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자왈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공자가 말했다. “옛 것을 공부하고 배운 바를 익혀 이로써 새로운 것을 알면 곧 스승이 될 수 있다.”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君子不器.
자왈 군자불기
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마땅히 큰 그릇이어야 한다.”
해 설 :
이 구절은 기본에 “군자는 그릇처럼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로 해석되어 왔다. 그런데 고대 한어에서 ‘불不’과 ‘비丕’는 많은 경우 혼용되어 사용되었다. 여기에서 비丕는 대大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군자불기君子不器를 “군자는 마땅히 큰 그릇이어야 한다.”로 해석하는 것이 “군자는 그릇처럼 어느 한 분야에 국한되지 않는다.”라고 해석하는 것보다 타당하다고 본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
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공자가 말했다.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미혹되고, 생각하기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롭다.”
해 설 :
‘망罔’은 ‘미혹되다’, ‘실의失意하다’, ‘낙담하여 멍하게 되다’의 의미이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由! 誨女, 知之乎. 知之爲知之,不知爲不
자왈 유 회여 지지호 지지위지지 부지위부
知, 是知也.
지 시지야
공자가 말했다. “유由야! 너에게 가르쳐 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 이것이 아는 것이다.”
해 설 :
이 구절은 가장 소박하고 가장 평이한 언어로 표현된 진실이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
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공자가 말했다. “살고 있는 곳에 인덕仁德이 있어야 비로소 좋은 것이니, 선택한 곳에서 인덕을 느낄 수 없다면 어떻게 이곳에 인덕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 수 있겠는가?”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巧言令色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
자왈 교언영색주공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익
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원이우기인 좌구명치지 구역치지
공자가 말했다. “화려한 미사여구와 좋아하는 척 하는 모습 그리고 지나친 공손을 좌구명左丘明이 수치로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수치로 여긴다. 원망을 감추고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수치로 여겼는데, 나 또한 이를 수치로 여긴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
자왈 후생가외 언지래자지불여금야 사십오
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십이무문언 사역부족외야이
공자가 말했다. “젊은이들을 경외해야 할 것이니 어찌 그들의 내일이 지금 사람들을 따라오지 못한다고 판단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40, 50세가 되어도 알려짐이 없으면 그 또한 두려워할 것이 못된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君子, 和而不同. 小人, 同而不和.
자왈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
공자가 말했다. “군자는 화합하지만 동일하지 않으며, 소인은 동일하지만 화합하지 않는다.”
해설 :
『논어』에는 주옥과도 같은 수많은 명구가 있지만, 바로 이 “군자, 화이부동. 소인, 동이불화君子, 和而不同. 小人, 同而不和”야말로 명구 중의 명구라 할 수 있다. 실로 촌철살인, 심금을 울리는 금언이다. 특히 구동존이求同存異, 즉 ‘차이점은 우선 보류하고 먼저 공통점을 추구하는’ 관점에서 보는 ‘동이불화同而不和’는 그다지 큰 차이점도 없으면서 아예 눈을 감고 ‘무조건 반대’만 내세우는 오늘의 정치 현실에 대한 신랄한 풍자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貢問曰: 鄕人皆好之, 何如? 子曰: 未可也. 鄕
자공문왈 향인개호지 하여 자왈 미가야 향
人皆惡之, 何如? 子曰: 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
인개오지 하여 자왈 미가야 불여향인지선자
好之, 其不善者惡之.
호지 기불선자오지
자공이 “고을 사람들이 모두 좋아하는 사람은 어떻습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아직 부족하다.”
다시 자공이 “고을 사람들이 모두 미워하는 사람은 어떻습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대답했다. “역시 아직 부족하다. 가장 좋은 사람은 고을 사람 중 좋은 사람들이 그를 좋아하고, 나쁜 사람들이 그를 싫어하는 사람이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君子易事而難說也, 說之不以道, 不說 也.
자왈 군자이사이난열야 열지불이도 불열야
及其使人也, 器之. 小人難事而易說也, 說之雖不
급기사인야 기지 소인난사이이열야 열지수불
以道, 說也. 及其使人也, 求備焉.
이도 열야 급기사인야 구비언
공자가 말했다. “군자를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쉽다. 다만 그를 기쁘게 하기란 어렵다. 정도가 아닌 방법으로 그를 기쁘게 하고자 하지만 그는 기뻐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가 사람을 기용할 때는 적재적소의 인물을 기용한다. 반면 소인을 위해 일을 하는 것은 어렵지만 그를 기쁘게 하기란 쉽다. 정도가 아닌 방법으로 그를 기쁘게 하고자 해도 그는 기뻐한다. 그러나 그가 사람을 기용할 때가 되면, 모든 책임을 전가시킨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已矣乎!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자왈 이의호 오미견호덕여호색자야
공자가 말했다. “안타깝구나! 내 이제껏 내적인 덕德을 외적인 용모보다 좋아하는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해설 :
‘호색好色’에서 ‘색色’은 얼굴 혹은 용모를 가리킨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子曰: 飽食終日, 無所用心, 難矣哉. 不有博奕者
자왈 포식종일 무소용심 난의재 불유박혁자
乎, 爲之猶賢乎已.
호 위지유현호이
공자가 말했다. “하루 종일 배부르게 먹고 어디에도 마음을 쓰는 곳이 없다는 것, 참으로 어렵도다. 장기와 바둑 같은 놀이가 있지 않은가? 그것이라도 하는 것이 오히려 아무 생각이 없는 것보다 낫다.” ”
『논어 (무삭제 완역본)』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문장모음 보기
안슈씨
“ 공자는 무엇보다도 실천가였다. 공자는 시종여일 학이치용學以致用과 지행합일知行合一을 강조하였다. 흔히 『논어』의 첫 문장인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를 “배우고 때로 익히니”로 해석하고 있다. 이러한 해석은 ‘수신修身’을 과도하게 강조하는 반면 실천은 분리시킨다. 결국 이는 유학의 ‘이론 지상주의’와 생동감을 잃은 ‘죽은 학문’의 경향성을 강화하는 요인으로 작동해왔다.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의 ‘습習’이 바로 ‘실천하다’의 의미다. 공자의 일생은 한 마디로 시종여일 실천을 가장 우위에 둔 삶이었다.
공자의 이러한 관점은 “말을 하게 되면 반드시 실행할 수 있어야 한다(언지필가행야言之必可行也).”와 “의로움을 듣고도 행하지 않고 선하지 못한 것이 있어도 고치지 못하는 것, 이러한 것들이 곧 내가 걱정하는 바다(문의불능사, 불선불능개, 시오우야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라는 글에서도 분명히 이어지고 있다. 공자는 또 “군자는 말은 어눌語訥하지만, 실행實行에는 성실하게 노력한다(군자, 욕납어언이민어행君子, 欲訥於言而敏於行).”라고 천명하였다. ”
[북다/책 나눔] 《잠보의 사랑(달달북다12)》 함께 읽어요!<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책 증정] <그 남자는 책을 읽었다> 편집자와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권혜영 작가님이랑_7월 2일 수요일 저녁 7시 (라이브 채팅)
[북다] 《애정망상》 권혜영 작가와 함께하는 라이브 채팅! (7/2)
인터뷰 ; 누군가를 알게 되는 가장 좋은 방법
책 증정 [박산호 x 조영주] 인터뷰집 <다르게 걷기>를 함께 읽어요 [그믐북클럽Xsam] 24. <작가란 무엇인가> 읽고 답해요[그믐밤] 33. 나를 기록하는 인터뷰 <음악으로 자유로워지다>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을 사랑하셨던 분들은 놓치지 마세요
[📚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댓글로 쌓아올린 세포, 아니 서평들
작별하지 않는다도시의 마음불안세대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제발디언들 여기 주목! 제발트 같이 읽어요.
[아티초크/책증정] 구병모 강력 추천! W.G. 제발트 『기억의 유령』 번역가와 함께해요.(8) [제발트 읽기] 『이민자들』 같이 읽어요(7) [제발트 읽기] 『토성의 고리』 같이 읽어요(6) [제발트 읽기] 『전원에서 머문 날들』 같이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