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돌책 챌린지] 2. 재난, 그 이후

D-29
551쪽, [이곳은 수술실의 에어컨도 종종 고장 났고, 때로는 머리에 쓰는 사냥용 플래시에 의존해서 수술을 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포는 자기네 의과대학에서 굳이 해외로 의사들을 파견하는 이유가 뭔지 의문이 들었다. 그녀가 생각하기에는 이곳 루이지애나 주야말로 “우리가 가려는 그 어디보다 더 제3세계 같았기” 때문이다.]
미국 진짜 이상한 나라인 거 같아요. 그 이상함과, 미국이 세계의 규범이 되는 초강대국이라는 사실이 관련성이 있는 건지 아니면 그냥 우연인지 궁금합니다.
552~556쪽, 저는 심정적으로 애너 포 박사를 응원하고 있었습니다만 이제 이야기는 기괴하게 돌아갑니다. 저처럼 포 박사를 응원하는 사람이 많아지면서 예비 피고들이 여론전에서 승세를 잡게 되었고, 포 박사는 사람들 앞에서 사실에 맞지 않는 이야기들을 늘어놓기 시작합니다.
포 박사는 자신이 하는 말들에 거짓이 섞여 있음을 알면서도 어떻게든 여론전에서 이기고 싶어서 선을 넘는 걸까요, 그냥 부주의한 걸까요, 아니면 기억이 왜곡된 걸까요. 혹은 애초에 공과 사의 구분이 희미한 얄팍한 인물이었던 걸까요.
포 박사에게서도 거리를 두는 묘사를 보며 저자가 정말 대단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포 박사의 행동을 납득가능하게, 하지만 합리화하지 않으면서 담담하게 묘사했습니다. 포 박사에 감정 이입해왔던 독자로서는 참으로 모순된 기분이 들게 되네요.
논픽션 이렇게 써야죠. ‘약자를 편든다’는 자세가 너무 강해서 이런 기본을 못 지키는 한국 르포르타주 단행본 몇 권 읽었습니다. 그걸 뉴 저널리즘이라고 부르면 또 할 말이 없긴 한데, 제가 동의하지는 않습니다.
570쪽, [시먼스의 고소장은 일종의 떠보기에 불과했으며, 외관상 법적 주장이었지만, 실제로는 주 검찰총장 포티를 인신공격하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 인신공격은 참으로 효과적으로 힘을 발휘합니다. 변호사의 이런 전략을 제3자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변호사가 법정 밖에서 그런 술수를 부리는 것도 의뢰인의 이익을 위한 행동이므로 직업윤리에 맞는 건가요? 변호사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제가 의뢰인의 처지라면 물론 저런 변호사를 원할 텐데요.
584~587쪽, 존 틸 박사의 경험은 정말 몇 겹의 아이러니인지 모르겠습니다. 의사인데 말기 대장암을 발견할 때까지 자기 몸 상태를 몰랐고, 호흡기내과 전공의인데 호흡기 문제를 겪는 바람에 인공호흡기에 의지하는 신세가 되었으며, 메모리얼 병원에서 안락사에 가담했는데 본인도 같은 처지에 빠져 의료진의 손에 운명이 맡겨졌으며, 정작 본인은 살아났습니다. 진부한 표현이지만 언제나 소설보다 현실이 더 기이하군요.
592쪽, 제가 병원의 현재 이름을 인터넷으로 찾아보고 ‘악스너 뱁티스트 메디컬 센터’라고 적었는데 한국어 발음이 ‘악스너’가 아니라 ‘오크즈너’라고 해야 하나 보네요.
592~603쪽, 정의가 실현된 것일까요? 포 박사와 틸 박사를 심정적으로 지지하기는 했지만, 몹시 찜찜합니다. 앞부분에서는 제가 포나 틸 박사의 처지라면 어땠을까를 물으며 읽었지만 뒤로 갈수록 제가 법의학자나 배심원이었다면 어땠을까를 묻게 됩니다.
603~604쪽, [왜 우리는 삶의 모든 이정표를 축하하면서도, 유독 이것 하나만큼은 제외하는 걸까? 그린은 궁금한 생각이 들었다. 삶의 시작을 보기 위해서는 모두가 참석하고 싶어 하지만, 출생과 사망의 비율은 정확히 1대 1이었다. 우리 모두는 작별을 고하는 법을 배워야만 하고, 사랑하는 가족이 떠나가는 것을 우리가 알고 있음을 인정함으로써 그들에게 존엄을 부여하는 법을 배워야만 했다. 그녀는 이렇게 물어볼 것이었다. “만약 당신의 가장 소중한 사람이 먼 여행을 떠나는 배에 몸을 싣는다면, 당신은 선착장에 나가서 작별 인사를 하지 않을 겁니까?”]
평소 같으면 저 문장들에 고개를 끄덕였을 텐데, 캐시 그린이라는 인물에 대한 묘사와 그의 주장을 읽고 나서 저 대목을 마주치니 몹시 섬뜩한 기분이 듭니다. 그런 배치 역시 노련한 솜씨일 듯합니다.
259쪽, [2층 로비의 냄새는 수전 멀더릭이 수요일에 이 지역을 지나다녔을 때보다 더 지독했다. 창문을 깼는데도 불구하고, 화장실 근처의 공기는 여전히 그 자리에 딱 고정되어 있었다. 오물 냄새가 진동했다.] 읽는 내내 얼마나 고역스러운 냄새가 병원을 휘감고 있을지 상상하게 되네요. 작가도 이 냄새에 대한 내용을 1부에서 지속적으로 언급(인터뷰이에게 들은 내용들을 포함해서)하는 것을 보면 병원에 있던 사람들은 참기 힘든 냄새로 정말 괴로웠을 것 같습니다.
260쪽, [멀더릭은 상대방을 한 대 때려주고 싶었다. 도대체 어떻게 의사라는 사람이 자기 주위에 널려 있는 환자들보다 고양이 한 마리를 더 걱정할 수 있단 말인가? (...) 심지어 가장 상태가 위중한 환자가 누운 곳에서 모퉁이 하나 돌아선 곳에서 직원들이 자기네 애완동물을 애지중지 돌보는 모습을 보고 있자니, 멀더릭은 화가 머리끝까지 치솟았다.] 멀더릭 마음이 제 마음과 같습니다.
제 마음도 찌찌뽕입니다.
355쪽, [응급실 경사로에 있다가, 병원으로 찾아온 사람들이 퇴짜를 맞는 모습을 목격하고, 결국 그 일로 인해 CEO와 말다툼까지 벌이고 나자, 그는 문득 이런 생각을 했다. '이런, 젠장, 이놈들은 모두 총을 갖고 있잖아. 이놈들은 나를 이 물속에 던져 넣고 이렇게 말할 수도 있어. "자네는 더 이상 이 안에 들어올 수 없어." (...) 분명 모두가 보는 앞에서 그를 쏘지는 않겠지만, 그들이 자기를 제거할 수도 있다고 킹은 확신했다.] 사고 방식이 충격적이네요. 총기소지가 자유로운 미국에서 자라온 사람의(그것도 엘리트라고 볼 수 있는 의사) 생각이 이렇구나 하는 대목입니다. 물론 킹이 자라온 환경과 초유의 재난의 영향이 있겠지만서도 이건 좀 너무하지 않나요. 생각해보니 할리우드의 많은 재난영화들을 보면, 주인공의 세계와 일상을 망가뜨리는 이벤트가 벌어진 이후에 주인공은 자신의 가족 이외 타인을 모두 적으로 돌려 놓더라고요. 환한 인사를 건네던 이웃을 여차하면 나에게 총부리를 들이밀 수 있는 적으로 간주하죠. 신기합니다.
604~605쪽, [미냐드가 생각하기에, 대배심의 결정은 포티 주 검찰총장이 그 여자들을 다룬 방식이 가혹했기 때문에, 그리고 언론의 설득하는 위력 때문에 나온 것에 불과했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그렇게 보면 검찰총장의 조급함이 정의의 실현을 방해한 셈입니다. 포 박사 등이 여론전을 벌인 것을 비난할 수는 없을 것 같아요. 자신들 입장에서는 생존의 문제이고, 병원 밖에서 정의를 실현하는 것이 그들의 책임은 아니니까. 포티 검찰총장을 두 번 죽이는 말이겠군요.
이쯤에서 한국 검찰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네요. 한국 검찰도 조급함에 있어서는 둘째가라면 서러워할 조직으로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요즘 보면 거대한 사정 정국이 오는 것 같지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반가운 모임지기들, 라아비현과 꼬리별
[라비북클럽] 불편한 편의점 북투어 같이 한번 읽어봐요 우리[밀리의 서재로 📙 읽기] 23. 종이 동물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