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YG님, 장맥주님 계타셨네요. 이렇게 좋아하시다니...ㅎㅎㅎ
이것은 시냅스 흥분성이 경험에 의존하여 장기적으로 줄어드는 현상을 말한다. 장기 약화가 기능적으로 장기 강화의 반대인 것도 아니다. 장기 약화는 전반적인 망각의 바탕이 되는 현상이 아니라, 그보다는 관계없는 것을 지움으로써 신호를 더 날카롭게 벼리는 현상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그러고보니 공부 잘 하고 기억 잘 하는 사람들 보면 요약정리를 잘하더라구요. 필요없는 핵심만 잘 골라내고 쓸데없는 건 잘 솎아내는 필터링 능력..! 안그래도 정보 과잉의 세상에 필수적인 능력인 듯해요.
그래서 CEO들이 보고서 짧게 잘 쓰는 사람을 중용하는 거겠죠? 그나저나 생성형 AI들이 요약 정리를 그렇게 잘하던데... 이 필수적인 능력을 AI한테 아웃소싱하게 되는 거 아닐까 염려스러워요.
5장을 읽는 동안 <행동>이 아무래도 나의 인생책 반열에 등극할 것 같다는 예감을 받았습니다. (과학 1도 모르는데, 인생 과학책이라니..) 와— 새폴스키 교수님, 진짜 존경합니다! 과학책에 대한 눈높이가 너무 높아져 버렸는데, 어쩌죠? 저번 달 모임에서도 ‘쫀드기같은 글’을 선호한다는 글을 썼는데, 이 책은 적절하고 이해쉬운 이론 설명 + 쫀드기스러운 글의 응집성+ 유려한 비유와 위트만으로도 호감 백배 상승 중이었어요. 5장에서는 ‘신경 가소성’이라는 아름답고도 잠재력 가득한 이론을 설명하면서도 “맥락 의존성”에 유념할 것을 거듭 당부하는 것도 (쉽게 말하면, 오버하지 말아라) 잊지 않으시더군요. 게다가, 과학의 발전은 중요하지만 도그마에 빠져서는 안 된다는 교훈도 중간에 심어놓으시니.. 흑, 과학자 겸 작가로서는 다 가지신 분- 다시 한 번, 리스펙! 이 책을 읽으면서 배운 중요한 교훈이 있다면 “A는 X때문이야라고 단정적으로 말하지 말자”라는 것입니다 (모르는 분야일수록 용감하게 말하고 다니기도 합니다) 몇 초전, 몇 분전, 몇 달전.. 이렇게 이야기를 차곡차곡 들려주면서, 발현되는 어떤 현상은 xx뉴런, xx호르몬, xx신체기관 하나 만의 결과가 아님을 일깨워 주시네요.
그쵸그쵸! 새폴스키 님의 글이 지닌 매력을 너무 잘 정리해주셨네요 ㅎㅎㅎ 완전 공감입니다-
이봐요, 나는 나치 수용소에서 탈출한 유대계 헝가리인이라오. 이런 일쯤은 초연히 받아 들일 줄 알게 되지.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Joseph Altman (1925-2016) R.I.P.
신경생물학이 대단히 인상적이기는 해도, 뇌는 행동이 ‘시작되는’ 지점이 아니다. 뇌는 우리가 뒤에서 살펴볼 다양한 요인들이 수렴하여 행동을 만들어내는 최종적 공통 경로일 뿐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무의식적 언어 효과 언어에는 힘이 있다. 언어는 우리를 구원하고, 치료하고, 고양시키고, 절망시키고, 기죽이고, 죽인다. 무의식적으로 주어지는 언어 단서는 우리의 친사회적이고 반사회적인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진짜 명언이에요. 읽고 또 읽게 되네요.
안 그래도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는 아이의 언어습관이 점점 포악해지는 것을 느끼며, 제 말투나 사용하는 단어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았습니다. 아이에겐 네가 듣고 보는 것을 막을 수는 없지만, 바깥으로 내뱉는 말에는 신경을 써야 하고 책임을 져야 한다는데 아직 이해를 못하네요. ㅜ.ㅜ
그쵸. 저도 고딩 아이와 초딩 고학년 딸(여자애들은 사춘기가 더 일찍 온다죠;;) 그리고 갱년기인지 사춘기인지 헷갈리는 50대 큰 아들..을 두고 항상 언어습관에 대해 고민을 많이 해요. 특히 첫째는 화용언어에 문제가 많았는데 요즘은 언어적 표현 자체는 많이 나아지고 있는 반면, 비언어(말투, 목소리, 표정, 몸짓 등)적 표현도 중요한데 사춘기여서 그런지 이게 갈수록 포악해지는 느낌이 드네요..^^;; 같은 말이어도 왜 사춘기가 되면 이리도 기분 나쁘게 할까요? ㅜㅜ
일단 전 그런 모습에 버럭하는 제 자신부터 다스리려고 노력합니다(당연히 잘 안 됩니다). 버럭하면 아이가 더 버럭해서요. 이기고 지는 싸움은 아니지만, 버럭하면 제가 지는 것 같고 아이도 다른 사람과 언쟁할 때 그런 모습을 보이게 하고 싶지 않아서요. 저희 아버지가 사람 기분 나쁘지 않게 소리 안 지르면서 (어쩔 땐 웃기게) 정곡을 콕콕 찌르시는데, 그건 '음악적 재능'처럼 타고나는 거지 공부해도 일정 수준 위로 올라가지 않는 것 같아요...가지고 태어난 '성깔' 이 엄청 방해합니다.
예를 들어 청소년은 아이러니를 감지하는 일을 성인만큼 잘해내지 못한다. 그리고 그 작업을 할 때 성인보다 등쪽가쪽이마앞엽 겉질을 더 많이 활성화한다. 대조적으로, 성인은 방추상얼굴영역을 더 많이 활성화한다. 한마디로, 성인에게는 아이러니를 감지하는 일이 머리를 많이 굴릴 필요가 없는 일이다. 상대의 얼굴을 한번 쓱 보면 그만인 일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6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화제로 지정된 대화
내일 1월 10일 금요일은 6장 '청소년기, 혹은 저기요, 내 이마엽 겉질 어디 갔어요?'를 읽습니다. 청소년 정신 건강에 관심이 있으신 분에게는 알려진 사실이지만, 5장까지 여러 차례 등장한 중요한 이마엽 겉질은 뇌의 여러 부분 가운데 가장 늦게, 즉 10대부터 20대 중반까지 발달합니다. 5장은 장의 제목처럼 이마엽 겉질의 지연 성숙과 10대의 독특한 특징이 어떻게 맞물리는지 살펴보고 있어요. 저는 10대 아이가 있어서 더욱더 유심히 읽었던 장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이번 주말에는 7장 '요람으로, 자궁으로 돌아가기'를 읽습니다. 다시 공지하겠지만, 주말 독서 일정에 참고하세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6장과 함께 읽으면 좋을 책도 있어요. 새라-제인 블레이크모어의 『나를 발견하는 뇌과학』(2018)과 로런스 스타인버그의 『위기와 기회 사이』(2014). 두 책 모두 10대의 뇌를 둘러싸고 최근까지 쌓인 연구 성과, 또 그 맥락에서 10대, 청소년기, 사춘기를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 등을 해당 분야 최고 연구자가 설명하는 책입니다. 두 사람은 6장에서도 연구 성과가 소개되고 있으니 참고하세요.
나를 발견하는 뇌과학 - 뇌과학이 말하는 자아감 성장의 비밀인간의 삶 중 가장 큰 자아감 변화를 경험하는 ‘사춘기’를 현대 뇌과학적 관점으로 재정의한다. 뇌과학적 관점으로 보았을 때, 박사가 말하는 사춘기는 우리가 ‘질풍노도’라고 부르는 사춘기는 초기 성인기까지를 포함시킬 수 있다.
위기와 기회 사이 - 뇌과학에서 찾은 청소년기의 비밀템플대학 심리학과 로렌스 스타인버그 교수는 최신 뇌과학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청소년기가 우리 인생에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지대한 영향을 주는지 설명한다.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그 힘든 시기를 기회로 만들어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줄 것이다.
청소년은 번지점프에 끌리지만, 성인은 저염식 식단을 슬쩍 어기는 데에 끌린다. 청소년기는 더 많은 위험을 감수할 뿐 아니라 더 많은 새로움을 추구하는 시기다. p199 청소년기에는 강한 보상이 지나치게 강한 도파민 경로 신호를 내는 데 비해 분별 있는 행동에 주어지는 그럭저럭 괜찮은 보상은 형편없는 수준처럼 느껴진다. p201 공감이 고통받는 타인을 안타깝게 느끼는 마음이라면 감정이입은 그 타인처럼 느낄 줄 아는 마음이다. 청소년은 이중 감정 이입의 전문가로, 타인의 처지가 된 듯 느끼는 정도가 심하다 못해 아예 타인이 되어버리는 지경에 이르기도 한다. p207 청소년기의 '정서 지능'과 '사회 지능'이 IQ나 대학 입학시험 성적보다 성인기의 성공과 행복을 더 잘 예측한다는 것이다. p212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도서 증정] 1,096쪽 『비잔티움 문명』 편집자와 함께 완독해요[📚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3. 종이 동물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