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성은 운동 중에는 지방을 소비하는 성향이 더 크지만, 운동 후 잃어버린 지방을 보충하려는 노력을 더 많이 한다고 합니다. 즉 여성은 지방을 소비하는 성향에 저항하는 방향으로 진화해 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 최근 한 논문은 재미있는 결과를 보여 줍니다. 가족 동반 식사가 자녀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인데요, 가족과 식사를 많이 할수록 우울과 불안이 줄어들고, 주의 집중 곤란, 공격성, 정서 불안이 감소하고, 자존감은 높아지며 사회성은 좋아지는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고 합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어떻게 먹을 건인가'에서도 나온 내용이네요. 생각해보니 각자 출퇴근 시간이 달라서 가족 모두가 함께 하는 식사 자리를 가진 게 굉장히 오래됐어요. 내일 저녁은 꼭 같이 먹어야겠습니다!
siouxsie
저도 이런 점 때문에 컵라면을 먹을지언정 가능하면 같이 먹으려고 해요. 인간 한 마리 키우는 게 왤케 손이 많이 가는지...
새벽서가
이문장 너무 겅감해요. ‘식구‘라는 단어를 생각해봐도 가족이 함께하는 식사가 얼마나 중요한건지 되새겨보게 됩니다.
하느리
일주일에 3번 이상은 꼭 가족들과 함께 식사하기😉
하느리
설탕은 도파민을 올리고, 지속적인 폭식과 내성의 징후도 보입니다. 그렇게에 중독 기준에 들어맞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하느리
말씀해 주신 대로 12주간 읽었던 채식 관련 책 중 가장 재미있어요!
저희 학교 교수님들도 이렇게 재미있게 강의해 주셨다면 제 학점이 그 꼴은 아니었을 텐데...😱
“ 그러면 운동의 목적은 뭘까요? 체중 감소가 아니라 근육을 만드는 것입니다. BMI를 체지방과 동일시해서는 안 됩니다. 근육의 증가는 대사 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최적의 방법입니다. 대사 상태의 개선은 여러 가지 대사 질환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근육은 식단 조절로는 늘릴 수 없습니다. 근육을 늘리는 방법은 오직 운동밖에 없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모든 사람은 하고 싶은 대로 하거나 그만두는 것을 결정할 자유가 있다’라는 자유 선택 이론은 식품 산업이 꾸준히 주장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자유 선택 이론은 현재까지는 비만과의 싸움에서 성공적인 결과를 낳지는 못했습니다. 기나긴 흡연과의 전쟁을 생각해 볼 때, 담배에 대한 자유 선택 이론은 많은 사람의 건강을 해롭게 했으며 수많은 사회적 비용을 발생시켰습니다. 그렇기에 불간섭주의적인 접근법은 동기 부여가 확실하고, 교육을 받았으며, 경제적 여유가 있는 소수 집단에서만 효과가 있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먼저 개인에 집중하는 대책을 보면 장점은 비만 환자만을 목표로 하므로 비용을 개인에게만 쓸 수 있고, 의료 시스템도 만들기 쉽습니다. 위험-수익 비율이 분명하므로 많은 사람의 지지를 끌어낼 수 있습니다. 단점은 비만 치료가 실패했을 때 개인 잘못으로 몰아가기 쉬워 환자가 좋지 않은 취급을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앞으로 비만이 될 사람들에 대한 예방책을 소홀히 하기 쉽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 미국에서 나온 데이터를 근거로 추정해 보면 2050년에는 성인의 40% 이상이 비만이 될 것이라고 합니다. 또한 현 추세로 나아간다면 현재 두 살짜리 어린이가 서른다섯 살이 됐을 때는 반 이상이 비만이 될 것이라는 아주 비관적인 예측 결과를 내놓았습니다. 영국에서도 비슷한 데이터가 제시됐습니다. 2050년에는 나이를 불문하고 남녀 비만이 급증할 것이며, 영국인 절반이 비만이 될 것이라는 비관적인 예측을 했습니다. ”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살 빼기 참 힘드네!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지음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읽기 시작했습니다.
stella15
그래서 전 살 안 빼고 그냥 살기로 했어요. ㅋㅋ
새벽서가
전 몸무게 숫자보다 체지방 줄이고 근육량 늘리려고 노력중인데 쉽지가 않네여. 사십대때만해도 이렇지 않았는데, 50대의 나이와 갱년기가 얼마나 무서운건지 요즘 실감중입니다. ㅠㅠ
stella15
그러시군요. 저도 50대 끝자락에서 몸이 예전 같지는 않은데 그냥저냥 살고있습니다. 몸을 그만큼 쓰고 살았으면 탈 날 때도됐지. 자리에 눕지 않고 살면 건강한거지 그러고 살고 있습니다. 몸은 또 회복될 겁니다. 물론 예전 같지는 않겠지만. 힘 내십시쇼!^^
새벽서가
자리에 눕지않고 살면… 그렇죠~ ^^;
siouxsie
어제도 친구를 만나서 얘기하는데, "저녁에 수영 1시간 하고, 홈트 1시간 하고 밥을 안 먹고 자야 다음날 몸무게가 줄어 있어. 저녁을 먹으면 그냥 몸무게가 제자리고. 근데 어떻게 운동을 하고 밥을 안 먹어? 오늘처럼 이렇게 만나서 파티라도 하면 다음날 2-3킬로는 그냥 쪄 있고, 안 빠져."라고 하더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