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이트비저의 절도행위가 예술에 대한 사랑만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내면의 결핍를 커버하는 자아도취에 빠져 범죄에 대한 인식조차 할 수 없을만큼 무책임하고 비겁한 인간의 모습이라고 봤습니다.
반면, 앤 캐서린은 어릴 때 부자이며 박식해보이는 브라이트비저를 자신의 보이지 않는 신분상승 욕망을 만족시켜주는 수단으로 인식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녀 또한 스스로의 결핍때문에 브라이트비저의 절도행위의 일원이 되지 않았을까요 [위대한 개츠비]에서 데이지가 톰을 떠나지 못하는 그런 점과 비슷하지 않나 생각해보았습니다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D-29
Rhong
RAMO
예술 도둑의 딜레마
책 '예술 도둑'에서 스테판 브라이트비저의 여자친구 앤 캐서린은 그의 절도행각에 동참한 공범자로 등장합니다. 그녀의 행동에 대한 제 생각은 다소 복합적입니다.
앤 캐서린은 단순히 연인의 뜻을 따른 수동적 공범이 아니라, 브라이트비저의 "예술 작품이 있어야 할 곳은 감옥 같은 미술관이 아니다"라는 철학에 어느 정도 공감하며 자발적으로 참여한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그녀가 단순한 애정이나 맹목적 추종이 아닌, 나름의 예술적 신념을 가진 인물임을 시사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고상한 미학적 이유라 할지라도, 타인의 소유물을 훔치는 행위는 법적으로나 윤리적으로나 정당화될 수 없습니다. 앤 캐서린은 브라이트비저의 철학에 동조했을지 모르지만, 그 실행 방식에 있어서는 더 비판적인 판단을 내렸어야 했다고 생각합니다.
미술관을 동물원에 비유해볼 수 있습니다. 동물원이 자연 속 자유를 빼앗는 '감옥'처럼 보일 수 있지만, 실제로는 멸종 위기 종을 보호하고 사람들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는 안식처가 될 수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미술관도 예술품을 '가두는' 공간이 아니라, 보존하고 더 많은 사람들과 공유하는 공간입니다. 앤 캐서린이 이런 미술관의 공익적 기능을 간과한 채 개인적 소유욕이나 스릴을 위해 브라이트비저의 행동에 동참했다면, 그것은 비판받아 마땅합니다.
한편으로는 심리학자들이 지적했듯이, 앤 캐서린의 행동에는 연인의 인정을 받고자 하는 욕구나 일상의 지루함을 벗어나려는 충동이 작용했을 수도 있습니다. 사랑하는 사람의 가치관에 영향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것이 불법 행위에 동참하는 이유가 된다면 그것은 건강한 관계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책의 후반부를 따라가며, 앤 캐서린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어떤 성찰과 책임감을 보이는지 주목해보고 싶습니다. 그녀가 단순히 브라이트비저의 그림자에 머무는 인물이 아니라, 자신의 선택과 그 결과에 책임지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그런 측면에서는 일정 부분 공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늘땅
저는 앤 캐서린은 예술에 큰 관심이 없었던 사람 같아요. 전문가들의 분석대로 브라이트비저가 가스라이팅한 애인인 것 같기도 하고요. 그저 애인인 브라이트비저가 기뻐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 조력했던 사람일 뿐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나중에 돌아봤을 때 브라이트비저는 자신의 기쁨을 온전히 누리는 시간을 가져 의미가 있었던 시간이었겠지만 앤 캐서린은 남는 게 없어 후회되고 허망한 시간일 수도 있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생각해봅니다!

방보름
가끔 흉악한 범죄자들도 연인이 있더라고요. 범죄자들을 숨겨주기도 하고 함께 일을 저지르기도 하는... 애인의 도둑질에 동조하는 걸 봐서 앤 캐서린도 윤리의식이 부족한 인물 같아요ㅡ.
p.101에 나온 것처럼 그녀 역시 긴장감, 흥분을 느꼈을 것 같고 무엇보다 남자친구인 브라이트비저를 즐겁게 해주고 싶은 마음이 컸을 것이고요.
ㅡㅡㅡㅡㅡㅡㅡㅡ ㅡ
책을 끝까지 읽어봐야겠지만. 자기애성 인격장애를 가진 범법자 주인공의 자기방어를 듣고 있자니 답답하네요. 브라이트 어머니가 과연 아들의 범죄를 눈감아준 게 맞는지 그 부분도 궁금하고요.
JJF
도덕관념이 희미한 사람이 사랑에 눈이 멀어 절도를 돕기 시작했고, 안집히고 하다보니 그냥 관성적으로 계속 하게 된 게 아닌가 라고 생각했어요. 엄마집에 살면서 외할아버지가 주는 용돈으로 사는 남자와 사랑에 빠져서 자기 월급으로 부양할 정도니 사랑에 어지간히 눈이 먼 것이 아닌가....
바 리에가타
잘 모르겠네요. 앤 캐서린의 지인들 표현처럼 어쩌면 1990년대에 20대를 보낸 보통의 청춘남녀들이 거쳤을 청춘에 대한 환상 같은 것에 빠진 것은 아닐까도 싶고요. 도둑인듯 도둑이 아닌듯...

중화문학도서관
@바리에가타 문풍이님 답변감사해요 ^,^ 베르메르의 작품들은 많은 스토리를 재창조하게 끔하는 명작이죠! 그가그린 우유 따르는 여인도 정말 재미있는 그림 같아요~ 앤캐서린에 대한 이야기는 아 마 이번주 다음주 독서를 통해 더 알아가볼 수 있을 것 같아요 ! 2주차도 홧팅입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중화문학도서관
📢(1주차) ⭐세번째 질문은 바로 문장 채우기 퀴즈입니다. 후후.... 과연 제가 어디서 발췌해 온 문장인지는 이번주 목표 부분을 다 읽은 문풍이들만 알 수 있겠죠...? 모임지기 문풍사서가 하이라이트 한 아래의 문장을 채워주세요!
"그는 브라이트 비저가 진정으로 ●●을 ○○해서 훔친다고 생각한다."
에서 ●●과 ○○에 들어갈 말은 무엇일까요? 그리고 몇쪽에 등장하는 말인지도 맞춰보세요! (정답은 다음주에 공개!)
그리고 각자 공유하고 싶은 책 속 하이라이트도 문장도 함께 공유해주세요😘
블루벨
*예술, 사랑
그는 브라이트 비저가 진정으로 예술을 사랑해서 훔친다고 생각한다. (70쪽)
지금 바로 이 부분을 읽고 있었어요! 헤헤

은은
전자책으로 읽는 중이라 23% 부분이네요 ㅋㅋㅋㅋ
슈미트에 따르면 병적 도벽이 있는 사람은 훔치는 물건이 아니라 오로지 절도 행위 자체에만 관심을 둔다. 또한 훔치고 난 후에는 대체로 수치심과 후회가 뒤따른다. 브라이트비저는 이와는 정반대다. 훔칠 대상을 면밀히 고르고 성공적으로 범죄를 마치면 기뻐 날뛴다. 그러므로 슈미트는 진단 목록에서 병적 도벽을 제외한다. 그는 브라이트비저가 진정으로 예술을 사랑해서 훔친다고 생각한다.
하늘땅
예술, 사랑 70페이지에 나오는 말이네요!! ㅎㅎㅎ 찾느라 좀 시간이 걸렸네요ㅋㅋㅋ
브라이트비저가 훔친 작품은 그에게는 그저 물건이 아니라 또 다른 도둑질의 이유가 된다. 그리고 어차피 예술계에 종사하는 모든 사람이 도둑이나 마찬가지라는 게 그의 생각이다. 원하는 것을 내가 갖지 않으면 누군가 다른 사람이 가져간다. (p. 104.)
뭔가 브라이트비저의 논리에 빠져드는 것 같기도 하고....ㅎㅎㅎ 예술 작품을 정상(?)적으로 소유하고 보관하는 것과 브라이트비저의 도둑질이 어떤 점에서 차이가 있을까 고민하게 되네요.

중화문학도서관
각 지정된 화제에 답글 다는 법 : 중화문학도서관 옆에 (말풍선 아이콘)을 누르시면 해당 화제에 댓글을 남길 수 있습니다.
블루벨
“ 도덕적인 범죄자란 존재하지 않겠지만 그래도 고의로 그림을 가르고 부수다니, 비도덕적이다. 물론 그도 액자가 있으면 그림을 훔치기 어렵다는 것을 잘 안다. 그렇기 때문에 벽에서 작품을 떼어낸 다음 뒤집어서 뒷면에 달린 클립이나 못을 조심스럽게 빼내 액자를 분리한 뒤 그림만 가지고 나온다. 이렇게까지 주의를 기울일 시간이 없을 때는 차라리 포기하고 훔치지 않는다. 그게 아니라면 그림에 상처라도 날까, 또는 휘거나 주름이 생기거나 더러워지지는 않을까, 막 태어난 갓난아기를 대하는 양 애지중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