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 그런 뜻이었나요? 본지가 하도 오래되어서...
책이고 영화고 한 두번 봐가지고는 안되는 거 같아요.
스토리 탐험단의 두 번째 여정 [스토리텔링의 비밀]
D-29

stella15

강작가
‘(회화, 음악 비극과 같은 모방) 예술은 실제를 재창조하지만 정교하게 조직해야 하고, 그 결과 관객들에게 정서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가상세계를 만들어내야 한다.•••실제로 극적 행동이 실재를 효과적으로 모방해야만 관객들이 그 극적 행동에 대해 실제 사건을 대할 때와 ‘비슷하게‘ 반응하고, 관객들의 뇌도 행동하는 상태로 고양된다.’ (40-41 쪽 스토리텔링의 비밀)
————————————————————————————-
저는 어떻게 ‘스토리텔링의 비밀’이 ’이야기의 탄생’과 페어링이 되는 지 궁금했습니다. 인용 구절을 읽으니 그 답을 추측하게 됐습니다. ’이•탄’에서 저자는 ‘우리 눈 앞에 펼쳐진 현실은 뇌에서 실재하는 것처럼 구축된 환각 모형이다.’라고 주장합니다. 여기서 환각 모형은 인용문에서 언급된 가상세계와 유사한 의미입니다. 그렇게 가상세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정하고 읽으니, 예전에 이 책을 읽었을 때보다 내용 파악이 뚜렸해집니다.

이기원
@강작가 우와... 제가 페어링한 이유를 알아주시니 저절로 감읍이 됩니다. 흑흑...

김사과
어제 겨우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와서 조금 읽었습니다. 열심히 읽어야겠는데 주부에게 가장 바쁜 주말이 오고말았네요. ^^; 영화쪽은 잘 몰라서 낯설면서도 새로운 이야기를 듣는 즐거움이 있습니다. 대부 옛날영화잖아하고 관심도 없었는데 보고싶어졌어요. 이렇게 보고싶은 책과 영화가 쌓여가고... 인간의 삶은 유한하지요....

이기원
@김사과 저도 대부나 죽은 시인의 사회 등등 다시 보고 싶어지더라구요. 근데 일단 보면 재미있는데, 선뜻 리모컨에 손이 안간다는 ㅠㅠ

욱희씨네
<작품분석_나만의 양식> *다큐멘터리 작업에 있어서!
/ 사로잡는 로그라인이 있는가_한 문장으로 말하기
/ 현재성이 있는가_관객들의 관심, 공감
/ 누가 흥미로워 할 것인가_소구대상
/ 매력적인 캐릭터가 있는가_마음이 가는 사람
/ 카타르시스가 있는가_울거나 웃거나
/ 감탄할 영상이 있는가_촬영
/ 분노의 대상이나 사건이 있는가
/ 새로운 정보는 무엇인가_가치
/ 예술적 가치가 있는가_새로운 시도, 비관습적 태도

이기원
@욱희씨네 서로 다른 장르에서 같은 원칙을 발견할 때... 쾌감을 느낍니당 ㅎㅎㅎ 으아... 짜릿!!

욱희씨네
이야기가 원하는 것을 말하라.
훌륭한 작가는 이야기를 위해 일하고, 시원찮은 작가는 자신의 생각을 말하기 위해 일한다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21,22,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비온트랙
<이야기의 탄생>은 읽다가 중도 포기했어요ㅠ 전에도 시도했는데 이번에도 이해가 안 되는 문장을 여러 번 읽다보니 결국에는 다음 번 읽기를 기약하게 됐습니다. <스토리텔링 의 비밀> 읽으면서 혼자 완독을 해보겠습니다!

이기원
@비온트랙 <이야기의 탄생>은 너무 급하게 생각하지 마시고... 올 시즌을 지나면서 다시 읽고 싶어질 때 읽으셔요. 단, 조금씩 읽으면 무슨 얘긴지 잘 안 들어옵니다. 읽을 때 챕터별로 팍팍 잀으셔야 해요. ㅎ

stella15
이책이 쳅터도 짧고 매 쳅터마다 맺는 말도 유머와 위트도 있긴한데 정말 읽을수록 뭔말을 하는지 혼미해지는 게 있어요. 그렇다고 시학을 읽을까 하다가도 그러다 아예 혼수상태에 빠질 것 같아 거기까지는 가지않는 걸로.
사람마다 생각이나 느낌이 다르겠는데 이 책 좋다고 하시는 분들 그냥 좋다고만 하시지 마시고 어떤 구절이 어떻게 좋은지 나눠 주셨으면합니다. 같이 좋으면 좋은 거 아닌가요? 힝~ 😢

이기원
@stella15 짧은 책이니까... 후딱 읽고 한 번 읽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ㅎ

stella15
ㅎㅎ 고려는 해 보겠으나 앓느니 죽을 수도...ㅋㅋㅋ
밥심
@stella15 님. 제 생각에도 후딱 한 번 읽고 천천히 재독하는 것이 그나마 최선의 방법 같습니다. 제가 지금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 좋은 이야기 창작이 어렵기 때문에 그 이야기를 쓰는 방법을 제시하는 작법서도 쉬운 책은 별로 없는 듯 합니다. 작년에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라는, 작법서 바닥에서는 꽤나 유명하다는 벽돌책을 꾸역꾸역이라도 완독한 덕에 그나마 <이야기의 탄생>도 <스토리텔링의 비밀>도 대충 무슨 이야기를 하는지 알 것 같지만 여전히 확 와닿지는 않네요. 우리가 뭔가를 교육받을 때 실습이 동반되지 않으면 교육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듯이 작법서도 직접 이 야기를 만들어보면서 읽지 않는 한 통쾌한 독서가 되기는 어렵다는 생각이 듭니다.

stella15
그건 그래요. 작법서 읽는다고 글을 잘 쓰게되는 건 않더라구요. 잘쓰던 못 쓰던 한 번 써 보는 게 낫지. 저도 예전 추억 생각하며 꺼내 본 겁니다. 구성은 좋은데 번역이 문제인지 아니면 작가가 원래 그렇게 써서인지 뭔가 이해될듯한데 잘 모르겠는 그런게 있단 말이죠. ㅋ
링곰
주인공의 삶에서 하나의 강력한 극적 행동을 이끌어내 보여줌으로써, 당신은 주인공을 그려낼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P.48,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링곰
아리스토텔레스의 교훈 : 액션 아이디어를 모든 장면과 이야기의 주제를 움직이는 힘이 되게 하라.
『스토리텔링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p.54, 마이클 티어노 지음, 김윤철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영글음
여기는 영국 스코틀랜드입니다. 1월달 <이야기의 탄생>을 읽고 야심차게 (어떠한 망설임도 없이) <스토리텔링의 비밀>을 신청했건만 이북이 없네요. ㅎ 지금 어떻게 한국에서 공수해올 것인지 고심하면서 다른 분들이 올리신 글 보고 있어요.
행동이 중요하다!!! 주인공의 행동으로 플롯도 보여주고 캐릭터도 보여줘라~ 그 힘으로 이야기를 끌고 가라~~! 대략 이렇게 정리하면서 가고 있는데 맞겠죠? ^_^

이기원
@영글음 아... 그런 문제가... ㅠㅠ 다음 페어링 독서는 모두 절판된 책인데... ㅠㅠ 다음 페어링에도 참여하실 생각이시면... 제게 메일(keewon77@naver.com)을 주시면, 제가 중고로 '스토리텔링의 비밀', '히트 메이커스', '블록버스터 법칙' 등 3권을 구입해서 스코틀랜드로 보내드릴게요. 책이 없어 못읽어서야 어디 되겠습니까?
시원한바람
지방에 사는 사람으로서 수다 모임이 너무 부러워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