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거의 모든 문제가 '사고' 보다는 '정서'에서 온다고 봐요. 제 3자의 입장에서 이야기할 때는 이성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공통된 의견' 쪽으로 다들 합의를 보는데, '왜 그 사람이 그런 이상한 행동을 했지?'를 따지고 보면 항상 '정서적(감정적)'으로 용납할 수 없는 지점 때문에 그런 이상 행동을 한 거 같아서요.
좀 상관없어 보일 수 있지만, 아래의 글을 '옥타비아 버틀러의 말'에서 발견했는데, 딱 저런 느낌이에요.
-------------------------------------------------------------------------------------------------
어떤 정치가는 화가 나서 이렇게 말할 수도 있어요.
‘수백만 명을 도울 수 있다 해도 이 법안은 통과시키지 않겠어. 네가 내 권위를, 나 개인의 능력을 존중하지 않았으니까!’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꽃의요정

테사
우리는 모두 수많은 위계에 포함되어 살아가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강력한 위계는 자신의 내적 기준에 의거하여 자신의 머릿속에 세운 위계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p.130,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테사
“ 심리적 스트레스의 요체는 통제력과 예측력의 상실에 있다. 하지만 우호적인 환경이라면 우리는 예측하지 못한 것의 도전을 즐기기 위해서 기꺼이 통제력과 예측력을 포기한다. 롤러코스터의 급강하, 소설의 반전, 내 쪽으로 날아오는 까다로운 직선 타구, 체스 상대의 뜻밖의 수. 나를 놀라게 해봐! 이것은 재미있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p.156,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봄솔
개코원숭이와 버빗원숭이 암컷들은 월경 전에 더 높은 공격성과 더 낮은 사회성을 보인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 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봄솔
월경전이라고 나오지만 엄밀히 보자면 배란기와 배란기 이후를 말하는것이 아닐까싶네요.
본능적으로 배란기에는 원하는 상대와의 짝짓기를 통해 종족을 번식하고 싶어 할것 같고 본능에 따라 배란기 이후부터 월경 전까지는 위임신 증상을 느끼며 몸을 보호하려고 해서 공격성과 사회적 능력이 낮아지는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관련 논문이 있다면 찾아보고 싶지만 마음만 갖는 것으로 .. ㅎㅎ

borumis
책에는 월경 전이라고 나오는데 Rapkin et al. 의 논문에는 late luteal phase (황체기 후반, 즉 월경 직전)으로 나오네요. 근데 흥미로운 가설이네요. 안그래도 PMS와 임신초기에 비슷한 양상의 증상들이 많이 보이던데..

봄솔
여성이 가지고 있는 본능일수도 있을거 같아요 배란 이후 생리 전까진 몸이 임신으로 인식해서 배도 나오고 지방도 더 잘 쌓인다고 들었던거 같아서요

오구오구
낯선 사람과 게임을 할 때는 옥시토신이 오히려 협동을 감소시켰고, 내 운이 나쁠 때 상대에 대한 질투를 더 많이 느끼게 했고, 내 운이 좋을 때 우쭐해하는 마음을 더 키움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3,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우리편에게는 친사회성을 더 발휘하도록 만들지만 그 밖의 타인들에게는 더 못되게 굴도록 만든다. 이것은 보편적 친사회성이 아니다. 자민족 중심주의와 외국인 혐오일 뿐이다. 달리 말해, 이 신경펩타이드들의 행동은 맥락에 따라 극정으로 달라진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4,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암컷 체내의 남성호르몬은 뇌의 '공격성'부분에는 영향을 미치된 '번식/모성'부분에는 미치지 않아야 한 것이다. 그리고 현실은 정확히 그렇게 진화했다 149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스트레스가 시작되면 편도체가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스트레스 반응을 간접적으로 활성화 하고, 그러면 다시 클루코코르티코이드가 편도체의 흥분성을 높인다. 159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4장 결론: 급성스트레스가 아마엽 겉질과 운동영역의 결합을 강화하지만 이마엽 겉질과 해마의 연결은 약화함.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기보다 습관적 결정을 내리게 됨 . 새로운 정보를 통합하기보다 습관적 결정을 내리게 됨

오도니안
“ 처벌은 도파민 시스템을 활성화했는데, 특히 피험자가 돈을 내야 하는 상황일 때 더 많이 활성화했다. 비용이 들지 않는 처벌을 할 때 도파민이 더 많이 분비된 사람일수록 돈을 내고서라도 처벌하겠다고 선택할 확률이 높았다. 규범 위반을 처벌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일인 것이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2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도니안
당연한 일일 수도 있겠지만, 인터넷에서 정의를 구현하고자 하는 키보드워리어의 한 사람으로서 이해가 되는 메커니즘입니다.

borumis
그림이 있으면 도움이 될 것 같아서.. progesterone과 estrogen, testosterone이 월경 주기에 따라 변화하는 그림을 올려봅니다. 여기에 LH와 FSH까지 더해지면 진짜 복잡해지니.. 일단 이 책에서 주로 다루는 3 호르몬에 집중해서..



장맥주
“ 대초원을 질주하는 동안 혈압이 높아지는 것은 좋은 일이다. 반면 만성 심리적 스트레스 때문에 혈압이 높아진다면, 스트레스성 고혈압에 걸린다. 만성적으로 성장과 조직 재생이 훼손되면, 대가가 따른다. 생식적 생리 현상이 만성적으로 억제되어도 마찬가지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우리는 이런 종류 의 스트레스를 좋아하고, 갈구하고, 돈을 내고서라도 경험한다. 이런 최적량의 스트레스를 뭐라고 묘사할까? 열중한다, 몰입한다, 도전 의식을 느낀다고 표현한다. 자극적이라고 표현한다. 놀이라고 표현한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종이책에도 있는지 모르겠는데 전자책에는 여기 [스트레스를]을 [스트레를]이라고 쓴 오타가 있네요. ^^

소피아
“ 사랑 호르몬인 옥시토신은 우리 편에게는 친사회성을 더 발휘하도록 만들지만 그 밖의 타인들에게는 더 못되게 굴도록 만든다. 이것은 보편적 친사회성이 아니다. 자민족 중심주의와 외국인 혐오일 뿐이다. 달리 말해, 이 신경펩타이드들의 행동은 맥락에 따라 극적으로 달라진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소피아
4장에서 옥시토신의 친사회성 효과는 내집단을 대상으로만 작동한다는 걸 읽고 정말 놀랐습니다. 옥시토신의 배신이라고나 할까..
저 지금 7장 읽고 있는 중인데, 앞에서 읽은 내용이 가물가물하네요? 나의 해마야, 정보가 들어왔으면 촥촥 정리해서 장기 기억으로 제대로 빠릿빠릿하게 넘겨야 하지 않겠니?
여러분, 각 장의 내용을 정리하고 외우면서 읽고 계시나요? 정보들이 허공 속에서 산산이 흩어지는 건 저뿐인가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