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연히 해야 하는 일 VS 원하는 걸 얻기 위해 해야하는 일 이 흥미로웠어요. 항상 우리는 인생의 갈림길에 서게 되는데 골라야 하는 선택지가 늘 옳지는 않으니까...그 뒤에 바로 자율적이지만 도덕적인 범위에 대해서 읽으며 최근 제게 있었던 선택지를 떠올리며 어떤 선택지가 좋았을까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어요 기준이 모두가 같은 행동을 했을 때 라는게 와닿았네요! 아무래도 나 스스로의 기준에서 생각하면 좀 더 유해지는 경향이 있기마련인데 모두가 같은행동, 음 바로 정신이 번쩍 들더라구요
[책 증정] Beyond Bookclub 11기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D-29
만렙토끼
연랍
'인간을 결코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 현대사회에서 항상 자본의 논리가 앞서게 되는데 많은 부분을 생각하게 됩니다. 자본과 효율의 논리를 무조건 거부할 수는 없지만,
그 속에서도 ‘인간’이라는 존재를 스스로 목적이 되는 존재로 존중하려는 노력이
더 중요해지는 세상인 듯합니다.
팥앙금
도덕법칙에 속하는지의 행동 판단기준이 굉장히 명쾌하게 정리되어있네요! 역지사지의 확장판같아요. 그리고 p.123쪽에 결과주의, 의무주의가 무조건 이렇다가 아닌 상황에 맞게 다르게 해석될 수도 있다는 점이 예시를 보며 읽으니 쉽게 이해되고 재미있었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비욘드
3-2. 읽으면서 인상적이었던 문장을 적어주세요. (입력창 하단의 문장수집 기능을 이용해 공유해주시면 더욱 좋습니다.)

하금
사회 분위기에 휩쓸려 도덕을 져버리는 세상에서 나만의 도덕 법칙을 세우고 이를 실천하는 삶을 강조한 칸트는 도덕을 실천하는 인간만이 진정한 인간이라고 가슴에 새겼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03 (3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자유를 오해해서는 안 된다. 자율적으로 행하되 그 행위가 도덕 법칙인 한에서 행동하자.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11 (3부,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금
“ 정의가 바로 선 국가라면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지은 죄에 대해 죗값을 치러야 한다. 다소 엄격한 듯 보여도 용서에 앞서 정의를 수립해야 한다는 칸트의 견해는 오늘날 우리 사회를 다시금 돌아보게 한다. ”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20 (3부, 어떻게 행동해야 할 까?),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Alice2023
인간을 목적으로 대하고 귀하게 여기지 않는 세상에 나의 자식을 낳고 싶지 않은 마음은 누구나 같을 것이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colre
칸트는 당장에 행복한 순간을 만드는 행위들이 개인에게 일종의 준칙, 다시 말해 행복해지는 규칙으로 쓰일 수는 있다고 말한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25,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colre
인간을 결코 한낱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27,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colre
“ 좀 느리게 가더라도, 좀 돌아서 가더라도 민주주의는 국민이 주인이어야 한다고 가르친다. 그러니 우리도 내가 좀 덜 먹더라도 굶는 사람 없는 나라가 좋은 나라라고 가르쳐야 한다. 좋은 의도, 좋은 도덕은 분명히 있다. 적자생존, 결과주의로만 세상이 돌아가는 것이 아님을 칸트는 강력히 말하고 있다. ”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37,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옐로우잡채
누가 시켜서 도덕적으로 행위하는 것은 이미 도덕적이지 않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133p,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옐로우잡채
“ 그 행위가 살인이 됐건 도둑질이 됐건 권력자가 시킨 행위이기 때문에 노예는 그저 따를 뿐이었다. 책임이 있다면 노예에게 행위를 시킨 권력자에게 있겠지만 권력자는 권력이라는 이름 아래 권력을 가진 만큼 책임이 면제됐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근대 이전의 인간에게 책임이란 그다지 중요치 않았다. (이 부분을 읽고, 아... 내가 지금 살고 있는 지금은 아직 근대 이전이구나, 싶었다.) ”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136p,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린
“ 그 중 칸트의 의무주의는 도덕 법칙의 실천을 의무로 생각하는 윤리 사상이다. 그러다 보니 좀 융통성이 없는 윤리처럼 비칠 수 있다. 그러나 정직한 사회가 되는 데에 길잡이가 될 만한 윤리설이라 할 수 있다. ”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 106,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린
모두가 기본을 지킬 때 사회도 행복할 수 있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28,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린
“ 정치도 좌우가 있다. 이로써 세상은 균형 있게 존재한다. 현실 사회의 문제는 좌파냐 우파냐의 문제가 아니다. 문제는 사람들이 얼마나 자기 욕망을 뒤로 하고 윤리성을 우선하느냐이다. 윤리의식 없는 정치인은 국민이 퇴출시켜야 한다. ”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 145,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연이
자유를 오해해서는 안 된다. 자율적으로 행하되 그 행위가 도덕 법칙인 한에서 행동하자.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11,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연이
칸트가 말하는 준엄한 도덕 법칙이 오늘의 우리에게 엄숙하게 경고한다. 모두가 기본을 지킬 때 사회도 행복할 수 있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P.128,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연랍
각자 나만의 행복을 추구하는 사이에 한낱 자본주의의 수단이 되어가고 있는건 아닌지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으면 좋겠다.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127,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팥앙금
인간을 결코 한낱 수단으로 대하지 말고 동시에 목적으로 대하라
『지금 무엇을 해야 하는가 - 불안한 인생에 해답을 주는 칸트의 루틴 철학』 127, 강지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