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혜를 전수하는 이들의 책임은 과거를 돌아보고 그것과 한 줄기를 이루는 선상에 미래를 위치시킴으로써 유의미한 변화의 초기 징후를 알아채는 것이다. 변화의 필연성을 인정한다는 것이 다가오는 모든 변화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아니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 밀리의 서재 ”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문장모음 보기
새벽서가
저는 깊은 물에 대한 공포심이 있어요 (이건 익사할뻔한 경험이 있어서에요. 5분 가까이 제심장이 멈췄었다더라구요), 하지만 동시에 배에 대한 환상도 있어요. 그래서 세일링도 종종 하는데, 엔진이 아닌 돛단배들을 보면 그 옛날 항해를 떠나던, 모험심에 찬 당시 사람들의 모습이 떠오르는듯해서 좋아요.
뒷부분에 증기선 시대의 해상 재해 사전에 관한 이야기들을 할 때 저자가 당시에 수영할 줄 아는 사람이 드물었던 시대라고 하던데, 수영을 못하는 사람이 배를 탈 생각을 했다는게 무모하다는 생각이 든건 저만 그런가요? 수영할 줄 알아도 저는 바다가 무서운데 말이에요. ^^;
오구오구
범서이네요~ 미국 친구에집에 놀러갔을때 동부의 해군사관학교 안에 있는 박물관?에 다녀온적이 있는데, 당시 해군의 역사, 대항해시대 역사를 모형도랑 보면서 흥미로왔던 기억이 있네요~
장맥주
아이코... 그런 일이 있으셨군요. 저는 생존 수영만 할 줄 아는데 이게 도움이 될 날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배에 대한 낭만은 뱃멀미 몇 번에 다 사라졌네요. 책걸상 벽돌책 함께 읽기 모임에서 <메리와 메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