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작가의 손을 떠난 작품은 다양하게 해석되니깐요ㅋㅋㅋ 하지만 그런 결말은 왠지 소시오패스 같은 느낌이 들게 하는데요ㅋㅋㅋㅋ
요즘 <일리아스>를 쭉 읽으면서 든 생각인데요.
극중 필멸의 인간이 불멸이라는 명성을 얻기 위해 저마다의 서사극을 보여 주지만요,
지금껏 이름이 회자되는 영웅들도 불멸이라는 신들도 결코 완벽하지 않다는 거에요. 특히 감정적인 부분이요.
자신의 전리품을 빼앗겼다고 분노하여 어머니를 이르는가하면, 자신이 아끼는 인간이나 후손에게 더욱 애정을 보이며 도와주기도하죠.
전자로 인해 전세는 역전되고 후자로 인해 죽을 사람이 살기도 하죠.
이렇듯 영웅과 신들 조차도 도덕나 규칙에 상관 없이 자신들의 감정을 억제하지 못하고 ‘표출’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어요.
그에 반해 우리는 이러한 감정들을 ‘이성’이라는 이름으로 꽁꽁 싸서 말 그대로 바닥을 향해 감금해버리려고하죠.
남들에게 보기에 부끄럽고 수치스럽다는 생각때문에요.
그러다보면 에릭이 혼잣말처럼 중얼거린 문장[부식이 일어난거죠]처럼 되어버리게 되는거죠.
부식이 일어나면서 저 바닥 깊이 이성이 얇게 덮고 있던 감정은 기형적으로 ‘폭발’해 나오고 수많은 에릭들이 실제보다 더 나쁜 상황에 빠져들게 된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그때 그때 적당히 감정을 표출해주는게 좋다고 하더라고요ㅋㅋ
끝으로 제가 좋아하고 즐겨 쓰는 표현인데요.
[나쁜 사람은 없다, 나쁜 상황만 있을뿐.]
아참~ 연극에 대한 평은요,
짧은 시간안에 소설을 내용 잘 살린 점은 좋았지만, 역시 결말 부분을 비극적이게 그려 개인적으로 아쉬웠어요.
가족 사진도 스크린을 통해 볼 수 있게 연출했으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했어요. 가족사진이 이 작품에서 결말까지도 이어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에릭의 생각과 감정에 따라 사진속 모습이 달리 그려지는 부분이 주요하다고 봤거든요.
이상 대단원 마무리합니다!!
[그믐연뮤클럽] 5. 의심, 균열, 파국 x 추리소설과 연극무대가 함께 하는 "붉은 낙엽"
D-29

조반니

jena
~^^
많이 추웠던 날의 연극관람~ 이야기나눔이
아주 오래전 일인것같은 느낌이 드네요
저는
연극에서 보았던 한 장면속 짧은 독백?이
계속 생각났었습니다.
에릭의 아버지가 무대에 등장해서
떨어지는 붉은낙엽,
바닥에 쌓여있는 낙엽을 보며 하는 말이에요
'나뭇잎이 왜 계속 떨어지는거야..
제때 떨어지는 낙엽을 쓸지않고~~~'
(정확한 대사는 아니지만, 대충 이런 의미의 대사였어요)
우리안에 드는 의심과 나만의 생각들, 나 자신과 해결되지않은 것들은 계속 생겨날 수 있을테지만요
그것들을 때에 맞게 잘 쓸어담아 처리, 해결해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지나치듯 들었던 그 대사와 장면들이
의미를 갖고 제게 다가오는것은
책을 읽고 극으로 표현된것을 함께 보았기 때문인것같아요
좋은 기회로 함께 읽고보고 나눌 수 있어 좋았습니다^^

김새섬
'나뭇잎이 왜 계속 떨어지는거야..
제때 떨어지는 낙엽을 쓸지않고~~~'
알려주신 대사가 인상적이네요. 계절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뭘 하지 않아도 자동적으로 떨어지는 낙엽들. 저의 오래된 신념인 엔트로피 제2법칙이 여기서 다시 등장하는건가 싶습니다. ^^
화제로 지정된 대화

수북강녕
@모임 봄을 향해 가는 시점, <붉은 낙엽> 의 흉흉한 적조와 함께 해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그믐연뮤클럽]은 다음 6기 작품 선정뿐 아니라, 2025년 함께 읽고 볼 작품들을 계속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 방은 곧 닫히지만 날이 따스해지는 대로 6기 모집도 곧 시작하려고 합니다 그믐을 계속 지켜봐 주세요
작품과 모임에 대한 문의는 언제든 @soobook2022 로 인스타그램 DM 주시기 바랍니다
한 달여 시간 동안 감사했고 즐거웠습니다 ^^ 방이 닫힐 때까지 자유롭게 말씀 나눠 주세요 저는 수료증을 준비하겠습니다 🤎

Alice2023
7기 모임도 기대하겠습니다. 잘 이끌어 주셔서 감사했어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