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19세기 이래 서양 사상가를 동시대적 감각으로 참조해내고, ‘세계’와 ‘인류’라는 계기를 발견했다고 해도 한국과 일본의 문제의식은 같을 수 없었다. 비약적으로 발전한 국가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아의 공간을 허락하지 않은 데 일본 청년들이 반발했다면, 식민지 조선의 청년들은 국가가 사라진 상황에서 ‘그렇기 때문에’ 온전한 자유가 허락될 수 없다는 문제와 싸워야 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218,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