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후딱 읽으셨군요 ㅎㅎ
어떤 부분을 스포일러 가림 해야 할지 고민하다, 필사하신 부분은 '단서'로 남겨 두었습니다 :)
[그믐미술클럽 혹은 앤솔러지클럽_베타 버전] [책증정] 마티스와 스릴러의 결합이라니?!
D-29

수북강녕
느티나무
재미있어서 읽다보니 후딱 읽었네요 !! 쓰다보니까 스포일러가 되어버렸네요. 다음 챕터를 읽을때는 주의해서 써야겠어요 ㅠㅠ

편지큐레이터
안녕하세요? 저는 청소년친구들과 글쓰기를 하고 있어요. 종종 '그림보고 글쓰기'를 하는데, 마티스 그림을 보고 쓴 소설(그것도 스릴러!)이 출간됐다고 해서 엄청 기대하고 있었어요. (사실 저는 스릴러나 추리는 잘 읽지 않았어요. 그런데 청소년들이 그 쪽에 관심을 많이 갖고 있고, 글도 그런 뉘앙스의 글을 쓰는 친구들이 많아서 관심을 가져보려고 노오력... 하는 중입니다. ^^;;; )
책 구매하기 전이었는데 선물에 당첨되어서 기쁜 맘으로 읽고 있어요.
좋아하는 작가님 작품도 있어서 그 분 작품 먼저 읽을까 했지만, 편집자가 순서를 배열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생각하고 책 순서대로 읽고 있습니다.

수북강녕
그림 보고 글쓰기, 어떤 활동인지 아주 궁금합니다
사실 저도 이 모임 준비하면서 마티스 도록!을 보고 글을 써보려는 마음도 있었거든요
관능적인 모델의 자태에 눈을 빼앗기거나, 다른 데 또 산만하게 정신이 팔려서 실행은 못하고 있지만,
작가님들의 입장이 되어 보려고, '과연 나라면 마티스의 어떤 작품을 선택했을까?' 상상의 나래도 펼치고 있어요
= 완독 후 마 무리 발제에서 참가자 분들께 제시해 보려는 질문입니다 ^^

센스민트
저는 지난 주말에 북토크 다녀왔는데 친분이 있으신 작가님들이 많이 오셨는지 전반적으로 화기애애한 분위기였어요. 먼저 작가님들 소개와 함께 그림을 선택하신 이유, 내용 관련 질의응답으로 약 한 시간 반 정도 진행되었는데 시간 가는 줄 모를 정도로 아주 알찬 시간이었어요. 책을 받자마자 북토크 참석하려고 급하게 다 읽긴 했지만 놓친 부분이 있을 것 같아서 모임 일정대로 다시 읽으려고 해요. :)

블레이드
2회 연속 참석이라니, 정말 감사합니다. 수북강녕에서 뵙겠습니다.

박상민
우와 와주셨다니 감사합니다 ^^

수북강녕
그림을 선택하신 이유, 책 속에도 조금 소개되었지만 직접 듣고 싶네요 궁금해요!

박산호
오, 지난번에 오셨다니 넘 궁금해요. 이번에 또 와주신다니 정말 감사합니다!

센스민트
사실은.. 제가 이번 주에 못 갈 것 같아서 그때 급하게 다녀왔어요;; 온라인으로 이미 많은 얘기들이 오가서 이번 주 북토크는 정말 풍성한 얘깃거리가 있을 것으로 기대되네요~ 지난번에 참석하시지 못한 분들은 이번에 꼭 참석해 보세요 :) (북토크 홍보!)

Alice2023
안녕하세요. 마티스도 좋아하고 스릴러도 좋아해서 참여했어요. 그믐 연극클럽이나 미술클럽처럼
제가 평소에 읽던 분야 외에도 다양하게 시도할 수 있다는 점이 너무 좋네요.

수북강녕
그야말로 책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 나눔의 장이지요~!

김새섬
김탁환 작가님의 <참 좋았더라>를 읽고 있는데 피카소와 마티스를 비교하는 구절이 나와 반가운 마음에 이 모임에 제보(?)합니다. 절제와 선명함의 마티스! 그는 진정 스릴러와 어울리는 화가였습니다.


참 좋았더라 - 이중섭의 화양연화1950년대 근현대를 대표하는 예술가들이 모여 문화 르네상스를 불러일으켰던 당시 통영을 배경으로, 오로지 작품에 몰두하며 걸작을 완성시켰던 이중섭 예술의 화양연화를 묘사한다. 그 어디서도 볼 수 없었던 낯설고도 새로운 이중섭의 면모를 만난다.
책장 바로가기

수북강녕
미술관을 많이 다녔다고 생각했는데, 마티스에 대해 아는 게 없다는 사실;;;을 깨닫고 있어요
어서 오세요 ^^

아린
책 띠지 사이에서 카드 발견!!!했어요


수북강녕
두둥~ 어떤 단서일까요, 과연!
만렙토끼
오, 신기하네요 그믐 모임글을 좀 정독하고 있는데 이걸 이제봤어요 근데 모두에게 있는건 아닌가 보네요ㅠㅠ

아린
네 동기들은 벌써 승진해서 팀장 달고 있는데 너는 뭐냐? 남들이 팀장 달 때 너는 그냥 서지혁. 좋냐, 좋아?
『마티스×스릴러 - 앙리 마티스의 그림에서 발견한 가장 어둡고 강렬한 이야기』 p. 36, 정해연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린
그럼 1등이 아니라는 말은 무슨 뜻인지 아세요? 1등 밑으로는 다 똑같다는 말이예요.
『마티스×스릴러 - 앙리 마티스의 그림에서 발견한 가장 어둡고 강렬한 이야기』 p. 31, 정해연 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린
한국에 사는 학생과 학부모 중에 성적에 전혀 무관하게 사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은 생각이 들면서 최근에 제이미맘으로 대치동 라이딩 하는 숏츠가 엄청 화제였는데..
얼마나 어떻게 어느정도의 수준 차이는 있겠지만 ㅡ 저 포함 ㅡ 여기에 초연하게 살 수 있을까..싶네요.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