햐... 전 까맣게 잊고 있었는데...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장맥주

새벽서가
🤣

오구오구
오스트레일리아를 가본적이 없어서 지명이 낯설어요. 지도를 모두 찾아보지는 못하지만, 언젠가 호주를 여행할 기회가 있다면 이번 챕터를 읽어보고 하나씩 찾아보고 싶네요.

새벽서가
아무래도 대부분의 관광객들은 호주의 동부와 남부의 대표적인 도시들로 여행을 가서 그렇지 않을까요? 다들 시드니와 멜번, 골든 코스트정도만 가서 그런거 같아요.

오구오구
“ 스트레스가 심한 시기에는 자신이 태어난 물리적 땅에 직접적으로 친밀하게 닿아 있다는 사실을 심리적 닻처럼 의지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땅과 떼려야 뗄 수 없는 이야기들에서 삶의 안내를 받는 사람들에게 요란하게 지나가는 열차의 모습은 트라우마를 후벼파는 자극일 것이다. 열차의 존재 자체가 자기 조상들의 땅에 대한 소유권을 빼앗기고 접근권을 부인당한 자신들의 경험을 상징했다. 이것은 호주에서, 미 대륙에서, 티베트 고원에서, 그리고 또 다른 여러 곳에서 아주 오래 이어져온 이야기다.
”
『호라이즌』 6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친숙한 수탈의 장면이지요. 백년의 고독에서도 나왔던 그 철도의 모습이 그려지네요

오구오구
“ 훼손된 풍경 위에 서 있는 고립된 종착역. 누군가 심기만 하고 물은 챙겨주지 않아 시들고 있는 묘목 몇 그루. 특정 건물에 딸린 건 아닌 듯한 잡초밭에 버려진 채 녹슬고 있는 수백만 달러어치의 기계들. 공기 중에는 탄화수소 가스가 섞여 있어 역한 냄새를 풍기고, 숨을 쉬면 머리가 아프다. 곧 무너질 것 같은 집들이 깔끔한 조립식 창고들과 맞닿아 있다. 모텔 주차장에는 담배꽁초와 찌그러진 맥주 캔, 패스트푸드 포장지, 깨진 유리 조각, 옷가지들이 버려져 있고, 땅바닥은 쏟아진 식용유와 엔진에서 뚝뚝 떨어진 엔진오일로 번들번들하다.
”
『호라이즌』 6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밥심
호주 여행의 최장점은 시차가 거의 없다는 것입니다. 국외 여행 자체가 엄청나게 피곤한 일인데 시차가 없다는 건 축복이올시다. 혹시 모르니 참고하세요. ㅎㅎ

YG
@밥심 아, 다들 그 말씀은 하시더라고요. 사실, 저는 오스트레일리아보다는 기회가 된다면 뉴질랜드에 한 번 가보고 싶은 마음은 있습니다. :)
밥심
호주 시작하는 장의 맨 앞 페이지에 있는 지도에는 호주 남동쪽만 마크되어 있길래(제가 잘 못 보지 않았다면) 이 양반이 서호주 이야기는 안 하나보다 했는데 읽다보니 얼씨구, 초반에 호주 북서부 이야기도 꽤 나오네요. 사람들은 시드니, 멜버른, 브리즈번, 캔버라 등 주요 도시가 몰려있는 남동쪽에 압도적으로 많이 살지만 저자의 지금까지의 글 속성 상 사람들이 덜 사는 서호주 쪽 이야기를 더 많이 할 거라고 예상했었거든요.
십년 전인가 서호주에 한 때 꽂혀서 관련 자료들을 찾아보고 그랬었어요. 여행도 계획해보려했지만 역시나 일상에 치여 못 갔는데 그때 스트로마톨라이트가 있는 지역이 어딘지도 알아두고 그랬었는데.. ebs 세계테마기행에 서호주 관련 영상이 몇 개 있으니 궁금하신 분은 유튜브에서 보시기 바랍니다. 서호주의 중심도시인 퍼스시엔 제가 좋아하는 하드 sf 작가 그렉 이건이 살고 있기도 합니다. ㅎㅎ

borumis
David Malouf 등 이번에 호주 지역 뿐 아니라 호주 출신 작가를 많이 알게 되네요. 생각해보니 호주 작가의 책은 많이 못 접해본 것 같아요. 근데 우리가 주로 호주하면 생각하는 자연의 이미지와 다르게 몰도르처럼 암울한 이미지에 텍사스나 중동처럼 중공업 도시의 이미지의 서호주가 낯설긴 하지만 가장 궁금했던 부분이어서 이번 장이 흥미로웠어요.

연해
으아아아 우습게 되셨다뇨.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4장과 5장이 둘 다 너무 좋아 순위를 매길 수 없었던 것이죠. 이제 와서 병 주고 약 주는 것 같네요(머쓱). 그리고 말씀하신 것처럼 좋은 포인트가 조금씩 다르기도 하니까요. 저도 이 책 읽으면서 각 장마다 집중하는 포인트가 달라지는 것 같아요. 일단 사람도, 동물도, 날씨도 계속 변하고 있으니까요. 아직 출발(?)하지 않았지만 다음에 있을 '남극'편도 기대하게 되네요. 올려주시는 배경 자료들 덕분에 풍성하게 더 많이 알아가고 있습니다.
즐거운 목요일!
@siouxsie 님도 즐거운 목요일:)

siouxsie
우습지 않고 큰 재미 주셨어요. ^^ 크나큰 애정의 산물이라 생각합니다. 남극은 가 본 적도 없고, 매체로 본 적도 거의 없고, 읽은 적도 없어 잘 모르지만 기대하겠습니다~! (남극의 셰프는 봤네요. ㅎㅎㅎ)

YG
오늘 읽을 분량에 나오는, 저자가 아직 완공이 안 되어서 아쉬움을 표하는 '스퀘어 킬로미터 어레이(SKA, Square Kilometre Array) 프로젝트에는 한국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이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동영상이에요. 지금도 오스트레일리아와 남아공에서 건설 중이랍니다.
https://ska.kasi.re.kr/ska-%EC%86%8C%EA%B0%9C/ska%EB%A5%BC-%EC%86%8C%EA%B0%9C%ED%95%A9%EB%8B%88%EB%8B%A4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