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민족대표 33인'은 한편으로는 '대표'로서의 선언 이후 상황 전개를 예측하는 데도 무관심했다. 대표로서 일껏 결의하고도 그들은 스스로의 역할을 선언까지로 국한시켜, 잘 알려진 대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후에는 경무총감부에서 보낸 승용차 몇 대 편으로 고스란히 유치장을 향하고 말았다. 애초부터 중심도 본부도 없었던 3.1운동은 이로써 전적으로 대중의 결의에 따라 전개된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75, 권보드래 지음
지금껏 계승되고 있는 '민족 대표'라는 명칭, 이것은 '대표' 개념 자체가 해체, 재구성되고 있던 세계적 상황에서 일어난 숱한 실험 중 하나가 성공한 결과였으며, 그 성공을 가능케 한 것은 봉기 대중이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p.84, 권보드래 지음
"나라가 무엇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고, 내 민족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가 하는 것을 생각하는 사람이 되었" 조봉암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58, 권보드래 지음
대신 31운동을 통해 광범하게 목격되는 것은 오직 스스로의 힘에 의지한 결의와 궐기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3, 권보드래 지음
그런 비체계성과 즉흥성에도 불구하고 '민족대표'로서의 자기 결의 자체가 전국적으로 호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던 것이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4, 권보드래 지음
윌슨이 문제 삼았던 것은 바로 이 오래된 '대표'의 개념 및 제도자. 되풀이하자면 윌슨은 정의, 인도, 평화에 대한 인민의 열망을 대변할 때만 대표는 대표로서의 정당성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7, 권보드래 지음
파리평화회의 당시 윌슨이 구상한 것은 식민지의 '독립'이 아니라 '위임통치'였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7, 권보드래 지음
파국와 유토피아가 함께 임박해 있다는 감각이 시간성에 있어 직접성의 형식을 구성한다고 하면, 대표 개념의 비판 및 재구성은 (민족) 공동체 수준에 있어 매개 (mediation)의 질을 수정하고 직접성을 제고한다. 개별과 전체 사이를 잇는 매개라는 층위가 꼭 필요한가? 개별 그대로, 인민의 존재 그대로 사건의 동력이 될 수는 없는가? 그 힘 자체를 구조화한 사회는 불가능한가?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 권보드래 지음
윌슨이 '대표'개념의 갱신과 재구성을 제안했다면 레닌은 '대표'개념 자체의 해체를 추진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81, 권보드래 지음
독립신문은 창간호 1만부 인쇄에 그치지 않고 자발적 릴레이에 의해 여러 달 계속 발간될 수 있었으며, 이로써 증식과 변형의 운동성을 상징해냈다. 그것은 3.1운동 자체의 생리이기도 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47, 권보드래 지음
유봉진은 한편으로는 폭력을 행사하려는 군중을 설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총격을 가하려는 경찰을 설득했다. "살아 돌아오지 못할" 각오를 한 사람으로서 경탄할 만한 인내심이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56쪽, 권보드래 지음
1910년대는 세계적으로 혁명의 연대였지만 3.1 운동만큼 자발적인 동시에 전국적인 봉기 양상을 찾아보기는 어렵다. ... 봉기가 더 끈질긴 일은 있었을지언정 3.1 운동처럼 지역과 분파와 계층을 막론하고 참여가 거족적(擧族的)이었던 경우는 없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61쪽, 권보드래 지음
ㅎㅎㅎ 앞에 @도원 님과 @오구오구 님이 저와 같은 문장들을 올려주셔서 일이 줄었네요..^^;; 다 비슷한 부분..
하핫, 저는 @borumis 님이 수집해주신 문장과 제가 플래그잇 붙여놓은 문장에서 겹치는 부분이 종종 있었어요. 반갑고 좋았습니다:)
식민지라는 조건상 아시아, 아프리카 각 지역의 대표란 의회주의적 대표일 수는 없었다. 식민지 대부분에서는 선거와 의회제도로써 공인된 대표가 존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들 지역에서 온 대표들은 따라서 구세주를 만나지 못했는데도 그 후계자임을 자처하는 바울의 부류, 이방인 예언자의 면모를 닮았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1쪽, 권보드래 지음
초대받지 않았지만 힘들여 대표를 보낸 종족과 민족들의 목소리는 거의 울리지 않았다. 정식 대표단을 파견했던 중국마저 거듭 소외당하고 묵살당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3쪽, 권보드래 지음
'민족대표 33인'은 이상할 정도로 대표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경로에는 무관심했다. 그렇다고 기존의 대표 개념에 뚜렷이 이의를 제기한 것도 아니다. 조선은 대표 개념에 막 적응하기 시작했던 터, 의회나 선거 제도에 대한 의구심을 장착하기에는 아마도 시기상조였을 터이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5쪽, 권보드래 지음
'민족대표 33인'은 한편으로는 '대표'로서의 선언 이후 상황 전개를 예측하는 데도 무관심했다. 대표로서 일껏 결의하고도 그들은 스스로의 역할을 선언까지로 국한시켜, 잘 알려진 대로 독립선언식을 거행한 후에는 경무총감부에서 보낸 승용차 몇 대 편으로 고스란히 유치장을 향하고 말핬다. 애초부터 중심도 분부도 없었던 3.1 운동은 이로써 전적으로 대중의 결의에 따라 전개된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5쪽, 권보드래 지음
삼일절 하면 떠오르는 민족대표33인에 대해 이들의 대표성 뿐 아니라 이후 행적의 불분명성까지, 새로운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어요. 대표라는것이 어떤 의미인지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구요.
부재하는 중심, 불학실한 소문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라면 3.1 운동은 오히려 1789년의 프랑스혁명과 1790년의 아이티혁명, 그리고 1857년 인도 세포이항쟁 같은 멀리 떨어진 사건을 연상시키는 바 있다. .... 이들은 부정확한, 그러나 현재에 대한 불만과 분노를 강렬하게 실어나르는 소문에 의해 스스로를 일으켰고 그럼으로써 현실을 바꾸는 동력을 만들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9쪽, 권보드래 지음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책증정]《내 삶에 찾아온 역사 속 한 문장 필사노트 독립운동가편》저자, 편집자와 合讀하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독서 모임에서 유튜브 이야기도 할 수 있어요
[팟캐스트/유튜브] 《AI시대의 다가올 15년, 우리는 어떻게 살아남을 것인가?》같이 듣기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