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게요. 카트리나로 어떻게 짓는 데 저도 한 표입니다. 재난이라고 하니까 너무 막연해서...
[벽돌책 챌린지] 2. 재난, 그 이후
D-29

장맥주

장맥주
편집자께서 고민이 많았겠지만 처음 표지를 대충 보고 나서 저는 이게 수면 아래 있는 도시 풍경이라는 생각은 못했어요. 미세먼지 문제를 다루는 책인가 했습니다. 투덜거리는 건 이쯤에서 멈추고 열심히 읽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장맥주
5~7쪽, 제 이상한 취향인데 책에 지도가 나오면 좋더라고요. 추리소설에도 지도 나오는 걸 좋아합니다. 그래서 『뤼미에르 피플』 낼 때 편집자에게 지도를 싣고 싶다고 했는데 대차게 까였습니다. 제가 ‘아무튼’ 시리즈와 계약을 했는데, 출간 조건으로 책에 지도를 싣자고 요구했습니다.

동동
앗! 아무튼 무엇인지는 알려주실 수 없는건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아무튼 사보긴 할거에요)

장맥주
아이고, 감사합니다. ‘아무튼, 현수동’이에요. 현수동이라는 가상의 동네를 다룹니다. 실제로 저를 사로잡고 있는 동네이고, 그 동네 생각을 하면 기분이 아주 좋거든요. 제 단편 「현수동 빵집 삼국지」의 배경이기도 하고, 저의 다른 소설에도 자주 등장합 니다. 앞으로도 계속 나올 예정이고요.

장맥주
아무튼 시리즈를 내는 세 출판사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땅’이 아무튼 시리즈의 대상으로 삼겠다는 아이디어에 조금 놀라시는 것 같더라고요. 시리즈에 ‘아무튼, 도전’ 같은 책도 있으니 별 문제되지 않을 것 같은데... 두 출판사에서는 거절했고, 다른 한 곳에서는 너무 좋다며 하자고 했습니다. 제가 올해 11월 말까지 원고를 보내야 합니다. 장편소설 작업 하면서 목차와 서문만 만들어놓은 상태예요. ^^

토마
저도저도요! 추리소설도 그렇고 몇몇 판타지 소설의(반지의 제왕이라던지 어스시 시리즈라던지..) 제일 앞쪽의 지도를 찬찬히 살펴보고 지명을 숙지한 후에 본문을 읽곤 했어요. 책을 읽다가도 주인공이 어디있는지 나오면 다시 지도 페이지 돌아가서 확인도 해보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