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연해 저도 그래요 아는게 무섭다고 ㅋㅋ 조금 아는걸로 전체를 생각하면 안되는데 꽤 많은 상황이 노이즈와 비교해서 생각해보게 되네요 하하하
학창시절에도 제가 어렴풋이나마 아는 게 나오면 괜히 반갑고, 그 파트만 엄청 열심히 공부하게 되는(그 페이지만 너덜너덜함...) 부작용이 있었는데, 나이를 먹어도 여전히 그러고 있습니다(하하하). 이번에 읽은 <행동>도 어딘가에서 '앗! 이 행동은!'이라고 설명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용어들이 난해해 입에 붙지도 않습니다. 등쪽가쪽이마앞옆 겉질... 발음도 어려웠어요. 4장까지 읽었는데도, 아직 저 용어들의 충격에서 벗어나질 못하고 있어요(처음에는 오타인 줄 알았는데, 뒤에 반복적으로 계속 나와서 더...).
사랑 호르몬인 옥시토신은 우리 편에게는 친사회성을 더 발휘하도록 만들지만 그밖의 타인들에게는 더 못되게 굴도록 만든다. 이것은 보편적 친사회성이 아니다. 자민족 중심주의와 외국인 혐오일 뿐이다. 달리 말해, 이 신경펩타이드들의 행동은 맥락에 따라 극적으로 달라진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호르몬 농도가 극단적으로 역동적이라, 몇 시간 만에 백 배로 달라지기도 한다. 어느 남자의 고환도 배란이나 출산의 내분비학을 겪을 일은 없다. 무엇보다도, 이런 내분비학적 동요를 실험동물에서 재현하기가 까다롭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Stress induced displacement aggression. 예전에 미국 경찰관이 제게 해준 말인데요 일년에 가정 폭력 신고가 가장 많이 나는 날은 북가주 football team, Raiders (지금은 라스베가스 팀) 팀이 경기를 진 날이래요. 이 팀의 팬들이 아주 광적인 것으로 유명하거든요. 그래서 이 경찰은 무조건 Raiders를 응원한다는. 웃픈 이야기가 생각났아요.
ㅎㅎㅎ 안그래도 테스토스테론이 스포츠 경기에서 증가하는 거 보고 훌리건들이 생각났는데.. 헤유..
Stress induced displacement agression을 우리말 속담으로 바꾸면 '종로에서 뺨맞고 한강에서 눈 흘긴다'네요. 코로나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가장 심했을 때도 부부싸움 및 폭력, 아동폭력이 심각하게 늘었다고 하는데.. 가장 약한 자에게 스트레스를 푸는 폭력이 전위되는 것 같군요.
저는 코로나가 아니어도 가족은 좀 심리적 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울엄닌 우리집 식구들이 재미없다고 하는데 재밌게 지낼려고 하면 꼭 싸우게 되더라고요. 인간 내면엔 공격성이란 게 존재해서 그런 것 같더군요. 집에서 살아남기 쉽지 않아요. ㅋ
ㅋㅋㅋ 저도 가끔 그 거리가 필요해서 저만의 시간을 가지러 나갑니다..
testosterone levels can rise robustly in "losers" who nonetheless performed far better than they anticipated. (...) We all belong to numerous hierarchies, but some of the most powerful are the ones in our heads based on our internal standards.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주석,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주석에 있는 문장이지만 참 마음에 들어서 밑줄쳤습니다. 처음으로 마라톤 대회에 나갔을 때 비록 겨우 5km 코스였고 4등으로 들어왔지만.. 저는 실은 이전엔 5분도 못 뛰던 심한 운동치여서 아예 완주도 못할 줄 알았기에 개인적으로 너무 기쁘고 뿌듯했거든요. 안그래도 런너스 하이로 엔돌핀도 막 펌핑하는데 도파민도 미친 듯이 뿜어나왔을 것 같아요. 나중에 사진 찍힌 걸 보니 도착지에 들어올 때 땀은 범벅이지만 표정은 활짝 웃고 있더라구요. 남들이 정한 순위보다 제자신이 내면적으로 정한 순위로 저는 위너였으니까요.
In our world riddled with male violence, the problem isn't that testosterone can increase levels of aggression. The problem is the frequency with which we reward aggression.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그렇지만 여성들 사이에도 공격성은 많이 발휘된다. 사람들은 이 현상을 정신병리학적 논증으로 일축하려고 들었다. 가령 침팬지 암컷이 살해를 저지르면, 그 암컷이 미쳐서 그렇다고 했다. 여성의 공격성을 내분비학적 ‘과잉’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옥시토신 호르몬이 사랑의 호르몬이었군요. 자궁수축 모유생성에 도움이 된다. 출산 전 조산을 막기 위해 옥시토신을 맞는다 이런 이야기는 들어본적이 있었는데 옥시토신 분비가 잘 되는 사람은 인류애도 넘칠수 있구나 하고 생각했습니다. 사랑을 느낄때 분비가 잘 되는 호르몬이라 애착관계에 있는 사람과의 유대감이나 반려동물과의 관계에서 분비가 활발하다고 하는데 결국 가화만사성이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게 아니구나. 옛날 사람들 참 현명하다는 생각이 드네요. 남편과의 관계가 좋고 신뢰감이 있고 정서적 안정이 되어야 옥시토신 분비가 활발하게 되서 아이들도 모성애로 돌볼수 있겠다. 유난히 모성애가 없다? 남편과의 관계를 생각해봐야 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 큐피트가 사랑의 묘약을 발랐다는것도 옥시토신을 코 점막에 몰래 발라준게 아닐까 상상해보니 재밌네요. 남편이 열받게 한다? 이러면 여보 당신을 보니까 내가 옥시토신 분비가 좀 안되는거 같은데 애들도 보기가 싫으네? 육아를 못하겠어 라고 협박 해보면 어떨까... (나중에 써먹어야지 )
저도 안그래도 주석에 나왔던 Liquid trust 어디서 구해볼까 혹해지기도 ㅎㅎㅎ 실제로 아마존에서도 팔고 있네요;;; social pheromone이라네요..ㅋㅋㅋ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6093782/pdf/nihms-981314.pdf 책의 reference로 나와있는 논문들은 free article을 못 찾아서 이걸 언급하고 리뷰한 Sadino와 Donaldson의 논문을 찾아봤는데 유전학적 조절 기전 뿐만 아니라 후생유전학적 조절 기전까지 복합적으로 밝혀지고 그걸 gene translation(gene therapy?)에 이용하다니 재미있네요. 그리고 자폐증에 관련된 연구도 이전부터 많은 관심을 가진 건데.. 수많은 자폐스펙트럼 환아와 부모들에게 중요한 연구일 것 같아서 링크 올려봅니다. https://www.jneurosci.org/content/jneuro/32/41/14109.full.pdf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1764849/pdf/rstb20061939.pdf
놀랍게도, 심지어 영장류(보노보, 여우원숭이, 마모셋원숭이, 타마린원숭이), 바위너구리, 설치류(캘리포니아생쥐, 시리아골든햄스터, 벌거숭이뻐드렁니쥐) 등 어떤 종들은 암컷이 수컷보다 사회적으로 지배적이고 더 공격적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아 rock hyrax가 바위너구리군요. 중동 및 사하라지대에 사는 바위너구리와 호주의 쿼카를 비교한 사진을 볼 때마다 항상 웃음이 나와요. 바위너구리는 코끼리와 연관된 종이고 쿼카는 유대류 중 하나여서 연관은 적지만 비슷하게 생겼는데 바위너구리는 쿼카의 다크 버젼 같더라구요. 여자 바위너구리가 사나운 거 납득..ㅋㅋㅋ 사진에서 왼쪽은 쿼카이고 오른쪽은 바위너구리입니다. ㅎㅎㅎ
아니, 이거 사진만 봐도 성깔을 바로 알 거 같은... 일부러 이렇게 대조적인 사진을 붙여 놓은 거겠죠? ㅎㅎㅎ 쿼카는 인형극에 나올 것처럼 생겼네요. 세사미스트리트에서 튀어나온 거 같습니다.
@borumis 정말로 비슷하게 생겼는데 인상이 반대네요! 귀염둥이 쿼카!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