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소설같은 삶을 사셨군요. 이런 분들의 이야기가 더 많이 알려졌으면 좋겠어요. 한여름 몽골에 가보고 싶네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0. <3월 1일의 밤>
D-29

오구오구

꽃의요정
378p 마지막줄에 "당신을 지극히 사랑하기 때문에 당신을 버리는 것"이란 말인지 방구인지 모를 문장을 수집하고 싶었으나 주제에서 벗어나는 것 같아 참으려다 못 참겠어서 이렇게라도 올립니다.
이 오빠 쫓아가서 맴매해 주고 싶네요.
밥심
이 책에는 제주에서의 운동 이야기가 안 나오는 것 같다고 일전에 말씀드렸는데 ’제주’ 단어가 드디어 한 군데 나오네요. 그것도 각주에서. 485쪽 귀향 후 지역에서 만세 시위를 조직하는데 기여한 학생을 소개하면서 제주 조천리 봉기를 주도한 휘문고보생 김정환을 언급합니다.
저자가 나가는 글 556쪽에서 ‘이 책에는 맹목의 지점이 많다. 지역 계층 사건 간 균형이 부족하고 문제의식도 편중돼 있다’고 고백(?)했으니 제주는 지역간 균형 부족 사례로 이해하고 넘어가야 겠어요. 저자의 수고가 너무나 많이 들어간 역작 잘 읽었습니다.

연해
“ 후일 함석헌이 말한 대로 3ㆍ1운동은 많은 사람의 삶을 송두리째 흔들어버렸다. 식민지의 하급 공무원으로 그럭저럭 자족하던 사람들이 사회운동가로 변신했고, 제 한 몸의 안녕을 목표 삼던 이들이 민족과 혁명의 대의에 투신했다. 생성과 초월에의 정념이 부활하여 배움에의 열망도 불타올랐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