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로부터 봉화 올려 나라의 급변을 알리는 '봉화고변'의 예를 따라 산에 오른 농민들은 화톳불을 피우고 밤새 정상을 지켰다. "산허리를 단단히 지켜라. 돌들을 준비하였다가, 수상한 놈이 있거든, 돌로 때려 죽여라. 총도 무서울 것이 없다. 죽을 놈을 죽이면 그만 아니냐! "라며 진압 기능성에 살기둥을 대비하기도 했다. 막상 산상 봉화시위에 대해서까지 탄압의 손길이 미치는 일은 드물어서, "나무가 없을 때까지, 불이 다 탈 때까지, 목에서 피가 나올 때까지, 그들은산허리에서 버티다가, 결국은 마을로 내려오고야 말았다." 봉화는 장관이었다. ”
『3월 1일의 밤 - 폭력의 세기에 꾸는 평화의 꿈』 59, 권보드래 지음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