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 독서

D-29
올해는 더 깊게
철학은 혼자 하는 몽상이 아니며 오로지 바람처럼 찾아오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만 자리한다. -저자 서문 중-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19~20, 서동욱 지음
이 글을 보고 내게 바람처럼 찾아온 타자들이 생각났다. 내 문제에만 갇혀 다른 것을 살필 줄 몰랐던 나에게 조금씩 조끔씩 다른 것을 볼 수 있게끔 해 준 사람들. 나 같은 이도 아주 살짝 철학에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품게 해 준 사람들.
즉 대상은 자기 자신의 고유성을 가지고 출현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가 열어놓은 연구 영역 또는 주체의 계산하는 능력에 매개됨으로써 주체의 지배 아래 포섭되는 것'으로서 출현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근대의 성과란 이질적인 것을 주체라는 동일자로 환원하는 작업의 성공에서 찾을 수 있다.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29, 서동욱 지음
우리는 타자가 타자로서 출현하는 일이 결코 선물처럼 주어져 있지는 않은 시대 속에 있다. 타자가 출현할 수 있는 길이 가로막혔을 때, 이 가로막힘은 근원적인 차원에서는 물리적인 것이 아니므로 사유의 힘이 그 막힌 길을 다시 열어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사유의 힘이 그 막힌 길을 다시 열어줄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사유의 힘을 시험해보는 과제는 철학이 떠맡는다.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39, 서동욱 지음
이질적인 자는 영원히 누구의 소유도 될 수 없다. ...오로지 서로 다른 자라는 이타성 하나 때문에 타자는 주체와 합치될 수도 없고 이해될 수도 없는 고유한 영역을 가진다. ... 레비나스는 [타자의 흔적]에서 타자의 도래를 '내재성의 교란'이라고 묘사한다. ... 이질적인 것이 나의 내재성을 교란하는 방식으로 도래하는 사건은 "전염병"에 감염되는 일과도 같다. ...내가 준비할 수 있는 관계들의 전적인 실패 속에서 타자는 출현한다. 그의 이타성이 그 외의 다른 길을 허락하지 않는 까닭이다.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41~42, 서동욱 지음
에드문트 후설의 데카르트적 성찰1929년에 후설이 프랑스 학계의 초청을 받아 파리의 소르본대학과 스트라스부르에서 했던 두 차례의 강연에 기초해 쓰여진 것이다. 후설은 프랑스 독자들을 위해 강연 원고를 독립적인 작품으로 완성했으며, 프랑스 현상학자들에 의해 1931년 프랑스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어떻게 타자의 신체는 변화 중에도 통일적인 것으로 경험되는가? 바로 그 신체적 변화의 배후에 변화와 연결되어 있는 일관된 심리적 자아가 도사리고 있다는 점을, 나는 나 자신의 신체적 변화와 나의 심리적 자아 사이의 관계에 입각해 인지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타자는 단지 사물과 같은 연장이 아니라, 나와 같은 심리물리적 자아로 인식된다. ... 즉 타자의 신체로서 우리의 지향적 의식에 주어질 수 있는 까닭은 나의 원초적 영역(심리물리적인 자아)이 타자로 변양되어 지향될 수 있기 때문이다. .."타인은 현상학적으로는 나 자신이 변양된 것"이다.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78~79, 서동욱 지음
결국 타자에 대한 인식은 내가 스스로를 인식하는 지향에 달려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나 자신과 관계 맺는 방식이 타자와의 관계성에도 연결되는 것 같다.
후설의 현상학에 대한 설명은 아직 좀 어렵다. 막연하게 이런 의미가 아닐까..라고 생각하며 이해하려 노력하는 중이지만, 오독의 가능성이 있는 만큼 이에 대한 보충 독서가 필요할 듯.
자아가 자신의 경험 영역, 곧 자신의 존재 및 소유의 향유 속에 갇혀 있는 것처럼, 나라는 것은 자신의 구성 영역 안에 닫힌 채 머물러 있다. ... 따라서 타자는 자아에게 오직 침입 속에서만 하나의 드러남으로 도래할 수 있다. ... 타자는 지식의 불충분함을 알리고, 자아 안에 자신의 근거를 갖고 있지 않은 외재성을 알린다. 타자는 어떠한 의미도 알리지 않으며, 그가 바로 알림, 곧 무의미다. (리오타르, <쟁론> 중)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93, 서동욱 지음
후설의 타자 해명은 타자에 대한 '나'의 인식을 해명하는 것이므로 존재적 의미에서의 '타자'에 대한 해명은 아니라는 것.
'타인과 더불어 있음이 나의 존재양식'이기에 이를 바탕으로 타인의 내면을 인식해보려는 시도 역시 출현할 수 있는 것이다. 즉 근본적으로 인식론적 측면이 아니라 존재론적 측면(더불어 있음)에서 타인과의 관계는 확보된다.
타자철학 - 현대 사상과 함께 타자를 생각하기 p.99, 서동욱 지음
후설의 인식론적 타자 해명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 특히 후설이 타자 해명에 사용한 감정이입은 '공동존재'를 전제하기 전에는 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한다. 즉 감정이입의 방법은 공동존재라는 존재론적 해명이 없이는 애초에 불가능하다는 것.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