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이 각자 떨쳐내려 기도하거나 소망하거나 노력하는 외로움의 무거운 짐은 사랑하지 못한 결과다. 사랑의 실패는 사람들이 각자 털어내려고 기도하거나 희망하거나 노력하는 인간의 무거운 외로움을 보여줄 뿐이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dobedo
이 양반은 문장을 툭 떨궈 놓고 휙 다른 이야기로 넘어가버리네요. 많은 문장들이 '내가 이해한 뜻으로 쓴 게 맞으려나' 고개를 갸웃거리게 하네요. 스타일이신 듯.
새벽서가
그래서 읽다가 계속 멈추고 생각을 하게 해줘서 그 스타일이 그새 편해진건지 전 너무 좋네여. 빨리 먹은 밥에 체한다고 책을 빨리 읽는 편인데, 오히려 멈춰서 사색할 시간을 주는 이런 책이 오랜만이라 그런지 내심 반갑더라구여, 저는.
dobedo
네. 아마 행간을 읽게 하려고, 판단을 유보하게 하려고 의도적으로 그리 쓰는 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만연체도 그래서가 아닐까 짐작해 보았고요.
봄솔
“ 내가 멈춰 선 앞에는 흰색 브래지어가 있었다. 이런 곳에서 보게 될 거라고 생각하기는 어려운 물건이었다. 누군가 나무 그루터기의 넓은 면을 감싸는 식으로 브래지어 끈을 당긴 다음 압정으로 고정해놓았다. 양쪽 컵에는 오렌지색 동심원이 그려져 있고 각각 대여섯 발의 총알구멍이 나 있었다. 나는 브래지어를 풀어내 잡초가 무성한 덤불 속 깊이 밀어 넣고는 다시 트럭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아니지. 나는 돌아와 다시 브래지어를 집어들고 운전석 아래에 밀어 넣었다. 뉴포트에 가면 쓰레기통에 넣을 생각이었다.
궁금했다. 그런 물건에, 인간 정신의 악의적 성향을 보여주는 소리 없는 증거에 신경이 쏠리는 것은 좋은 일인가? 그 증거를 감추는 건 소용없는 일, 어쩌면 혹시 심지어 잘못된 일일까? 여성 혐오에도 그냥 있을 자리를 허용해주어야 하는 것인가? 다른 사람들이 그런 것을 보지 못하게 막으면 모방자가 더 줄어들 거라고 생각하는 것은 구제불능일 정도로 순진한 생각일까? 나는 칼리만탄이나 사라왁✻의 시골 벌목지에서도 이런 퇴보의 신호를 볼 수 있을지도 궁금했다. 그렇지는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봄솔
작가의 이런 생각에 지지해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네요.
악의 평범성의 반대로 선의 평범성의 느낌이랄까요.
봄솔
“ 오늘날 군사 용어로 쓰이는 부수적 피해라는 말은 의도치 않게 죄 없는 사람들에게 가해진 해를 가리킬 때 흔히 사용된다. 16, 17, 18세기의 ‘탐험’과 그 후 이어진 공격적인 경제적 착취, 이후 유럽의 식민지들에서 정치적 영향력과 통제를 두고 벌어진 세계적인 다툼의 결과로도 죄 없는 사람들이 피해를 입었다. 오늘날 권력을 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그런 피해들을 다시 살펴보고 싶어하지 않으며, 평범한 사람들 역시 대체로 독재국가와 경찰국가뿐 아니라 유사 민주국가에서도 여전히 그러한 책략을 옹호하는 현대의 폭군들에 맞설 용기가 없다.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그러믄요
이 작가의 문장들이 길긴한데 그래서 더 여려번 천천히 읽게되고 그러면서 문장의 아름다움과 그 내용에 들어있는 깊은 염려와 sorrow와 분노를 체험하는 장점이 있는 것 같아요. 이런 식으로 여행을 한다는 게 무척 어려운 일인 것도 같아요. 눈 크게 뜨고 보는 역사와 자연 속의 폭력과 괴로움과 미래의 암담함 그리고 그 와중에도 붙잡아야하는 책임감과 행동의 중요성을 잘 전달하는 책이네요. 그래서 읽으면서 마음이 점점 무거워집니다
연해
“ 폭풍은 모든 생명에 무관심하지만 그래도 폭풍의 본성은 강렬함이기 때문이다. 폭풍의 힘은 어떤 기계로도 제어할 수 없다. 시간의 흐름에 따른 폭풍의 변화는 나침반 방위에 맞춰 등압선으로 표시할 수 있지만, 가장 정확한 숫자들로도 폭풍을 붙잡아두거나 속박할 수는 없다.
폭풍은 완전히 자유롭다. 오직 자기 생각만 따르는 자유로움. ”
『호라이즌』 파울웨더곶,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연해
“ 내 경험상 이렇게 해변에 있을 때든 바다 한가운데 있을 때든, 바닷물을 꼼꼼히 살펴 보는-이따금 보이는 새나 수면 위로 올라오는 고래를 관찰하고, 수면에서 노니는 빛의 움직임을 바라보는-시간은 다른 어디서도 쉽게 느낄 수 없는 또 다른 종류의 시간, 광활하고 균질적인 공간의 부피를 가득 채우는 시간을 인식하게 한다. 그런 날에는 아무 생각 없어 보이는 이런 집중적 관찰이 오히려 일상적 경험의 단조로움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
『호라이즌』 파울웨더곶,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그러믄요
저도 이 문장이 좋았어요
새벽서가
저도 하이라이트한 문장이에요.
연해
“ 나는 서구 예술의 역사를 공간의 양감과 시간의 연장, 빛과 소리의 진동을 이용해 행한 다양한 실험의 역사로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예술의 근본적 강점은 예술이 글자 그대로의 의미를 의도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예술은 은유를 제시할 뿐 해석은 보는 이나 듣는 이의 몫으로 남겨둔다. 관람객이나 청자에게 가장 깊은 만족감을 주는 일은 예술에 자신을 내맡기는 것, 그 의미를 캐내려 시도하지 않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