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그에게 혹시 바다소금쟁이를 아느냐고 물었다. 월시는 걸음을 멈추더니 소리쳤다. “할로바테스!”
잘 알려지지 않은 이 작은 야생동물에 대한 나의 열광을 그것을 잘 아는 누군가와 나눌 수 있어서 나는 무척 기뻤다.
할로바테스 속에 속하는 바다소금쟁이의 삶은 끝없는 탐험의 삶이다.
...
생의 종말이 다가왔을 때 그들은 깎인 손톱이 떨어지듯 부드럽게 그 아래 바다의 심연으로 홀로 가라앉는다. 홀로 살아가는 삶, 그리고 그중 일부에게는 육지는 한 번도 본 적 없는 삶.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dobedo

dobedo
바다소금쟁이의 어떤 부분에 그리 열광했을까 모르겠다 싶다가 마지막 문장에서 (억지로 쥐어짜내면) 살짝 이해할 것도 같고요. 저에게는 탐험가의 면모가 도통 없나 봅니다.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은 익숙한 내 공간에서 책과 동영상으로 안전하게 해소하는 걸로 충분한 사람...
이 문장 읽다가 깨달은 건데 제가 학명을 아는 생물은 딱 둘이네요. 동물계에 하나, 식물계에 하나. 호모 사피엔스와 카멜리아 시넨시스. 동거묘도 알아줘야지 싶어서 새로 하나 더 외웠습니다. 펠리스 카투스.

봄솔
저도 그래요.
수평선 너머가 전혀 궁금하지 않은 새럼이에요 저는..

dobedo
저는 궁금한 게 많은 사람이라 그 점에선 공감가는 점이 많아요. 그리고 어떤 대상에 대한 열광을 나눌 대상을 만났을 때 기뻐하는 모습에서도 저를 발견했고요. 다만 그 대상이 저는 존재를 알지도 못했고, 알고 나서도 그닥 관심이 생기지 않는 바다소금쟁이네요.
지적 호기심은 책이나 다큐멘터리 같은 걸로 해결할 수 있어도 그 장소의 그 온도, 습도, 냄새 같은 것들을 책이나 영상으로 대신 감각할 순 없기 때문에 언젠가 한 번은 세렝게티나 마다가스카르나 파타고니아 같은 대자연을 마주하고 싶다는 꿈은 있어요. 비록 탐험가가 되고 싶은 생각은 없지만 짧은 트레킹 정도는 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죠.

새벽서가
전 세렝게티는 경험했는데, 마다가스카르와 갈라파고스는 가보고 싶어요. 더불어 페트라와 티벳 사원이 아직도 버킷리스트에 남아있습니다.

새벽서가
저는 살면서 두 번 크게 바뀌었는데, 첫번째는 엄마가 되고서였고 두번째는 40세 생일을 맞은 후였어요. 그 후로 10여년이 더 지났는데, 나이가 들수록, 아이들이 자랄수록 모험심이 줄어요. 괜히 내자신을 위험레 노출시켜 혹시라도 아이들이 엄마없이 자랄일은 만들지말자는 생각이 강해지는것 같아요. 게다가 체력도 떨어지니 더더욱 집안에서 꼼지락거리며 노는걸 더 좋아하게 되네요.

dobedo
저도 살면서 두 번 크게 바뀌었는데, 제 변화는 모두 큰 상실 뒤에 왔네요. 첫 번째는 오랜 연애가 제대로 끝난 뒤에. 내 바닥을 봐야(그럴 용기가 있어야) 남의 바닥도 보이는구나 하는 값진 깨달음. 두 번째는 아버지와 고양이들이 몇 년간 앓다가 차례로 세상을 떠난 뒤에. 나는 감정을 잘 다스리는 사람이야 하고 생각했는데 전혀 아니었네 하는 늦었지만 큰 깨달음.

새벽서가
그렇게 큰 상실감을 겪고 사람이 변하지 않는다면 그것고 이상할것 같긴해요. 사랑하는 가족과 반려묘를 잃는 경험은 저도 했는데, 시간이 지나니 아픔이 옅어지긴 하는데, 평생 없어지진 않을듯해요.

장맥주
제가 잊지 못할 동물 학명 두 개 추가해드려도 될까요? ㅎㅎㅎ
개복치: 몰라 몰라 Mola mola
까치: 피카 피카 Pica pica

오구오구
잉??? 피카피카가 까치에요?
몰라 몰라 ㅋ 너무 재밌네요 ㅎ

dobedo
하하 안타깝게도 이미 들은 바 있고 재미있다고도 생각했으나 외우지는 못했네요. 이번엔 두 번째니 외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피카 피카, 몰라 몰라...

장맥주
사실 좋아하는 공룡이 몇 종류 있으시다면 동물 학명을 이미 여러 개 외우고 계신 셈입니다. 티라노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스테고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벨로키랍토르...

dobedo
공 룡에 대해서는 닭의 조상이라는 것 빼고는 아는 게 거의 없지만 그래도 학명은 알고 있었네요. 티라노사우루스, 브라키오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

borumis
뭔가 포켓몬에 나오는 이름같네요 ㅎㅎ

새벽서가
우리가 별자리라 부르는, 선으로 그어 만든 도형들은 지구에서 바깥을 내다보는 사람에게만 존재한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 Passing beyond this line, ships disappear; on this side, they rise up from the water. This was the mapmaker’s liminal line, the edge of the known.
그 선을 넘어가면 배들은 사라지고, 선의 안쪽으로 오면 배들은 물에서 솟아오른다. 수평선은 지도 제작자의 문턱이었고, 미지의 가장자리였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https://www.law.berkeley.edu/news/boteros/botero-slides/
https://www.researchgate.net/figure/Fernando-Botero-Abu-Ghraib-45-2005_fig9_314243436
콜롬비아 출신 화가 페르난도 보테로의 아부 그라이브의 수감자들 그림들입니다. 잔인하다고 느끼실것 같아 이미지대신 링크로 올려요.

꽃의요정
올려주신 그림 둘 다 봤는데, 역시 전 사람이 크게 부각되는 그림을 좋아하는 것 같아요. 페르난도 보테로 님 그림 강렬하네요!

새벽서가
고문받는 모습들을 그려낸거라니요. ㅠㅠ

모시모시
둥글둥글하고 풍만한 모습의 인물이 등장하는 콜롬비아 민중생활이나, 르네상스 작품 패러디로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이런 시리즈도 그리셨군요. 충격적인 그림이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