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놀랍게도, 심지어 영장류(보노보, 여우원숭이, 마모셋원숭이, 타마린원숭이), 바위너구리, 설치류(캘리포니아생쥐, 시리아골든햄스터, 벌거숭이뻐드렁니쥐) 등 어떤 종들은 암컷이 수컷보다 사회적으로 지배적이고 더 공격적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아 rock hyrax가 바위너구리군요. 중동 및 사하라지대에 사는 바위너구리와 호주의 쿼카를 비교한 사진을 볼 때마다 항상 웃음이 나와요. 바위너구리는 코끼리와 연관된 종이고 쿼카는 유대류 중 하나여서 연관은 적지만 비슷하게 생겼는데 바위너구리는 쿼카의 다크 버젼 같더라구요. 여자 바위너구리가 사나운 거 납득..ㅋㅋㅋ 사진에서 왼쪽은 쿼카이고 오른쪽은 바위너구리입니다. ㅎㅎㅎ
아니, 이거 사진만 봐도 성깔을 바로 알 거 같은... 일부러 이렇게 대조적인 사진을 붙여 놓은 거겠죠? ㅎㅎㅎ 쿼카는 인형극에 나올 것처럼 생겼네요. 세사미스트리트에서 튀어나온 거 같습니다.
@borumis 정말로 비슷하게 생겼는데 인상이 반대네요! 귀염둥이 쿼카!
헉, 그렇다면 인간만이 암컷이 수컷에게 길들여진 걸까요? 인간 세계는 여자들이 대체로 친사회적이고 협동도 잘하잖아요. 영장류는 아니지만 개들도 보면 암컷이 훨씬 아양도 잘 떨고 안기는 게 다르던데. 수컷은 남자를 좀 어려워 하더군요. 제 동생을 보니까.ㅋㅋ
아. 책을 읽으시면 저 동물들이 예외적인 케이스라고 나옵니다. 대부분의 종에서는 인간처럼 수컷이 암컷보다 더 지배 성향이 강하고 더 공격적이라고 하네요.
그러면 그렇지. ㅋ 근데 신화긴 하지만 아마조네스도 있고, 모든 여자들이 다 친사회적인 건 아니죠.
@stella15 어디서 봤는지 생각은 안나지만 인문학적으로 보면 수렵 채집기 시기에 여자들은 어디서 어떻게 해야 제일 좋은 과일을 딸 수 있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런 이슈로 대화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고 협력하는 방법을 배웠다고 하더라구요. 일리가 있는거 같기도 해요.
그니까요. 여자들은 자신이 약하다는 걸 알기 때문에 상호도와야 살아남는다는 걸 본능적으로 아는 것 같아요. 물론 그 반대인 성향도 있지만. 그러고보면 인간이 어떻게 환경에 적응하며 살았을지를 아는 건 넘 흥미로운 것 같습니다.^^
주옥같은 주석 하나 더 추가.. 하이에나(실제로 scavenge하는 건 사자라지만)를 scavenger라고 비웃는 우리 인간은 정작 슈퍼마켓에서 죽은 고기를 찾아 먹지 않냐고 하는 작가의 주석에 또 빵터졌어요..^^;; 개코원숭이와 어깨동무하는 생태학자여서 그런지 동물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참신한 세계관에 감탄하고 갑니다.
@borumis 전 이런 맥락에서 최재천 교수님 말씀 하시는게 너무 재밌는데 이 두분이 만나면 어떤 시너지가 생길지 너무 궁금해요 ㅎㅎ
스트레스에 인해 fear association을 배우는 게 더 쉬워지기도 하지만 fear extinction을 배우는 것은 방해받는 이중 작용으로 PTSD 발생기전이 진행되나 봅니다.
Over the course of minutes to hours, hormonal effects are predominantly contingent and facilitative. Hormones don't determine, command, cause, or invent behaviors. Instead they make us more sensitive to the social triggers of emotionally laden behaviors and exaggerate our preexisting tendencies in those domains.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호르몬의 활동은 개체와 그 개체의 환경이라는 맥락을 거의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p.142,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남성의 폭력으로 점철된 현재 세상의 문제는 테스토스테론이 공격성을 높인다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공격성에 너무 자주 보상한다는 것이 문제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p.132,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구름마음 호르몬 연구에서 이런 성찰을 끌어내는 학자라니요...
저도 이 문장 아주 인상적으로 읽었습니다.
호르몬 자체에는 특정한 힘이 없네요. 내가 어떤 사람인지, 어떤 문화의 영향을 받는지가 호르몬의 역할을 정해주는 셈이라는 게 흥미로웠어요. 특정 행동이 이미 강화된 상태라면 더이상 호르몬의 탓을 할 수 없다는 것도요. 유전과 환경, 때로는 선택에 의해 나의 공격성이 강화되거나 친사회적인 행동이 강화됩니다.
이 부분에서 생각이 든게 엄니들이 내가 갱년기라 그래 .. 아가들이 나는 사춘기잖아. 이렇게 말할때 너의 본질에서 조금 더 강하고 빠르게 발현되는것일뿐 호르몬의 문제는 아니란다. 라고 반박할수 있는걸까요?
생각해보니 예전에 엄마가 저한테 버럭 화내고서 미안하다 PMS라서 그랬어..라고 변명(?)하고나서 요즘엔 갱년기라 그랬어..라고 해명하더라구요;;;여기선 안 다루었지만 갱년기도 장난 아니게 피곤하다고 합니다;;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같이 그믐달 찾아요 🌜
자 다시 그믐달 사냥을 시작해 볼까? <오징어 게임> x <그믐달 사냥 게임> o <전생에 그믐달>
8월 22일은 그믐밤입니다~ 함께 읽어요!
[그믐밤] 38.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4탄 <오셀로>[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밤] 36.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2탄 <맥베스> [그믐밤] 35.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1탄 <햄릿>
이디스 워튼의 책들, 지금 읽고 있습니다.
[그믐클래식 2025] 8월, 순수의 시대[휴머니스트 세계문학전집 읽기] 3. 석류의 씨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여기가 아닌 저 너머를 향해...
[함께 읽는 SF소설] 07.화성 연대기 - 레이 브래드버리[함께 읽는 SF소설] 06.앨저넌에게 꽃을 - 대니얼 키스[함께 읽는 SF소설] 05.생명창조자의 율법 - 제임스 P. 호건[함께 읽는 SF소설] 04.노래하던 새들도 지금은 사라지고 - 케이트 윌헬름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