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세화 작가님께서 미리 사전 질문의 답변을 올려주고 계셔서 답변도 열심히 읽었습니다. 좀 더 내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 거 같아요. 특히 모임장이신 박소해님이 다양한 질문을 미리 올려주셔서 질문에 저도 공감하면서 읽었습니다!
[박소해의 장르살롱] 22. 한국추리문학상 대상 <타오>를 이야기하오
D-29
만렙토끼
만렙토끼
뭔가 전문적인 질문들 사이에서 뜬금없는 질문이라 느끼실 수도 있겠습니다만, 그래도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타오는 그녀를 위한다고 했던 남자들을 어떻게 생각했나요? 책 속에서 솔로몬을 만난건 금전적 이유 때문이었을 거다, 아이와 아이의 아버지를 사랑했다 같은 부분이 나오기는 하는데 궁금해서요. 솔로몬도 이진우도 이진우가 타오를 돌보라며 보낸 이근식도 타오 입장에서는 어떻게 여겼던 건지 알고 싶어요
만렙토끼
앗, 즉흥 질문으로 하고 싶은데 그 질문 태그를 어떻게 다는건지 잘 모르겠네요ㅠㅠ @박소해 도움 부탁드립니다!

박소해
<즉흥 질문> 이라고 붙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리 해주시면 제가 노란 칠을 하겠습니다.

예스마담
사실 제목이 '타오'인데 타오가 안나와서 너무 궁금하다가 본격적으로 타오가 거론되고 부터 너무 재밌었어요. 제목 진짜 잘 지으신것 같아요.
김세화
감사합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외우기도 쉬운 제목인 것 것 같더군요.

박소해
@모임
안녕하세요. 라이브 채팅을 시작합니다.

장맥주
와와~~~. 저도 설거지 막 마치고 들어왔습니다.

박소해
오오 멋집니다. :-) 전 오늘 저녁은 라이브 채팅에 들어오려고 서브웨이 클럽 샌드위치로 먹었답니다.
만렙토끼
라이브채팅 정식 시작이네요!!!

박소해
@모임
오늘 집안 일로 조금 늦게 들어왔네요. 죄송합니다. 활발한 토론 좋습니다. :-)

장맥주
지난번 박장살 라이브채팅한 걸 아내가 보더니 <엘리펀트 헤드>를 후딱 읽더라고요. 정작 저는 지금 읽는 중인데 약간 혼란스러워서 더 읽어야 하나 말아야 하나 망설이는 중입니다.

박소해
마음이 이끄는 대로~~~

예스마담
돌조각은 달이 아니라 성당 마당에서 본 순교자의 돌형구 같았다
『타오』 393, 김세화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박소해
이 문장 좋았죠... 찡~~
화제로 지정된 대화

무경
뒤늦게 짧은 감상 남깁니다. 요즘 제 오랜 업보(=원고)에 시달리고 있어서... 라는 핑계로 게으르게 있다가 이제야 왔네요^^;
처음 <타오>를 완독하고서, '이런 작품이 한국에서도 나올 수 있다!'라는 생각부터 했습니다.
'한국 추리소설을 왜 읽지 않는가?'라는 오랜 질문이 있지요. 거기 제시되는 대답 중, '한국 추리소설의 수준이 외국 것만 못하기 때문'이라는 말이 자주 나옵니다. 이건 참, 한국에서 추리소설을 쓰는 작가로서는 차마 긍정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는 답이었습니다.
하지만 <타오>를 읽고서는 위의 대답을 당당히 부정할 날이 멀지 않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치밀하고 담담한, 그러면서도 힘 있는 전개는 무척 놀라웠습니다. 수준 높은 작품을 읽는다는 고양감이 들었습니다. '한국 추리소 설 중 읽어볼 만한 게 뭐가 있냐'라고 누군가 제게 질문한다면, (제 걸 제외한다면) <타오>를 1순위로 권할 것 같습니다.
김세화 작가님께 질문입니다. 작가님은 오지영 형사과장 시리즈를 대구를 배경으로 삼아서 쓰고 계시지요. 특정한 지역을 배경으로 창작을 하는 작가로서 어떤 좋은 점과 나쁜 점이 있을지 듣고 싶습니다.
김세화
과분한 평 감사합니다. 무경 작가님 생각에 공감합니다. 얼마 전에 우리 작가의 추리소설을 읽었습니다. 저와는 스타일, 관점, 주제의식, 소재의 성격 등 모든 것이 다르지만, 매우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최근에 읽은 미국의 유명 추리작가, 일본을 대표하는 작가가 쓴 작품들보다 몰입도가 훨씬 높았습니다. 물론 유럽과 미국, 일본 작품이 양과 질에 있어서 압도적인 것은 인정하지만, 그렇다고 우리 작품이 수준 이하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너무나 아쉬운 대목인데 제가 보기에 무경 님을 비롯한 요즘 젊은 작가들을 보면 우리 작품이 그들 나라에서 베스트셀러가 되고 작품성으로도 높이 평가될 날은 얼마 남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대구의 이야기를 모티프로 삼고 있지만 대구를 무대로 쓰지는 않았습니다. 대구를 장소로 한다, 안 한다는 별 의미가 없는 것 같고 다만 대구의 성격을 직접 겨냥해 하는 이야기는 구상 중인데 이는 다른 지역과의 연관 관계 속에서 전개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이 경우 대구에 대해 공부를 하고는 있는 만큼 상대적으로 깊숙한 내용을 꺼내는 것이 용이할 것 같습니다. 제가 살지 않는 지역이라도 연구를 많이 했다면 얼마든지 그 지역과 관련시킨 작품을 쓸 수 있다고 봅니다. 한강의 <작별하지 않는다>처럼 말입니다. 물론 저와는 다른 차원의 작가님이지만 말입니다.
만렙토끼
대구에 거주하고 있어서 작가님이 구상 중인 이야기에도 관심이 가네요. 기대하고 있겠습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챠우챠우
<(너무늦은)사전질문>
Q13. 소설 제목인 '타오'라는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책을 한참 읽다가 슬쩍 나오는 게 너무 마음에 들었습니다. 혹시 다른 제목 후보도 있었나요? 궁금합니다.
Q14 언론사를 공장으로 지칭하는 건 내부에선 오래된 관행인가요? 왜 공장이라고 부를까 매번 들을때마다 신기하긴 합니다.

챠우챠우
Q13 에 덧붙이는 말입니다. 기부자 명단에서 타오가 처음으로 슬쩍 나올 때, 작가님이 왠지 이런 마음이셨을 것 같았습니다. '타오 나왔다 이 녀석들아, 앞으로 잘 찾아봐라'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