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이런 우연이...
[이 계절의 소설_봄] 『벵크하임 남작의 귀향』 함께 읽기
D-29

최가은
Percival
드디어 다 읽었습니다.
만연체를 선호하지 않아 혼자라면 절대 끝까지 읽지 못했을 것 같은데 함께 읽어 즐겁게 읽을 수 있었습니다.
처음 경고를 펼치고 챕터의 시작과 끝이 문장의 시작과 끝이라는 걸 알고 만연체 쉽지 않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다들 어떻게 읽었는지 궁금하여 그믐을 훑어보는데 강보원 평론가님이 저자가 과도한 만연체를 썼다는 건 독자가 꼼꼼히 읽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이라 생각한다는 걸 보고는 꼼꼼히 읽겠다는 생각을 버리고 흐르는대로 따라갔습니다. 뭔가 판소리를 보고 있다는 기분이 들었고, 읽어가면서 머릿속에 남는 게 없다고 느낄 때 잘난 당신을 쓰러뜨리고 말겠어 에서 총을 쏘는 장면을 인상 깊게 읽게 되었습니다. 정말 직접 겪은 누군가가 바로 옆에서 제게 썰을 풀어주는 듯한 느낌은 순식간에 몰입하게 만들었고 이게 만연체의 매력인가?라는 생각으로 책에 빠져들었습니다. 하지만 그 후로는 다시 글자를 읽어가는 거에 그쳤습니다… 어려웠습니다🥲
그래도 라슬로의 다른 책들도 읽어보고 싶단 생각을 하게 됐고 읽다가 물음표가 가득해질 땐 다른 사람들의 생각들을 보며 읽을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금정연
고생하셨어요! 정말 초반 강보원 평론가의 말이 모두에게 큰 빛이 되어준 것 같네요. 만연체의 홍수 속에서도 말씀해주신 장면을 비롯해 마치 영화를 보는 듯한 몇몇 장면들이 오래 기억에 남을 것 같아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최가은
모두 고생하셨습니다!! 이번 모임은 특별히 길게 느껴지기도 하고, 한편으론 엄청 숨가쁘게 달려온 느낌도 드네요. 대화의 열기가 어느 때보다 뜨거웠던(?) 것 같은데... 그래서 특별히 기억에 남을 것 같기도 하고요. 저 또한 혼자 읽었다면 놓치고 가는 부분이 정말 많았겠죠. 열정적으로 감상을 나눠주신 분들 덕분에 소설의 장면 장면들을 새롭게 이해해볼 수 있었어요. 함께 읽는 즐거움을 새삼 느낄 수 있었던 시간이었습니다. 저는 언제가 될 지는 모르겠지만 이 소설을 한 번 더 읽게 될 것 같아요. 혹은 라슬로의 다른 소설들을요. 그때 여기서 나누었던 대화들을 다시 보면서 책을 읽는다면 어떨지 궁금합니다. 오늘은 봄비가 내렸네요. 모두 따뜻하고 건강한 봄날 보내시길 바라면서... 다음 계절에 또 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금정연
이제 마지막 인사를 드려야겠네요. 쉽지 않은 여정이었지만 그만큼 가치 있는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많은 분들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저 역시 여러분과 함께가 아니었다면 이 두꺼운 책을 끝까지 읽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크러스너호르커이의 인터뷰를 보면서, 왠지 이 부분은 꼭 마지막 인사에 써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던 부분이 있는데요. 앞서도 인용한 바 있던 헝가리 문학 온라인(hlo)의 인터뷰의 한 부분을 옮깁니다. 다시 한 번, 함께 읽어주신 모든 분께 감사를 드립니다.
--
인터뷰어: 1992년, 당신의 고향을 방문했을 때, 당신은 귈라 TV에 인터뷰를 했고, 리포터는 당신의 작품에 익숙하지 않은 시청자들을 위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내가 알기 만 한다면"이라고 당신은 한숨을 쉬며 대답을 시작했습니다. 지난 30년 동안 이 질문에 대해 어떤 진전을 이루셨나요?
크러스너호르커이: 네, 저는 이제 더 이상 신경 쓰지 않습니다.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