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때 당시 유행어가 '민족자결'이었다는 것도 주목할만 하네요. 요즘 유행하는 말들을 생각하면..?! ㅋ 요즘엔 극우가 나데서 이러다 민족자결이란 말이 다시 등판할 것도 같다는 생각이 잠시 뇌리를 스쳐... 농담입니다.ㅋ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stella15

오구오구
그러게요 ㅎㅎ 극우가 태극기를 선점? 독점? 한 탓에 태극기 사용이 꺼려지는 심리적 상태가 문제라는 글을 어디서 본적이 있어요. 민족자결은 지금도 너무 중요한데... 극우님들 집회에서 미국기, 이스라엘국기까지 날리는 것을 보니.. 뭔가... 혼란스럽습니다 ㅎ

연해
아... 저도 이 말씀 정말 공감해요. 사실 태극기를 생각하면 가장 좋았던 기억은 저 초등학생 때, 2002월드컵인데요. 그때의 풍경이 아직도 생생해요. 다들 태극기를 온몸에 휘감고 거리를 돌아다녀도 마냥 즐겁기만 했는데 말이죠.
요즘은 길에서 그렇게 다니시는 분들 보면 솔직히 무섭습니다. 자꾸 그분들의 표정을 보게 돼요. 어쩌다가 태극기가 이런 이미지가 되어버린 건지. 자랑스러운 우리 국기인데, 속상합니다.
aida
“ 이들은 의회제도나 대표의 정치에 의존하지 않았다. 그런 제도는 존재하지 않았거나 그들의 생활영역에 들어와 있지 않았다. 대신 그들은 궁핍과 억압과 차별에 대한 분노, 안전과 자유와 평등에 대한 갈망에서 출발하여 ‘혼돈의 개방성(chaotic openness)’속에 뛰어듦으로써 거대한 정치적 에너지를 형성했다.
의회제도 자체부터 이런 직접 봉기(immediate uprising)의 힘에 대응하는 과정 에서 생겨나고 변형됐다고 할 수 있으리라. 3.1운동이 일어났던 1919년은 이같은 직접성-즉각성(immediacy)이 유례없을 정도로 고양된 시기였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79,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aida
2장중에서는 “대표와 인민 사이 - 유토피아적 직접성의 논리” 이부분이 시간이 들고 검색도 많이 하게 되네요.
프랑스 혁명, 아이티 혁명, 세포이 항쟁과 같은 공통점을 찾은 단락이고 처음 알게된 시각이어요. “직접성”이라는 표현은 와 닿는데 시간이 좀 걸렸네요. 직접한다. 맡기지 않고 내가 한다.
일제강점기 10년차이고 무단통치는 제게 일본 헌병의 이미지부터 떠오릅니다;
현재의 이익집단과는 달리 독립이라는 목적이 같은 단체들이 생겨나더라도 억압의 시대이니 체제가 있기도 어려웠을때, 독립선언은 독립이다. 현실이 될수도 있다. 내가 외치자. 모두가 그런 마음이었을지.
지금의 숱한 단체들이 우리/그들의 성격이 강하다면,
당시는 모든 사람 마음에 억압과 차별의 무게가 넘칠듯 차올랐기에 우리/우리 의 성격이 강했을 것 같고, 자발적 대표들은 누구라도 성공해라, 내가 잡혀간다 그런 맘이었을 것 같기도 하구요.
직접성의 힘으로 유토피아와 멸망 사이의 선택을 하는 레닌은 독재의 위험을 보지 못했고, (검색해서 찾아본) 이상주의자 로자 룩셈부르크도 결국 독일사민당 우파에게 죽는군요.
그래도 3.1운동의 힘으로 임의의 민족대표 33인에서 여럿 단체가 의회와 선거제도를 경유하지 않고도 임시정부로 이어졌다는 놀라는 결과로 2장이 마무리되어 좋네요.

YG
2장 읽으면서 '대표'라는 개념을 둘러싼 아주 다양한 관점을 접하면서 새삼 고민이 깊어진 분도 있으셨죠?
제가 좋아하는 정치학자 가운데 데이비드 런시먼이 있어요. 이 분이 대표라는 개념이 어떻게 만들어졌고, 민주주의와 어떻게 결합했고, 또 어떤 갈등을 빚었는지를 상세하게 논한 책을 한 권 펴낸 적이 있습니다. 국내에도 소개가 되어 있어요. 이참에 한 번 메모해 뒀다가 나중에 관심이 생기면 살펴보시길 권합니다.
런시먼은 (국내에서는 아니고 미국에서는 화제였던) 뜬금없는 책에서도 이름이 등장합니다. 혹시 타라 웨스트오버의 『배움의 발견』 읽어보신 분 있으신가요? 모르몬교 광신도 아버지, 어머니와 그런 부모에게 동조하면서 폭력을 행사하는 오빠로부터 벗어나서 공부를 통해서 자기만의 자유를 찾는 여성 타라의 이야기입니다. 이 타라가 영국으로 가서 공부하게 되는데, 그 지도 교수 가운데 한 명이 바로 런시먼이더군요. :)

대표 - 역사, 논리, 정치대표 개념의 고대 로마적 기원에서 출발해 근대 민주주의 혁명의 시기에 그것이 수행한 역할을 통해 대표 개념의 역사적 뿌리를 검토하며, 정치학은 물론이고 법학과 연극 등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존재하는 대표 개념의 여러 변형태들을 검토한다.

배움의 발견 - 나의 특별한 가족, 교육, 그리고 자유의 이야기타라 웨스트오버의 첫 저술이자, 회고록이다. 아이다호주 벅스피크의 유년 시절부터 케임브리지에서 역사학으로 박사 학위를 얻기까지 남다른 배움을 여정을 다룬다. 2018년 2월 출간되자마자 미국 출판계 최고의 화제작으로 떠올랐다.
책장 바로가기

Nana
‘배움의 발견‘ 읽었는데, 이런 뜬금없는 책에 나오는 슬쩍 지나가는 이름도 바로 알아보시네요! 👍
윌슨의 아시아/아프리카에 대한 관점(민족국가의 존재를 감당할 자아가 아니라니!)을 보니 바로 전에 ‘호라이즌‘을 읽은 사람으로서 아주 가소롭네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YG
내일 3월 7일 금요일에는 계획대로 3장 '깃발'을 읽습니다.
이 3장에 3월 1일에 깃발의 역할에 대한 이야기가 나옵니다. 인물, 그러니까 인간뿐만 아니라 사물 즉 비인간이 3월 1일에 했던 역할까지 샅샅이 훑은 게 이 책의 중요한 장점이자 특징 가운데 하나인데요. 깃발의 역할도 그 가운데 하나입니다. 뜻밖이었던 건, 이 깃발이 우리가 아는 태극기는 아니었다는 거예요. 재미있게 읽고서 여러 얘기 나눠요.

오구오구
옛왕조를 민족으 상징으로 승인하는 심리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31운동을 통해 그런 심리는 민족의 새로운 주체성을 발견하는 방향으로 변화해갔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100,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 기

오구오구
태극기=대한제국의 국기라는 연상에 대한 모종의 경계심이 작용한 것 또한 사실이라고 생각된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109,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31운동기에 '독립만세'로써 보충된 태극기는 바로 그런 일련의 변형을 상기시키는 바 있다. 대한제국에 빚지고 대한제국을 기억하면서도 그 못지않게 강렬하게 신생에의 열망을 품고있는 '만세 태극기'라면 말이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110,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태극기가 아닌 깃발이 휘날렸을 1919년을 상상하면서 눈시울이 뜨거워졌어요. 계엄이후 집회에 2-3번 다녀왔는데, 그때마다 휘날리는 깃발들에 가슴 뭉클해졌었거든요.
제가 깃발을 사랑하게 된 순간이 있는데, 몇년전 락페스티발에서 퇴!사!라고 장엄하게 쓰여진 검고 드높은 깃발이 보였고, 잔나비 노래에 맞추어 젊은이들과 퇴사 깃발 아래서 둥글게둥글게, 강강술래 같은 모형으로 함께 뛰던 그날이었어요. 남녀노소 할거 없이 깃발아래 신나게 뛰며, 눈물나게 해방의 감정을 느꼈거든요.
1919년 깃발과 비교할수 없겠지만 ( 죄송 ㅠ) 저의 그 퇴!사! 깃발 .. 기억나네요

오구오구
어제 올리려고 했는데 깜빡했어요. 지난주 독립기념관에서 본 수많은 사진중에 마음을 사로잡은 사진 두장입니다. 김규식, 모던보이 느낌이시고, 저자리에 함께 했던 세계 각국의 대표들이 어떤 마음이었을지..
애국부인회 사진인데, 이분들의 이야기가 책에 나올까요? 이분들 너무 궁금해요. 한분한분.. 어떤 삶을 살다 가셨을까요...
기념관 나오면서 우리집 1호 2호들은, 자기들은 일제시대 태어났으면 고민하지 않고 친일파가 되었을거라는 ㅠㅠ 아... 독립기념관에서 할 소리인가.. 온가족 씁쓸하게 웃었네요...



오구오구
김규식의 어린시절에 대한 이야기도 보았는데, 선교사에게 입양되기 전까지 엄청난 가난속에 버려진 아이였다고 하더라구요. 부모는 집에 없고 혼자 벽지뜯어 먹으며 연명하다가 우연히 선교사에게 입양되었다는?? 천운의 천재 아이가 나라를 위해 목숨 바치는 이야기. 너무나 영화적인데... 영화속에 김규식이 나온적 있나요?

borumis
영화는 제가 잘 모르지만 김규식의 친척 중 김염이라고 상하이에서 배우로 날렸던 분이 계셨죠. 이 분 항일 영화를 많이 찍으셨고 제국주의 영화는 결사코 반대했던.. 민음사에서 관련 전기도 나왔다고 합니다.
김규식이 파리 평화회의에서 울분을 참지 못하고 강연하던 것이 La Lanterne에 1919년 8월8일 L'Oedipe (오이디푸스)라는 가명으로 기사가 나왔는데 <La Corée chez Dufayel : Y aurait-il vraiment une Alsace-Lorraine asiatique ?>제목으로 번역하면 'Dufayel의 한국: 정말 아시아의 알자스-로렌이 존재하는가?' (알자스 로렌 지방이 프랑스와 독일 사이에 끼어서 강압적인 경제적 군사정 쟁탈장이 되었던 걸 한국에 비유한 듯합니다. 기사의 일부를 번역하자면:
"사실, 항해자들이 한때 섬으로 여기고 현대 동양 문학을 스위스에 비유했던 이 먼 한국에 대해 우리 중 누가 관심을 두겠습니까? 경전에 기록된 창조 연대를 정확하게 받아들인다면, 세계만큼이나 오래되고 그보다 훨씬 나이가 많은 이 나라의 즐거운 수도인 서울까지 가보고 싶은 호기심을 가졌던 루이스 마랭 씨를 제외하고는 거의 아무도 없습니다."
"이러한 무관심에 불쾌감을 느끼며, 이상과 정의를 사랑하는 프랑스가 일본의 무거운 멍에 아래서 4000년이 넘는 독립적이고 모범적인 국가 존재를 이어온 오늘날 2천만 영혼의 이 국민의 간청에 더 적극적으로 응답하지 않는 것에 놀랐습니다"
"아! 한국은 종주국에게 친절하지 않습니다. 이 관리가 한 욕설에는 일반적인 외교적 욕설이 전혀 없었다고 장담합니다. La Carrière의 단골 고객은 그 자리에서 인조 칼라를 잃어버렸을 것입니다. 특히, 보통 이를 느슨하게 착용하는 아시아 담당 부국장인 Mr. Goût는 더욱 그렇습니다."
"일본은 아시아에서나 미국에서나 자신에 대해 많은 동정심을 받을 수 없었으며 불운한 알자스-로레인을 손에 쥐게 되었습니다."


borumis

상하이 올드 데이스 - 휴먼 다큐멘터리 1독립 운동가였던 김필순의 3남으로 태어나 혈혈단신의 몸으로 중국으로 건너가 영화계에 입문, 출연작 마다 대성공을 거두며 '영 화 황제'의 위치에까지 올랐던 김염(金焰)의 일대기를 담고 있다. 어려웠던 시절 항일운동의 의지를 영화를 통해서 꽃피웠던 그의 삶과 당시의 시대적인 풍경이 생생하게 담겨있다.
책장 바로가기

stella15
이런 책이 있었군요. 함 읽어보고 싶네요.

stella15
오, 좋은 자료네요. 근데 책에서도 보면 진짜 잘 생겼더군요.
과연 김규식을 다룬 이야기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도산 안창호를 다룬 영화가 다음 주에 개봉되더군요. '호조'라고. 혹시 거기 잠깐 나오지 않을까요? ㅋ

borumis
전 약간 김규식의 모던보이 사진을 보면 마지막 황제 영화에서 나왔던 청의 마 지막 황제 푸이가 생각나네요.

오구오구
어머나, 그러네요~ 닮았어요 ㅎ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