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게요. 어느새 우린 폭력을 보상하는 문화에 길들여진 것처럼 한자 문화에 길들여진 걸까요? 세종대왕님 죄송합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borumis
링곰
저도 읽으면서 계속 겉질을 겉껍질로 읽고 있어요;;

연해
저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가 어찌나 입에 안 붙던지. 소리내서 읽어봐도 발음이 자꾸 엉키더라고요. 책에 이 단어가 왜 이렇게 연달아 등장하던지... 읽다가 헛웃음이 났더랬죠.

오도니안
“ 이 현상은 내가 대학생 때 한 기숙사 친구가 했던 대단히 냉소적인 발언을 떠올리게 한다. 우여곡절 끝에 망하는 연애를 줄줄이 겪던 그 친구는 “연애란 연애에 대한 기대감에 대해서 치르는 대가야”라고 말했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도니안
정말 멋진 명언인 것 같아요. 전세계의 외로운 싱글들에게 전해주고 싶네요. 당신들은 행복한 무임승차자들이라구.

borumis
모태솔로 친구들한테 전해주고 싶은 명언입니다. 오도니안님의 '무임승차자'란 표현도 멋져요.^^ 엄지척

장맥주
명언 인정합니다. (아... 기혼남은 인정하면 안 되는 걸까요? ㅎㅎㅎ)

장맥주
한때 초식남, 건어물녀 같은 말들이 유행하기도 했죠. 이제는 그 '신조어'들조차 낡게 들리네요.

dobedo
@장맥주 제 주변에도 많았죠. (옛날 사람 인증...)

장맥주
현재 제가 갱년기건어물초식남입니다. 반건조 아니고 완전건조... 신경 쓸 일 줄어서 참 좋습니다.

borumis
흠 어제 생물오징어를 손질하고 있는데 딸이 관찰하다 '이래서 못생기면 오징어라고 하는군요!' 하던데;;; 건어물은 더 못생겼나봅니다..;;;; ㅎㅎㅎ 그래도 호르몬에 푹 절여서 피클이 되느니 완전 건조가 차라리 편할 듯 하네요...

꽃의요정
원래 마른 장작이 잘 탄다는데요!? (29세 이하는 눈 가리세요~)
밥심
그런데 이런 명언을 왜 본문에 안 쓰고 주석으로 달았을까요. 벽돌책이라 읽을 양이 많아 가끔 주석은 안 읽고 넘어가기도 하거든요.

borumis
이분 너무 할 말이 넘쳐서.. 주석들도 읽어보면 정말 재미있더라구요. 리처드 도킨스의 책들도 보면 주석들이 진짜 재미있어요. 입담 좋은 사람들의 공통점인듯..

dobedo
@밥심 미주는 몰라도 각주는 꼭 읽으시기를. 저자의 통찰이나 유머가 반짝반짝 빛나요!
밥심
불과 며칠 전 에코의 <푸코의 진자>를 읽다가 어마어마한 각주의 공세를 이기지 못하고 3권짜리 소설의 2권 중간까지 읽다가 포기한 후 각주에 대한 트라우마가 생겼는지 <행동>에서도 각주가 나타나면 ‘이마거시기배어쩌구안저쩌구겉질‘ 부근에 있다는 납작한 복숭아씨 모양의 편도체가 흥분해서인지 불안감을 느낍니다. ‘각주 이놈들 때문에 벽돌을 못깨는거 아닐까?‘ 하는. 그러나 <행동>의 각주는 숨막히는 일상의 압박에서 잠시라도 벗어나게 도와주는 웃음을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는 독자분들의 조언을 받들어 열심히 읽도록 하겠습니다.

dobedo
@밥심 보통 각주 읽다보면 흐름이 끊기는 느낌도 있는데 소설은 확실히 그럴 거 같아요. 게다가 세 권짜리라니... 휴

꽃의요정
오...<푸코의 진자>를 아파트 재활용품 수거장에서 주워 온지 5년이 넘었는데 아직 못 읽고 있어요. 언젠가 누군가 읽자고 하기를 기다리며....<행동>은 그믐에서 으쌰으쌰 하며 읽으니 다 읽지 않을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