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D-29
인류의 기원 탐구에서 감정이입과 높은 단계의 의도성, 사회적 협력에 관한 이런 생각들이 갖는 의미는 우리 시대의 극단적으로 강력한 두 힘이 수렴하는 한 지점에서 찾을 수 있다. 둘 중 한 힘은 생태적 성격의 것으로, 사실상 거의 모든 자연의 통제력을 뛰어넘으면서 인구 규모를 점점 카워가는 인간의 능력이다. (...) 또 하나 강력한 힘은 인간 뇌에 대한 최근의 생화학적, 형태학적, 조직학적 연구의 관점에서 볼 때, 인간이 만든 세계에서 일어나는 변화의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는 점이다.
호라이즌 자칼 캠프, 889/154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우리는 '보조를 맞추지' 못하는 특정 사람들의 무능함에 관해, 편협하거나 비관용적으로 보이거나 차별주의자나 외국인 혐오자로 비춰질까 두려워 공개적으로 말하기를 꺼린다. 주변화되거나 박해당하는 집단을 옹호하는 발을 하지 못하는 것은 인류의 최근 역사에서 한결같이 보이는 특징이다.
호라이즌 자칼 캠프, 890/154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인간의 운명을 재고하기 위해서는, 그리고 그 과정에서 물질적 부에 관한 섣부른 꿈과, 이미 너무 많은 국가가 정책 방향의 기준으로 삼고 있는 더 큰 경제력과 군사력에 대한 열망을 뛰어넘기 위해서는 호모 사피엔스를 제약하고 있는 생물학적 현실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다. (...) 이 담론은 전 세계적 규모의 대화여야 하며, 여기서는 정부들과 어떤 일에든 경제적 이권으로 얽혀 있는 이들에게는 말하지 말고 들을 것을 요구해야 한다.
호라이즌 자칼 캠프, 892/154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내가 본 것은 재난에 대처하는 동일한 패턴이었다. 그건 바로 서로 존중하는 지역적 협력이었다. (...) 어려운 상황에 처한 많은 사람의 머릿속에는 중앙의 권위로부터, 특히 그 문제에서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살고 있는 이들로부터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생각, 특정 유형의 경제 발전을 지켜내야 한다는 생각은 별로 없다는 것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일관되게 목격한 것은, 그 문화가 지닌 유능함의 관념을 구현한 개인들이 권위를 갖는 위치로 들어서는 모습이었다. (...)전통적 마을에서 '어른'이라 불리는 이들은 어떻게 해야 일이 해결되는지 아는 사람, 혼란에서 의미를 이끌어낼 줄 아는 사람, 회복의 방향을 좋은 쪽으로 이끌어갈 줄 아는 사람이다.
호라이즌 자칼 캠프, 894/154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현대 문화는 이 사람들을 어떻게 대했는가? 존경할 영웅을 찾겠다고 두리번거리면서 우리는 옆에 있는 이들을 그냥 넘어뜨리고 지나간 건 아닐까? (...) 혹은 그들이 우리가 듣기 싫어하는 이야기를 할까봐, 우리가 하고 싶지 않은 일들을 제안할까봐 저어했던 건 아닐까?
호라이즌 자칼 캠프, 897/1547,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Kamoya Kimeu의 죽음을 기리는 기사 첨부합니다. 정확한 나이는 모르지만 약82세였다고 추정된대요.. https://www.the-scientist.com/famed-paleontologist-turkana-boy-discoverer-kamoya-kimeu-dies-70396
어머, 이분이군요.... 찾아주셔서 감사해요 ㅎ
유튜브에서 블랙 맘바가 움직이는 걸 찾아보려고 하니..에스파의 노래만 올라오는데;;; 엄청 길고 엄청 빠르네요.. 입 안이 까매서 블랙맘바지 실은 검정색이 아니라 올리브색이군요.. https://youtube.com/shorts/OWRGQRyVqyw?si=702pZHcTXwU_Yc49
인간 진화의 경로가 혹 가망 없는 혼란상으로 보일지도 모르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았다. 문제는 첫째, 나무는 오해를 유도하는 은유라는 것, 둘째, 사람족 계보에서 우리 이전 존재들에 관해 확실히 판단하기에는 현존하는 인간 화석이 너무 적다는 점이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가장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는 이 관점이 결국에는 더 나은 정치로, 세계적으로 더 공정한 사회적 경제적 체제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도 호모 사피엔스가, 다시 말해 문화적으로 진보한 인간이 예외적인 존재인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더욱 도발적인 질문은 그 예외적인 성질이 그들을 어디로 데려갈 것인가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Richard Leakey, 그리고 부인 Maeve Leakey와 함께 한 81세(아마도)때 학위수여식 사진들입니다. 이렇게 과학에 기여를 많이 한 분인데 연령도 정확히 모르고 호호 할아버지가 되서 PhD학위를 받게되네요.. 그래도 오랜 세월 함께 한 리키 부부가 기뻐하는 모습이 보기 좋아요. https://www.theeastafrican.co.ke/tea/magazine/honour-finds-kenya-s-oldest-fossil-hunter-kamoya-kimeu-3477162#google_vignette
아, 너무 감동이네요....
북극에서 따돌림(?)당하더니 아프리카에서도 따돌림 당하는 불쌍한 작가^^;; 하지만 어느 정도 이해는 갑니다. 저 같아도 중요한 실험실 안에서 문외한이 얼쩡 거리면 혈압 올라갈 듯 해요;;
막대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이 시대에는, 듣는 이에게 공황이나 공포를 불어넣거나 억압하기 일쑤인 권위적 전문가들의 과도하게 자신감 넘치는 선언들보다는, 혼돈스러운 문화적 힘들에 따라오는 역설과 모순에 직면해서도 균형과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더 가치 있는 일 같다. 마치 길을 잃어버린 사람처럼 자신감의 가면을 쓰고도 그 무엇에 대해서도 어떤 확신도 없는 사람으로 살지 않으려면, 자기가 어디에서 온 존재인지 아는 게 좋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우리가 아는 한 다른 어떤 생명체도 호모 사피엔스만큼 정체성과 운명에 주의를 집중하지 않는다. 세계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갖고자 하는 이 욕망이, 사람들이 조상들의 뼈를 그렇게 열심히 찾는 이유 중 하나라고 나는 생각한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일부 신경과학자들은 인간 뇌처럼 복잡한 뇌에서 생겨날 수 있는 정신의 다양성을 우리가 더 온전하게 인식하고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투렛증후군, 파킨슨병, 긴장병, 조울증 같은 신경학적 장애들을 심리적 장애가 아닌 ‘심리적 상태’라고 표현한다. 이런 상태들의 공통점은 시간이 흐르는 속도를 특이하게 인식한다는 점이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시간적 기준만 사람에 따라 다른 것이 아니라, 광장공포증처럼 공간적 차원과 관련된 ‘장애들’도 존재한다. 이런 종류의 ‘장애’를 갖고 있으면 생존 가능한 미래를 구상할 기회가 제약될 거라 생각할 수도 있지만, 혹 어쩌면 그런 기회가 더 열릴 거라 생각해볼 수도 있다.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그렇다면 의문 하나가 퍼뜩 떠오른다. 인간이 건설한 환경과 문화적 환경은, 예컨대 조울증과 광장공포증 같은 시간적, 공간적 ‘장애’에, 그리고 하나같이 감정이입의 결여를 특징으로 하는 자폐장애, 자기애적 성격장애, 사이코패스 같은 정신적 상태에, 그리고 이타성과 공격성 같은 인간의 특징적 행동이 계속 존재하는 현실에 어느 정도의 선택압을 가할까?
호라이즌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좀 더 생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한 관점, 또는 깨우친 관점이지만 분명 현실적이기도 한 관점은, 인간은 자신을 잠재적으로 전능한 존재로 보기보다는 결함 있는 존재로 볼 때 더 잘 살 수 있으며, 다른 모든 동물과 다름없이 인간 역시 미래를 보장받지 못하는 하나의 동물이라는 관점이다. 어떤 사람들은 우리가 가장 중요한 존재가 아니라는 이 관점이 결국에는 더 나은 정치로, 세계적으로 더 공정한 사회적 경제적 체제의 발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래도 호모 사피엔스가, 다시 말해 문화적으로 진보한 인간이 예외적인 존재인 것은 사실이다
호라이즌 55%,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100년 뒤 인류가 어떤 상황에 처해 있을 것인가 하는 질문은 이제 지구온난화와 에볼라 같은 바이러스들로 인한 생태계 교란, 합성 화학물질 노출로 인한 유전자 변이의 문제만은 아니다. 단기적으로는 전체 인구 중 문화적 환경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그것도 약물의 도움 없이 대처할 수 있는 사람들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가가 더 결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호라이즌 56%, 배리 로페즈 지음, 정지인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