 시기까지, 삶의 각 단계마다 호르몬이 어떻게 다양한 신체 기능을 활성화하고 지시하는지 소개한다.
책장 바로가기

dobedo
@YG 엄지척이라고 하시니 빨리 도전하고 싶어지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