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건 작고 비싸다... 하아 진리 같습니다. ㅎㅎㅎ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김태권)
D-29

박소해

새벽서가
미국에선 본 적도 없어요. 한국엔 많으려나요?

장맥주
어느 호텔에서 한번 먹어봤는데 이것저것 잔뜩 넣고 오래 끓인 맛이었습니다. 맛이 없는 건 아니었지만 특별히 맛있다는 느낌도 아니었네요. 마라탕은 그냥 매운 욱개장 맛인데 제가 맛을 음미하는 사람이 아닌지라... 마라샹궈는 부부가 다같이 좋아해서 종종 먹습니다. 마라탕이랑 마라샹궈가 맛이 달라요. 또 저희 부부가 좋아하는 양념 강한 중국 본토요리는 유발면이라고도 하는 뱡뱡면입니다. 특히 도삭면으로 먹으면 맛이 더 좋더라고요. ^^

꽃의요정
불도장이 먹고 싶어졌어요

꽃의요정
“ 1990년대 홍콩의 베트남 식당가에서 분짜를 찾았는데 당시에는 먹지를 못했대요. 왜일까요. 식당 주인의 설명인즉, “분짜는 북베트남 하노이의 음식인데, 홍콩에 사는 사람들은 남베트남의 유민들이기 때문”이라는 거죠. 글 제목부터가 〈베트남 음식에서 난민을 읽다〉였습니다.
이 글을 읽 고 의문이 풀렸습니다. 서울에 없던 분짜가 머나먼 베를린에 있던 이유는 냉전 때문이었어요.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꽃의요정
저도 분짜를 더 좋아하는데 베트남식당 생겼을 때 초반엔 분짜를 많이 보진 못한거 같아요. 그냥 분짜 없는 집에선 쌀국수를, 분짜있는 집에선 분짜를 먹다가 이젠 여기저기 다 있어서 분짜만 먹어요.
이 책은 세계음식맛기행 같네요. 휴식 같은 책이지 만 배가 계속 고픕니다. ㅎㅎ

꽃의요정
“ 파리에서 이민자들이 사는 곳은 불안하고 위험하지만 베를린의 터키인 구역은 쾌적하고 안전한 편입니다. 프랑스와 독일의 역사 차이 등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저는 수많은 케밥 가게와도 관계가 있을 거라고 조심스럽게 추측해봅니다. 자기 점포가 있는 베를린의 자영업 사장님은 실업과 차별에 시달리는 파리의 이민자보다 사회에 대한 분노가 덜할 테니까요. 한국 사회도 앞으로 눈여겨봐야 할 부분 같아요. ”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 고대 신화부터 현대 빅데이터까지 인 류 문명에 깃든 육식의 문화사와 고기 먹는 불편함에 대하여』 김태권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물론 잡아먹히는 닭이 제일 딱하기는 하죠. 태어난 지 달포 만에 목숨을 잃는다는 사실을 생각하면 치킨을 먹을 때마다 영 불편합니다. 그런데 여기서 고민이 하나 생기네요. 보름을 더 살린다고 닭이 행복하겠습니까. 사실 닭은 생각보다 오래 사는 동물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