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장 읽으면서 생각나는 속담들이 주루룩...인 걸 보니 역시 부정하기 힘든 사실인 것 같네요. 게다가 타인의 내적 동기를 어설프게 파악하는 경우도 있고, 심지어 자기자신의 내적 동기도 오해하고 잘못 판단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8. <행동>
D-29

dobedo

오구오구
문화적 맥락
도덕적 판단에 어떤 보편적 요소들이 있는가, 보편성과 차이점 중에서 어느쪽이 더 흥미롭고 중요한가..
결국 상호성에서 이해해야한다고 하니 역지사지가 진리라는 생각이 듭니다

오구오구
“ 다마지오의 신체표지 가설이 바로 이 이야기였다. 다마지오에 따르면, 우리는 어떤 결정을 내릴 때 사고 실험뿐 아니라 신체적 감정에 관한 실험도-만약 이 일이 실제로 벌어지면 어떤 느낌이 들까?-머릿속에서 실시해본다. 그리고 이 통합이야말로 도덕적 결정 과정이 추구해야 할 목표다 615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우리가 어떤 결정을 할 때는 두 가지를 함께 고려
1. 머리로 생각하기: '이게 논리적으로 맞나?'
2. 몸으로 느끼기: '이렇게 하면 기분이 어떨까?'
예를 들어, 친구에게 거짓말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 머리로는 '이게 나한테 득이 될까?' 계산하면서
- 동시에 '거짓말하면 마음이 불편하고 가슴이 답답할 것 같은데...'라는 신체적 감정도 함께 떠올림
다마지오는 이렇게 '생각'과 '감정'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좋은 도덕적 결정을 내리는 방법이라고 함
... 오늘 아침, 샤워하며 법륜스님의 영상을 보았는데, 그 핵심 메시지 중 하나가 알아차림을 지속적으로 노력하라는 것이었어요. 노력하라고 하신 부분이 위의 내용과 일치하는거 같네요. 갑자기 불법의 이치가 진리로 다가옵니다 ㅎ

오구오구
도덕적 직관은 학습의 결과물이다. 615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올바른 일을 하기 위해서 애쓸 필요가 없었다. 그들은 그냥 거짓말을 하지 않는 것 뿐이었다. 630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진정한 선한 행동은 힘들게 고민해서 하는 것보다, 자연스럽게 몸에 배어 있을 때 더 강력하고 지속적이다.

borumis
그러게요. 자연스럽게 몸에 배기 위해 계속 그 알아차림을 지속적으로 노력해야겠네요.

오구오구
“ 타인이 고통스러워 한다는 사실을 알기만 하는 것보다 타인의 고통을 느끼는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그렇다면 앞띠이랑 겉질은 근본적으로 자기이해를 추구하는 셈이고, 타인의 고통을 염려하는 마음은 거기에 부록으로 딸려오는 셈이다 644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부유한 피험자일수록 타인의 감정을 인식하는 능력이 떨어졌고, 실험환경에서 더 탐욕스럽게 행동하는데다가 속임수나 도둑질도 더 많이 했다. 648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감정이입적 상태에서 '감정'과 '인지'를 나누는 것은 말짱 틀린 그분이다. 둘 다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둘 사이의 균형은 수시로 달라지고, 특히 첫눈에 나와 상대의 유사성보다 차이점이 더. ㅡ게 와닿는 상황에서는 인지적 측면이 힘든일을 도맡아야 한다. 650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하버드대학교의 스티븐 핑커는 이렇게 결론했다. "거울뉴런은 사실 언어도, 감정이입도, 사회도 설명하지 못한다. 물론 세계평화도." 한마디로, 거울 뉴런이 이 장의 관심사와 밀접하게 관련된다는 증거는 아직 없다. 658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요컨대 우리가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았을 때는, 그것이 타인의 문제에 공명하느라 생긴 스트레스든 자기 문제로 인한 스트레스든 자신을 먼저 챙기는 것이 최우선 순위가 되기 쉽다. 달리말해, 우리가 어느 정도 초연한 거리를 유지할 때 감정이입적 상태가 동정적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661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이토록 넓고 이질적인 세상을 치유하고자 할 때, 자신의 질관이 늘 올바를 것이라는 기대는 하지 않는 편이 좋다. 이 점에서 우리는 스스로에게 좀더 관대할 필요가 있는지도 모른다. 669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을 돕는 다는 것은 이를테면 배변훈련, 자전거 타기, 거짓말하지 않기와 비슷한 일이다. 670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인간의 기만 능력은 어마어마하다. 인간은 얼굴 근육에 신경이 가장 복잡하게 분포되어 있고, 엄청나게 많은 수의 운동 뉴런을 써서 그 근육들을 제어한다. 포커페이스를 할 수 있는 종은 인간뿐이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3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이처럼 상대의 범주에 따라 감정이입의 범위가 달라지는 현상은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서도 일어나는데, 다만 그 양상이 비대칭적이다. 이것이 무슨 소리인가 하면, 감정이입과 연민 측면에서 부자들은 대체로 좆같다는 것이다. ”
『행동 - 인간의 최선의 행동과 최악의 행동에 관한 모든 것』 14장, 로버트 M. 새폴스키 지음, 김명남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와... 저자나 역자 모두에게 존경을 표합니다. 혹시 @borumis 님은 지금 원서로 읽고 계신가요? 여기 원문이 어떻게 적혀 있나요?

소피아
Categorical boundaries to the extension of empathy also run along socioeconomic lines, but in an asymmetrical manner. What does that mean? That when it comes to empathy and compassion, rich people tend to suck.
제가 borumis님은 아니지만, 원서를 샀거든요 ㅎㅎ

borumis
ㅎㅎ 이미 소피아님이 알려주셨네요. 여기서 tend to suck이란 표현은 그렇게 쎈 표현은 아닌데..ㅎㅎㅎ 번역가의 어휘 선택에 감정이 실려있는듯.. (참고로 작가분이 번역가에 비해 쎈 어휘선택을 하는 곳도 있어요.^^;;) 제가 이 번역가 분의 이보디보를 얼마전 구입했는데 평이 좋더라구요. 본인이 추천하지는 않았고 다른 분이 21세기 추천책으로 올렸더라구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