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아~!대단합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stella15

dobedo
대자연... 아름답습니다! 하늘은 왜 이리 파래요오?! (부럽네요)

새벽서가
10월의 콜로라도는 예술입니다. 저거 보정 1도 없는 휴대폰 사진이거든요.

YG
@오구오구 『나를 부르는 숲』은 저의 최애 책이기도 합니다. 사실, 저는 빌 브라이슨 책 가운데 이 책을 제일 좋아해요.
안물안궁 덧붙이면, 두 번째는 이 책의 친구도 조연으로 등장하는 『빌 브라이슨 발칙한 유럽 산책』이고. 세 번째는 『빌 브라이슨의 재밌는 세상』입니다. 세 번째 책은 『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 산책』이라는 전혀 엉뚱한 제목으로 개정판이 나오긴 했는데. 사실은 빌 브라이슨이 자기 어린 시절 1950년대를 회고한 책이랍니다. 작년(2024년)에 『4321』 함께 읽을 때도 같이 읽으면 좋을 책으로 소개했었죠.

빌 브라이슨 발칙한 유럽산책 (리커버 에디션) - 발칙한 글쟁이의 의외로 훈훈한 여행기배낭을 어깨에 둘러메고 유럽에 빌 브라이슨표 유머를 가져온다. 나그네는 늘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지 않기에 지갑을 꼭 움켜쥐고 20년 전 학생일 때 여행했던 자신의 발자취를 더듬으며 대륙의 최북단 함메르페스트에서 아시아와 허리를 맞대고 있는 이스탄불까지 여행한다.

빌 브라이슨의 재밌는 세상<나를 부르는 숲>과 <거의 모든 것의 역사>의 저자 빌 브라이슨이 자신의 어린 시절 이야기를 풀어놓은 책. 1951년 미국 중부 아이오와 디모인에서 태어난 저자는 ‘선더볼트 키드’라는 페르소나를 출발점으로 삼아 자신의 어린 시절과 그 시대상을 생생하게 펼쳐 보인다.

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산책 - 개정판자전적 회고를 씨줄로, 사회문화사를 묘파하는 유쾌통쾌한 직설을 날줄로 엮어낸 <빌 브라이슨 발칙한 미국산책>은 작가의 유년기 기억 속에 사회상을 펼쳐낸, 자전적 역사 에세이이다. 20세기 한가운데 아이오와 디모인에서, 베이비붐 세대의 일원으로 태어난 빌 브라이슨. 그가 ‘선더볼트 키드Thunderbolt Kid’라는 페르소나를 주인공으로 삼아 그 자신과 미국의 1950∼1960년대를 생생하게 되살렸다.
책장 바로가기

borumis
아, 안그래도 등산 하이킹 얘기하면서 빌 브라이슨이 Appalachian 하이킹하던 책이 생각났어요. (나를 부르는 숲?으로 번역되었네요) Robert MacFarlane의 Mountains of the Mind도요. 전 고산증과 뇌혈관병증 때문에 안데스에서도 알프스에서도 정신을 잃고 산소탱크를 달았지만.. 바다보다 산을 좋아해서 이런 책을 읽으면서 대리만족을 합니다.^^;;

나를 부르는 숲 - 미국 애팔래치아 산길 2,100마일에서 만난 우정과 대자연, 최신개정판빌 브라이슨은 20년간 영국에서 살다가 미국으로 돌아가, 조지아 주에서 메인 주에 이르는 3천360킬로미터의 애팔래치아 트레일 종주를 결심한다. 그것이 그가 다시 고국과 친해지는 방식이었다. 책은 그가 애팔래치아 트래일 종주를 하는 동안 만난 숲과 호수의 놀라운 경치, 낯설고 흥미로운 인물들의 이야기와 함께, 마지막 남은 위대한 자연을 보존해야 한다는 호소를 담고 있다.

산에 오르는 마음 - 매혹됨의 역사인류가 산과 그 아름다움에 매료되어온 역사를 다룬 책으로, 저자 로버 트 맥팔레인이 불과 28살이었던 2003년에 내놓은 데뷔작이다. 『가디언』 퍼스트 북 어워드, 서머싯 몸상, 『선데이타임스』 올해의 젊은 작가상 등 큼직한 상을 여럿 받았을 정도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책장 바로가기

오구오구
유럽산책과 미국산책은 읽었는데, 재밌는 세상은 안 읽었어요~ 빌브라이슨 책을 거의 다 읽었다고 생각했는데... 재밌는 세상, 읽어야겠네요~ 나를 부르는 숲이, @YG 님 최애책이라니 너무 반갑네요. 저도 정말 좋아해요. 저는 친구들하고 원서로 읽고 한글로도 읽었을 만큼 ㅎㅎ 좋아합니다... 재독 거의 안하는데말이죠!!!

borumis
우와!! 정말 대단합니다. 전 고산증 및 몸이 워낙 부실해서 이렇게 등산 잘 하시는 분들이 참 부럽습니다.

dobedo
어이쿠야 이런 지도도 있군요! 다리가 천근만근인 게으름뱅이는 모르는 세계...

dobedo
100군데 산을 다녀오셨단 말입니까??!! 와우.. 실행력 부럽습니다!

소피아
두둥~ '산에 오른다'는 표현대신 '산을 탄다'라고 표현하는 진정한 산악인 등장!!
100대 명산 완주라고요??? 이 타래 포스트 처음 썼던 사람으로 무진장 부끄럽네요 흑.

오구오구
아 그러네요. 저는 산 탄다라는 표현을 많이 쓰는데... 아마도 등산 유튜버들 영상을 너무 많이 봐서 그런가봐요 ㅎㅎㅎㅎ

오구오구
아, 불안의 서... 저는 그 의식의 흐름이 따라가기 어렵던데요 ㅠㅠ 그에 비하면 호라이즌은 주술 일치가 되어 ㅠ 읽기 수월합니다. 불안의 서는 읽으며... 주술 일치가 되는게 맞나? 뭥미? 이러면서 읽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연해
오, 저는 <불안의 서>는 읽어보지 못했는데 (아직까지는)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월든>이 떠올랐어요. 자연을 찬미하는 모습과 그 안에 자신의 가치관을 뭉근히 녹여내는 게 닮아 있다 여겨집니다.

월든 - 완결판19세기 미국의 위대한 저술가이자 사상가인 헨리 데이빗 소로우의 대표작 <월든>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를 더해가고 전 세계 독자들을 끊임없이 새로이 각성시키는 불멸의 고전이다. 그동안 국내에 수많은 번역본이 출간되었지만, 강승영 번역의 <월든> 2011년 개정판이 새롭게 출간되었다.
책장 바로가기

YG
@연해 네, 맞습니다. 정확하게 말씀하셨어요. 우리가 함께 읽는 『호라이즌』도 미국 문학에서 Nature Writing이라는 장르의 전통을 따르는 책입니다. 『월든』이 Nature Writing의 원조 격인 책이고요. 우리나라에 번역된 Nature Writing 걸작으로 꼽히는 주요 작가의 책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북미의 새문명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고전 속 그림을 소개하는 클래식그림씨 시리즈 세 번째 책. 어려서부터 오듀본은 새의 우아한 움직임을 보았고, 깃털의 부드러움과 아름다움을 느꼈고, 완벽한 형태와 뛰어난 자태 에 빠져들 정도로 새를 무척이나 좋아했다.

야생의 땅미국 국립공원의 아버지 존 뮤어의 수필 <야생의 땅> 국내 첫 출간. 존 뮤어의 삶의 목적은 대자연의 사랑스러운 모습에 사람들의 시선을 돌리게 하는 것이었다. 그는 경이로운 자연을 보호하는 운동에 뛰어들었고 빙하와 강, 깊은 숲과 새로운 땅을 탐험하며 섬세하고 예리한 묘사가 돋보이는 글을 남겼다.

사막의 고독 - 황야에서 보낸 침묵의 날들‘서부의 소로’ 에드워드 애비가 남긴 불멸의 생태주의 고전. 50년 이상 사랑받으며 생태 문학의 최고봉에 오른 걸작. 『사막의 고독』은 ‘서부의 소로’로 불렸던 생태주의 작가 에드워드 애비의 대표작으로 사막의 자연과 인간의 고독에 관한 철학적 성찰을 담은 자전적 에세이다.

모래군의 열두 달 - 그리고 이곳 저곳의 스케치, 일러스트 한국어판 24주년 기념 재개정판알도 레오폴드는 미국 산림공무원으로 위스콘신대 농경제학과 교수로 퇴직한 환경학자다. 그는 환경윤리의 아버지라 불리며 20세기에 영향력 있는 보존사상가로 꼽힌다. 저자에 따르면 어떤 사람들에게는 TV 드라마를 보는 것보다 기러기를 볼 수 있는 기회가 더욱 고귀하고, 할미꽃을 감상할 기회가 더욱 소중하다. 책은 이렇게 기러기와 할미꽃을 바라보며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삶의 아름다움을 그렸다.

바다의 가장자리<침묵의 봄> 저자가 쓴 또 한 편의 고전. 레이첼 카슨 전집 3번째 책 <바다의 가장자리>는 1인칭 화자로서 카슨의 목소리가 고스란히 담긴 유일한 작품일뿐더러 생태적 관점에서 쓴 선도적 저술이기도 하다.
책장 바로가기

YG
혹시 언급한 책들 가운데 알도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 달』. 읽어보지 않았어도, 어디선가 접한 낯 익은 책 아닌가요? 저도 재미있게 읽고 좋아하는 델리아 오언스의 『가재가 노래하는 곳』에서 주인공 카야가 처음 읽고 영향을 받은 책이 바로 레오폴드의 『모래군의 열두 달』입니다!

가재가 노래하는 곳 (한정판 리커버 에디션, 양장)델리아 오언스 장편소설 <가재가 노래하는 곳>의 진짜 주인공은 어디에서도 보지 못한 생생한 자연의 묘사다. 수려한 문장을 짚어가면 물속에서 풀이 자라고 물이 하늘로 자라는 빛의 공간, 환상적인 노스캐롤라이나의 습지가 눈앞에 선히 펼쳐진다.
책장 바로가기

새벽서가
책 검색해보고 왜 제목이 귀에 익지? 했는데, 가재가 노래하는 곳때문에 그랬군요?!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

YG
참, 오듀본의 『북미의 새』는 미국에서 고전 대접을 받는 책이고, 그림책인데도 Nature Writing의 전통을 언급할 때 꼭 맨 앞에 두는 책이라서 리스트에 올려 봤습니다.

오구오구
5권의 책, 감사합니다~ 이 중 꼭 하나만 읽어야 한다면 ㅋㅋ 어떤 걸까요.

모시모시
오. 이런 책타래 감사합니다. 😀
전 이 책 읽으면서 매리 올리버의 시와 <긴 호흡>도 생각났어요.

긴 호흡 - 시를 사랑하고 시를 짓기 위하여2009년 9·11테러 희생자 추모식에서 당시 부통령 조 바이든이 낭송하며 전 세계인의 마음에 각인된 시 「기러기」와 퓰리처상 수상 시인으로 알려진 메리 올리버의 세 번째 산문집이다.
책장 바로가기

연해
오, 솔직히 저는 『월든』을 조금 힘겹게 읽긴 했는데요. 『호라이즌』은 (아직까지) 흥미롭게 읽고 있습니다. 문장들이 참 고와요(?). 제 댓글에 이은 책 추천도 가득하네요( @오구오구 님께 해주신 책 추천도요). 매번 정말 감사하면서도, 읽은 책이 한 권도 없다는 사실에 자괴감을 느끼고 있습니다(조금 더 분발하는 것으로). 『북미의 새』라는 그림책에 흥미가 생기고 있어요. 이건 여담이지만 YG님의 책 추천 목록을 볼 때마다 도라에몽(이 만화 아시나요?) 주머니가 떠오릅니다. 꺼내도 꺼내도 계속 나오는 책, 역시 모임지기님의 위엄:)
저는 이번이 세 번째 벽돌책 모임인데요. 일정표도 꼼꼼하게 만들어주시고, 진도에 맞춰 차분히 안내해주시고, 주의를 기울여야 할 대목도 콕콕 짚어주시고. 그와 관련된 다양한 책까지 추천해주셔서 늘 정말 감사합니다.
남은 이번 달도 성실히 읽고, 신나게 참여하겠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