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뇨! 늦은 것 같지 않아요.
강을 건너고 싶을 때 준비해도요^^
〔날 수를 세는 책 읽기 ㅡ 2월〕 선릉과 정릉
D-29

밝은바다

jena
그럴까요....?
밝은 바다님의 답이 왠지.....위로가되네요
~^^

밝은바다
다행히도 남은 내 낡은 구명조끼
아직 오지 않은 밤을 위한 손전등
빌려주지 않고 아주 쥐여준 다음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나루터를 지키는 사람>, p.85,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밝은바다
<나루터를 지키는 사람>
나는 다른 이들에게 수영할 줄 모르니 강 건너는 걸 도와달라는 말을 못했지만, 강을 건너기 위해 애쓰는 이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는 마음이 선배 같고 어른 같네요.
가진 것을 주고, 뗏목을 손이 닿지 않을 때까지 밀어주고...
그 사람이 꼭 건너길 바라는 화자의 마음이 느껴지는 시였어요.

jena
어른이라는 말도 좋고
선배라는 말도 좋은데요
~먼저 경험한 사람으로 기꺼이 다른이의 필요를 채워주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하금
이곳에서의 삶이 아직 내게 무언가 마련해놓았다고, 덥석 믿어버리는 것. 무턱대고 긍정하는 것. 되살아난 사람의 마음으로.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p.90 (2월 16일의 편지, 계절 서간-가을),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 그렇게 지나간 구름은 다 까먹고서 이제 막 맞이한 구름을 또 예뻐하는 일. 그렇다고 새까맣게 잊진 않고, 어디선가 빗방울로 또는 어느 바닷가의 파도로 재회한다는 것만은 내내 기억하는 일. 언젠가 다른 모양으로 만나게 될 예쁜 것들을 잠자코 기대하는 일. ”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pp.90-91 (2월 16일의 편지, 계절 서간-가을),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그러니 흘러가도록 정해져 있는 것들은 반드시 흘러가기를. 나로부터 당신에게로, 당신으로부터 나에게로.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p.91 (2월 16일의 편지, 계절 서간-가을),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https://youtu.be/Ccoz1SFDjIQ?si=ppKi3tX18g2TKC-x
마고리엄의 장난감 백화점 (Mr Magorium's Wonder Emprium)이라는 영화를 아시나요? '흘러가도록 정해져 있는 것들은 반드시 흘러가기를.'이라는 문장을 읽고 이 영화가 생각났는데, 유명하지는 않던 영화라 다른 분들이 알고 계시는지 궁금하네요. 2007년 개봉작으로, 벌써 18년 전에 개봉한 영화네요. <캐롤라인과 비밀의 문>과 함께 제가 오랫동안 좋아하고 있는 향수를 가득 담은 영화입니다.
'마고리엄'이라는 수수께끼의 노신사가 운영하는 마법의 장난감 백화점을 배경으로, 이제 세상을 떠날 준비를 하는 마고리엄과 아직 그를 보낼 준비가 되지 않은 장난감 백화점 매니저이나 피아노 연주가 '몰리 마호니', 장난감 백화점의 단골 어린이 손님이자 모자 수집가인 '에릭', 그리고 마고리엄이 고용한 회계사 '헨리'. 총 4명의 인물을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가는데요, '마고리엄'이라는 챕터를 끝낼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몰리와 에릭, 그리고 새 챕터를 준비하려하는 헨리의 충돌이 가슴 아프로 또 다정한 마법으로 가득 차 있습니다.
오늘의 편지에서 시인은 '아직 좋은 것들이 남아 있고, 마땅히 나에게 올 것은 오기 마련이다.'라는 메세지를 건네고 있는데, 영화도 그와 비슷한 메세지를 전달합니다. 지나간 계절은 '이 계절도 즐거웠지.'하고 보내주면 된다고. 그 뒤를 꿈꾸고 꾸려나가는 것에 더 집중하자고. 그래야 다시 마법이 돌아온다고.
요새 하루가 다 똑같고 축축 쳐지는 것 같을 때 보면 좋은 영화예요. 저도 오랫동안 잊고 있었는데 다시 봐야겠네요ㅎㅎ.

밝은바다
저 모르는 영화에요! 보고 싶어서 넷플릭스 찾아봤는데 없네요 ㅠㅠ

jena
2월 16일(편지)
계절 서간 –가을
글을 쓰고 있는 작가의 가을은 아직 여름의 더위가 가득한 가을인 것 같아요
작년 무더웠던 가을처럼요
잔에 담긴 얼음이 달그락달그락
그 소리를 들으며 안전해졌다는 기분이 들었다는 것이 흥미로웠습니다.
얼음의 시원함이 좋았을 수도 있지만,
달그락거리는 얼음 소리에 안전함을 느낄 수 있었다니
많은 감각이 예민하게 살아있는 사람이군...하고 생각했어요 ㅎㅎㅎ
그리고,
소리라는 감각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네요
보는 것, 시각에 많이 의존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듣는 것, 청각이 나에게 가져다 주는 것이 많이 있었지하고요..
작가가 시 속에서 할 수 있는 것들을 나열한 부분도 흥미로웠구요
시라는 공간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사람이구나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내가 안전하게 느끼는 소리 또는 좋은 느낌으로 받아들이는 소리는 무엇일까?
나는 무엇 안에 있을 때 자유롭게 상상하고 즐거워 할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떠올려 보았습니다.
이곳의 다른 분들은 질문을 떠올리셨을까요? 답을 생각해내셨을까요?
저는 질문의 답을 찾아보고 있어요..
작가처럼 창밖을 보며 따뜻한 아메리카노를 마시면서요....ㅎㅎㅎ
떠올린 질문도 답도 함께 나누어 보아요
평안함이 가득한 주말을 보내고 있으시길 바래어 봅니다.

밝은바다
그러게요 ㅎㅎ 달그락 얼음 소리에 안전함을 느끼다니...
음...제가 안전하게 느끼고, 좋은 느낌으로 받아들이는 소리, 생각해보니까 '쌔근쌔근' 곤히 잠든 아이의 숨소리인 것 같아요. 잠든 아이 옆에서 혼자만의 시간을 가질 때 자유롭고요^^

밝은바다
이곳에서의 삶이 아직 내게 무언가 마련해놓았다고, 덥석 믿어버리는 것. 무턱대고 긍정하는 것. 되살아난 사람의 마음으로.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계절 서간 - 가을>, p.90,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밝은바다
<계절 서간 - 가을>
'아, 살 거 같다' 이 말 저도 자주 하는데요.
그 다음에 '되살아난 사람'의 마음으로 바깥을 보지 못했는데,
오늘 시에서 긍정적인 기운을 많이 느꼈어요.
구름처럼 흘러가는 대로-
지나간 구름은 까먹고, 이제 막 맞이한 구름을 예뻐하고.
(그렇지만 지나간 구름을 새까맣게 잊진 않고 기억하고)
언젠가 다시 또 만날 수 있을거란 기대로
흘러가는 것이 꼭 슬픈 것이 아니라는 생각을 저도 다시금 해보게 되었어요.

밝은바다
2. 28.(금) 파주 '사적인 서점'에서 북토크 행사가 있네요!
일정이 되신다면, 그날 같이 참여하면 좋을 것 같아 공유해요!


jena
오호~~~~~우리들에게 반가운 소식이네요...
같이 가면 너무 좋겠는걸요
같이 가실 수 있는 분들을 모아볼까요?
함께 가게 된다면 우리만의 오프라인 모임도 성사될 수 있을 것 같네요

jena
밝은바다님이 알려주신
2월 28일 금요일 저녁
파주 사적인 서점의 북토크에 참여하실 수 있는 분 답글 남겨주시어요~~^^

밝은바다
방금 북토크 결제했어요^^

jena
빠르게 진행하셨네요
저도 참가해보려고 일정을 조율중에 있어요..
북토크도 그렇지만, 밝은바다님을 대면해서 뵐 수 있게 되려나?하는 기대가 생기는데요~^^

하금
멀리서 다가오는 쇄빙선 하나를 나는 눈에서 조용히 지워냈습니다.
『선릉과 정릉 - 전욱진의 2월』 p.95 (2월 17일의 시, 감은 빛), 전욱진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