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읽고 싶습니다! 700쪽에는 아쉽게 몇 쪽 모자라네요. ㅎㅎㅎ
저도 그 얘기할까 하다가 놓쳤는데 역시 장맥주님 700쪽을 넘 사랑하는 것 같습니다. ㅎㅎ
사람이 기준이 있어야죠! 기준이 젠틀맨을 만든다!
장작가님 기준 있는 신사분이셨군요 ㅎㅎㅎ
네! 700쪽 안 되면 우습게 봅니다. 어디 건방지게 700쪽도 안 되는 집안 출신이 감히 우리 아들한테... 아니 이건 아닌가...
ㅎㅎㅎ 어유, 지는 500쪽이 기준인디 그런 지가 어찌감히 장맥주님을 넘보겠씨유. 큰일 날 일이쥬. 암만유~ (요즘 '옥씨부인전'이란 장맥주님은 절대모를 드라마를 보고있는데 배경이 충청도걸랑요.ㅎ )
그런 드라마가 있다는 건 아는데 무슨 내용인지는 전혀 모르네요. ^^
모르시는 것이 날 수도 있만유. 거 보면 헤어나 올 수 없으실 거여유. ㅋㅋ
3.1 운동은 봉기의 터전일 뿐 아니라 공론의 토대였다. 새로운 정치적 공통감각을 형성하는 토론의 장인 동시 행동의 장이었다. ... 그들은 독립이 박두했다는 소문에 고무돼 만세 부르며 일어나, 그 이후의 몇 달을 거쳐 이후의 정치체제와 그 속에서 살아가게 될 자기 자신을 만들었다. 그런 점에서 3.1 운동은 각성의 과정이자 자아 형성의 과정이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112쪽, 권보드래 지음
베버의 말마따나 '합법적 폭력을 독점하는 기구', 즉 국가를 장악한 존재로서 억압자는 다른 존재에 대한 폭력 행사를 일체 불법화한다. 군대나 경찰 같은 폭력 장치를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개인적, 집단적 폭력 행사는 말살하려 하고, 증오나 공포를 제도화하고 있으면서도 개별적 증오나 분노의 폭발을 죄학시한다. 식민지와 피식민자 사이에서는 더욱 그렇다. 식민자는 하나의 폭력을 백배의 폭력으로, 한 명의 죽음을 수십,수백,수천의 죽음으로 되갚으려 한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24쪽, 권보드래 지음
폭력의 무진장한 자원을 소유하고 있으면서도 식민자 자신의 폭력을 방어적 폭력으로 간주한다. 매를 막기 위해 쳐든 피식민자의 팔조차 폭력의 징후로 보고, 호의로 뻗은 손마저 공격의 조짐으로 해석한다. 피식민자는 흔히 궐기의 순간에도 비폭력에의 의지를 간직하고 있지만 식민자는 그 차이를 분별하려 하지 않는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26쪽, 권보드래 지음
저도 이 문장 수집했어요..쯧쯧
도둑놈들이 제 저린 듯..?
3.1 운동에 있어 '최후의 일각까지, 최후의 일인까지'는 자기 자신의 죽음을 각오하는 자세에 가깝지 억압자의 죽음을 목표로 한 전략이 아니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33쪽, 권보드래 지음
"조선민족이라는 일체감 가운데 취"한 축제적 기분 속에 시위꾼들은 민족배신자조차 용서하려는 온정적 기분을 드러내곤 했는데 그렇듯 배신자와 적대자에게 손 내미는 심정은 3.1 운동기 전 국면을 통해 사라지지 않았던 듯 보인다. 만세 부르지 않으면 구타한다고, 시위에 협력하지 않으면 불지른다고 위협할 때, 그것은 물론 위험을 나누자는 협박이었지만 동시에 환희를 함께 하자는 초대이기도 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38쪽, 권보드래 지음
대체 총칼 든 헌병과 순사들에게 맨몸으로 덤벼 이빨로 물어뜯고 주먹을 휘두르다니. 이 무모한 장면을 엿보다 보면 힘(권력)과 폭력을 분별하는 영어 'power'와 'violence'보다 이 둘을 동시에 지시하는 독일어 'Gewalt'를 떠올리게 된다. 권력이 행위의 영역에 작용한다면 폭력은 육체를 대상으로 작용하는 힘이며 군력과 광포의 관계가 우연적, 부차적이라면 폭력과 공포의 관계는 필연적일 텐데, 공포라곤 없고 공포를 일으키겠다는 의지도 없는 이런 장면은 '폭력'의 문법으로 독해될 수 없기 때문이다. 감정적 배치로 따질 때 공포가 아니라 유쾌ㆍ 환희ㆍ 희망의 성분이 결정적인 이같은 장면은 3.1 운동의 특징적 국면 중 하나다. 공포와 희망 사이를 분노가 매개하는 가운데 봉기 대중은 '폭력이 된 권력'을 휘두르는 식민권력에 맞서 줄기차게 '폭력 너머의 힘(권력)'을 추구하고 실천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40쪽, 권보드래 지음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것은 생활환경의 단순한 물질적 개선만은 아니고 공장 운영에 참여하고 노동환경을 결정할 수 있는 목소리를 내는 것, 즉 산업체계의 혁명적 변화"였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65쪽, 권보드래 지음
3.1 운동 전후 노동쟁의는 개별 사업주와의 충돌이라기보다 식민권력 자체에 대한 저항으로 표상됐던 것으로 보이는데, 그것은 식민권력이 쟁의에 빈번하게 개입했기 때문이기도 하고, 노동시장의 성격상 중개-책임자를 넘어 문제를 추궁할 수밖에 없었던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72쪽, 권보드래 지음
제1차 세계대전 전후 세계가 그러했듯 식민지 조선에서도 평화와 토지에 대한 요구가 드높았던 것은 사실이다. 고전적인 자유주의 정치학으로서는 그같은 요구를 수용하기 역부족이었다. 바야흐로 사회ㆍ정치적 대중이 탄생하는 가운데, 그들의 요구에 응답하는 데 있어 '윌슨과 레닌 가운데 어느쪽을 선택할 것인가'가 점차 민감하게 의식되는 상황이었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81쪽, 권보드래 지음
조선인들은 근대의 입구에서 이미 근대를 향해 불만을 느끼고 있었고, 세계 여러 지역에서의 그 해결 시도에 공명하고 있었지만, 그 방향은 '비근대(un-modern)'라고나 불러야 할 막연한 것이었다. 전근대적 요소와 탈근대적 요소를, 근대적 욕망과 반근대적 욕망을 함께 품은 혼잡한 벡터의 운동성이었다. 그런 가운데 복고보다 공화로, 중앙집권보다 자치로 대중의 욕망이 수렴돼 가긴 했으나, 그 방향성의 최대치는 세계적 유행 사조인 '개조'를 넘어서지 않았다.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381-382쪽, 권보드래 지음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