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앗, 문장수집을 눌렀어야 했는데. 이 부분은 수정이 안 되네요. 아무튼 이런 걸 보면 사람 사는 동네 모습은 참 다 비슷비슷하구나 싶네요. 흣
지속적 스트레스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는 가지돌기 수축과 시냅스 소실도 일으키고, 신경세포접착분자(시냅스를 안정화하는 분자다)의 농도를 낮추고, 이마엽 겉질에서 글루탐산 분비를 낮춘다. 이런 변화가 더 많이 벌어질수록 주의력과 의사결정 능력이 더 많이 훼손된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며칠에서 몇 달 전,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피험자들에게 고작 닷새 동안 눈가리개를 하도록 했더니, 그들의 청각 신경 가지가 시각 겉질로 뻗어서 재지도화하기 시작했다(그러나 눈가리개를 풀자마자 신경이 수축했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며칠에서 몇 달 전,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음악가들은 음악가가 아닌 사람들보다 청각 겉질에서 음악적 소리를 표상하는 영역이 더 넓어진 상태인데, 특히 자신이 연주하는 악기의 소리와 음높이 감지에 대해서 그렇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며칠에서 몇 달 전,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어떤 데이트 프로그램에 출연한 한 음악 프로듀서가 생각나네요. 여러 명의 출연자가 누가 누군지 알 수 없게 각자 한 명씩 부스에 들어가 변조한 목소리만 들으면서 대화를 하고 있었죠(저는 남녀의 구분도 힘들었어요). 근데 중간에 새로운 출연자가 (목소리로) 등장하니까 신기하게도 그 프로듀서가 새로운 사람이 등장했다고 바로 알아차리더라고요. 어떤 힌트도 주지 않았는데. 변조한 음성을 듣고도 각자의 다른 파형을 파악해서 새로운 등장인물을 맞힌다는 게(긴가민가하지도 않고 확신!) 되게 멋있더라고요. 그런 프로페셔널함. 그렇게 청각 겉질을 재지도화하는 데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을까 경이롭기도 하고요. 저는 꾸준함이 모자란 사람이라...
첫째, 성인의 뇌에서 청소년기에 가장 많이 형성되는 영역은 바로 이마엽 겉질이다. 둘째, 이 이마앞엽의 지연된 성숙이라는 맥락을 고려하지 않고서는 청소년기에 대해 아무것도 이해할 수 없다. 청소년기에 이르면 이미 변연계, 자율신경계, 내분비계가 풀가동하지만 이마엽 겉질은 이제 겨우 조립 설명서를 만지작거리고 있다는 사실, 바로 이것이 청소년기가 그토록 절망적이고, 멋지고, 아둔하고, 충동적이고, 고무적이고, 파괴적이고, 자기파괴적이고, 이타적이고, 이기적이고, 힘들고, 세상을 바꿀 수 있는 시기인 까닭이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근데 이건 청소년기만인가요? 전 지금도 그런 거 같은데;;;;
아직 전두엽( 이마옆 어쩌고 저쩌고)가 애기애기한것으로 하죠 :)
저도 이런 과정을 겪고 성장했을테지만 아이들이 이런 과정중이면 얼마나 힘들까 싶네요. 아기들은 원더윅스라고 해서 급성장기에 너무 힘들어서 울고 그런다는데 어떻게 보면 아기때만 측은지심을 가지고 청소년들에게는 너무 많은 책임을 지우는거 같아요. 아직 미성숙한 존재라는 인식이 잘 안든달까요? 주위에 청소년 아이들 보면 따듯한 시선에서 보고 잘해줘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음악가가 아닌 피험자들이 자진하여 다섯 손가락을 쓰는 피아노 연습곡을 배운 다음, 하루에 두 시간씩 연습했다. 불과 며칠 만에 그들의 운동 겉질에서 그 손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부위가 확장되었는데, 다만 연습을 그만두면 확장된 영역이 하루도 더 유지되지 않았다.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5장 며칠에서 몇 달 전,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연주자들이 흔히 하는 말에 상응하는 연구네요. '하루를 연습하지 않으면 내가 알고, 이틀을 연습하지 않으면 평론가가 알고, 사흘을 연습하지 않으면 관중이 안다.' 이런 사실들은 어쩌면 경험적으로 다들 알고 있던 사실들을 다시 한번 확인하는 과정인 거 같아요.
오 저도 이 생각 했었는데 반갑네요. 연주자나 운동선수나 루틴이 있기 때문에 그 루틴에서 벗어나면 느끼게 되는거 같아요. 스스로가..
@봄솔 악기도 그렇고 운동도 그렇고 꾸준하고 부지런해야 잘할 수 있는 것 같아요. 그렇게 보면 '인내'야말로 엄청난 재능인 듯합니다.
또다른 말로 Grit라고 하죠. 이거 한국에서도 그대로 '그릿'이라고 책 제목으로 나와서 놀랐어요.
저는 오히려 앤젤라 더크워스의 그릿이 거의 고유명사화 된 줄 알았는데, 지난 달 벽돌책 <노이즈>에서 “투지”로 번역해놔서 좀 놀랐어요. 투지? 투지라고? 하다가 생각해보니 그나마 우리말로는 투지가 가까운 것 같기도 하고요..
저도 '투지? 투지라고?' 하고 생각했더랬습니다. 저라면 굳이 번역한다면 '근성'으로 할 거 같아요. ^^
아, 근성!! 맞아요! 제 생각에도 그릿은 약간 이 느낌에 더 가까운 것 같아요.
<그릿>도 그냥 자기계발서라고 폄하하기에는 괜찮은 내용이 꽤 있었던 걸로 기억해요. 아무튼 그 근성인지 그릿인지가 저한테 절실하게 필요합니다. ㅠ.ㅠ
앗 노이즈 한국어로 못 읽었는데 그릿이 투지였군요..;; 전 grit은 뭐랄까 defensive한 버티는 느낌인데.. 투지는 뭔가 offensive, 공격적이고 능동적인 느낌이 드네요;;;
@borumis @장맥주 @dobedo 그릿은 시간 개념이 중요한 것 같아요. 끈질긴 노력을 “장기간” 지속하는 힘? 예를 들면, patience 보다는 perseverance? 중꺾마? unwavering efforts? 이런 것들을 ’장기간 지속‘을 하면 그게 그릿이 아닐까 싶습니다. ‘투지’라는 단어가 불편했던 이유는 화르륵 일순간에 불타 오르다 순식간에 꺼지는 단기간에만 지속되는 투지도 있기 때문이었어요. 며칠 전에 90세 이순재 배우의 kbs 연예대상 수상소감과 62세 데미 무어의 골든 글로브 여우주연상 수상 소감이야말로 그릿의 좋은 예가아닐까 싶습니다. 특히 데미 무어가 45년 넘게 배우 생활하면서 처음 탄 상이라면서, 30여년 전에는 팝콘 여배우라고도 불렸는데, 영화 <서브스턴스>가 “너는 아직 끝나지 않았어라고 온 우주가 말해주는 것 같았다”고 말할 때 너무 뭉클했어요. 아래 영상을 모든 분께 추천합니다! 데미 언니, 너무 멋져요!! https://m.youtube.com/watch?v=d4jG1HaSyXc&pp=ygUa642w66-4IOustOyWtCDsiJjsg4HshozqsJA%3D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일과 나 사이에 바로 서는 법 《그대, 스스로를 고용하라》 함께 읽기[도서 증정] 안톤 허 첫 소설 《영원을 향하여》 함께 읽어요.[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같이 연극 보고 원작 읽고
[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그믐연뮤클럽] 6. 우리 소중한 기억 속에 간직할 아름다운 청년, "태일"[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그믐연뮤클럽] 4. 다시 찾아온 도박사의 세계 x 진실한 사랑과 구원의 "백치"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매달 1일 시작합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날 수를 세는 책 읽기ㅡ8월] '내가 네번째로 사랑하는 계절'[그믐클래식 2025] 8월, 순수의 시대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 비트코인과 달러, 같이 공부해요!
『트럼프 시대의 비트코인과 지정학』 함께 읽기 (비트코인, 그리고 달러의 지정학의 개정판)책 [레이어드 머니 돈이 진화한다] 읽기 모임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