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보드래 선생님 저 아주 좋아합니다. 책도 흥미롭습니다. 700쪽은 안 되지만... 그런데 저도 ‘3.1 운동의 정신을 훼손시킨 책’이라는 악평 때문에 더 관심이 가네요. ^^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장맥주

YG
@장맥주 저도 그 훼손하는 대열에 동참하고 싶습니다. 하하하!

장맥주
경악... 중견 언론인 "3.1 운동 정신 훼손하는데 동참하고 싶다" 발언...

YG
@장맥주 "경악" 다음에 느낌표! 붙이셔야죠. :)

borumis
오오 저도 실은 이거 알라딘 21세기 최고의 책 중 하나로 꼽히고 돌베개 책인데 전자책이 없어서 고민하던 책인데 알라딘 100자평을 보고 결국 땡겨서 알라딘중고서점에서 구매했습니다. ㅋ

YG
@장맥주 "700쪽 기준"에서 망설였습니다. 아, 작가님 영향 받아서 자기 검열합니다. ㅋ.

dobedo
안 그래도 다음 책 소개 올라올 때가 됐는데... 이제 좀 알려 달 라고 졸라야 되나 생각하고 있었어요. 신간일 줄 알았는데 전혀 예상 못한 책이네요! 역사맹인 저한테는 도전이 될 것 같지만, 언제나처럼 덥석 덤비고 싶게 만드는 마법의 책 소개에 설득당했습니다.

새벽서가
저 돌베개 출판사의 책들 너무 좋아해요. 3월을 맞아 읽고 싶으나 전자책이 없는 관계로 저는 4월의 벽돌책으로 뵙겠습니다. 아직 아프리카에 머물러 있어서 주말에나 오세아니아로 넘어갈 수 있을거 같아요~

YG
@새벽서가 앗, 나온 지 꽤 되어서 당연히 전자책이 있을 줄 알았는데. 전자책이 없네요!!!

새벽서가
네에. ㅠㅠ
그러믄요
전자책 없어요. 저도 아쉽게 3월 책은 힘들 것 같네요. 종이책은 주문하면 오래 걸리거든요

새벽서가
저도요. 종이책은 기본 2-3주는 걸려 오더라구요. ㅠㅠ

연해
오, 이번에는 역사책이네요! 다른 어떤 소개보다 "저는 아주 좋게 읽었고 몇 차례 권하기도 했는데"라는 문장에서 더 관심이 생겼습니다. 그동안은 다른 나라 이야기 많이 했으니까, 3월에는 우리나라 이야기도 해보면 재미있을 것 같아요. '3월의 벽돌 책'과 『3월 1일의 밤』이라는 제목이 은근히 연결되기도 하고요.
"그때 만세를 불렀던 사람들은 무슨 생각을 하면서 또 어떤 욕망과 비전을 가지고 만세를 불렀는지"라는 대목에서는 역사적 사실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서사적인 내용이 담겨있을 것만 같아 기대감이 더욱 커지네요. 아직 3월 모임이 시작되지도 않았는데, 벌써부터 두근두근 기다려집니다:)

dobedo
저도 랜도의 주장에 공감했어요. 당시의 고인류학이 어떤 식으로 전개되었을지 고인류학에 문외한인 저는 모르지만, 랜도가 '이렇게 이야기를 사용해서 하는 그들의 설명이 그럴듯하게 들리는 이유는 화석들 자체가 아니라 이 “심층적 서사 구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는 로페즈의 글을 읽으면서 짐작되는 바가 있거든요.
저는 안다고 말하려면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게 아니면 믿음인 거죠. 그런 의미에서 스토리텔링(서사)에 기반한 학문은 그것이 무엇이든 예측하지 못하기 때문에 '앎'보다는 '안다고 착각'하기 좋은 그럴듯한 설명에 기댄다고 생각하고요. 엄밀한 과학의 눈으로 보면 인문학은 결국 스토리텔링에 지나지 않을 텐데, 랜도는 그런 과학자의 입장에서 당시의 고인류학을 비판한 게 아닐까 싶네요. 세월이 많이 흘렀고 과학적 수단들도 늘었으니 현재의 고인류학은 당시와는 많이 다른 모습일 거 같고요.
사람들은 세상이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돌아가서 예측가능할 수 있기를 바라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얼핏 그럴듯해 보이는 서사일수록 외려 현실과는 괴리가 벌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현생 호모 사피엔스가 스토리텔링에 약하다는 건 뇌과학도 밝혀냈지만, 조금만 통찰력이 있는 사람이면 알아차릴 수 있는 패턴이고, 또 누구나 빠질 수 있는 함정이기도 하죠. 저는 그래서 과학은 믿지만 과학자는 믿지 않습니다.

장맥주
저는 ‘빈약한 증거를 스토리텔링으로 메우면서 스스로를 과학으로 생각한다’는 비판을 경제학에 적용시킬 수 있지 않나 하는 생각도 해봤습니다. 현실 정치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해 보면 경제학의 문제가 훨씬 더 클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고요.

장맥주
“ 이제 가장 중요한 것의 지평선은 우리 내면에서 찾아야 하는 거라면? 우리를 지탱하기 위해 이제는 전혀 다른 종류의 이야기가 필요하다면? 아이네이아스나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여정이 아니라, 융의 여정 혹은 토머스 머튼의 여정, 아니면 심지어 아웅 산 수치의 여정이 필요한 거라면?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 마크에 따르면, 지리는 인간의 특정한 행동과 행위, 사회제도에 틀을 부여하고 또 촉진하는데, 이러한 지리의 영향력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장소에 결부된 사람들의 사회윤리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덕적 지리라는 용어를 써도 될 정도로 강력하다. ”
『호라이즌』 <포트아서에서 보타니베이까지> 1545/2340,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 내가 클리프턴 호수를 처음 본 순간 꿈속으로 걸어 들어간 것 같은 느낌이었다고 말하자, 애나마리아는 언젠가 톰 카먼트라는 호주 화가가 자신이 나무를 그리는 것은 "나무들 주변의 빛에 담긴 정서적인 내용에" 관심이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는 말을 들려주었다. 나는 그 말에 깔린 지적인 면에 강하게 끌렸다. 그러나 아마도 어떤 사업가들은 카먼트의 이런 생각을 어리석다고, 심지어 사회를 어지럽힌다고 여길 것이다. ”
『호라이즌』 <포트아서에서 보타니베이까지> 1546/2340,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 인도양으로 튀어나와 있는 이 반도, 최초의 백인 정착민들이 자부라라 사람들이 마시는 샘물에 계속해서 비소를 풀었던 곳, 그렇게 해도 충분히 죽이지 못하자 그냥 그 사람들을 총으로 쏘기 시작했던 곳에서, 개발업자들은 2만 5000년의 가치를 지닌 암면 예술 작품들을 허물어 다른 건축 폐기물처럼 한곳에 쌓아두고 그 주위에 철조망 울타리를 둘렀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오늘 2월 21일 금요일은 5장 '포트 아서에서 보타니베이까지' 두 번째 부분을 읽습니다. 한국어판 종이 책 기준 668쪽까지 읽습니다.
오늘 읽을 분량에서는 대조적인 두 브라이언트가 등장합니다. 메리와 마틴. 또 이번 장의 도입부의 평화로운 봄날의 포트 아서의 끔찍한 반전도 있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