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

D-29
STS 관점에서 과학이란 인간을 초월하는 진리가 아니라, 특정한 시대적 문화적 조건에서 이뤄지는 열려 있는 실천이다. 이 실천은 인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도구, 사물, 동물을 동원하는데, 이들은 서로 관계를 맺음으로써 새로운 형태와 능력을 얻고, 결국 세상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낸다. 실천으로서 과학을 이해하는 데에 자연과 사회의 이분법, 혹은 과학과 기술의 엄격한 분리는 방해가 된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98%,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학문 분야로서 STS경계는 모호한 편이다. STS 자원과 연구자 공동체는 과학사와 과학철학은 물론 기술사, 사회학, 인류학에 걸쳐 있으며, 최근에는 인공지능에 주목하는 식으로 관심사를 넓히고 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98%,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과학기술과 사회는 1960년대 미국에서 반핵 운동과 환경주의 같이 과학기술에 대한 정치적인 우려에서 등장하였다. 어떤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거나 증폭시키는지 살피며, 과학자의 책임감을 어떻게 기를 수 있는지 고민한다. 과학기술학은 1970년대에 에든버러대학의 과학학 유닛을 중심으로 형성되었으며 과학 지식의 내용 자체를 사회학적으로 분석하자는 철학적인 동기에서 시작하였다. 근래의 과학기술학은 인식론보다는 존재론, 즉 과학 현장에서 어떤 물질이 동원되고 또 만들어지며, 나아가 실재 자체가 어떻게 주조되는지에 관심이 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98%,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STS는 학문적인 태도뿐만 아니라 일종의 연구 의식을 공유하면서 연결된 집단을 가리킨다. 여기서 과학기술의 실행과 본성에 대한 과학기술학 연구는 사회와 연결되어 다시금 과학기술과 사회의 문제의식과 만나게 된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98%,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STS 연구자가 되기까지의 과정(?)이 많이 서술되어 그 속에서 유추해 보았어야 했는데, 마지막 엮은이 후기에서 중요한 개념을 정리를 해주었네요. 그래도 이 책을 통해 STS의 대략적인 개념과 연구의 역사적 흐름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음 책이 기대됩니다.
그쵸. 저도 앞에서 너무 전문적인 인사이더 스토리가 많아서 좀 헤맸는데 차라리 엮은이 후기와 홍성욱 교수님 인터뷰가 젤 앞에 있었으면 저처럼 STS에 대해 문외한인 사람들에게는 좀 더 이해가 쉬웠을 것 같네요.
@ssun @borumis 님과 같은 생각입니다. 엮은이들이 자기 이야기를 앞으로 내세우는 걸 부담스럽게 느꼈을 거 같기는 하지만요. 아니면 좀 욕심을 부려서, 각 글마다 앞에 배경 설명을 넣어줬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STS를 가늠하고 완독을 목표로 총총 따라가고 있습니다..@,.@!
와! 그믐에서 STS 읽기 모임이라뇨 너무 반갑습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은 한 번 읽었는데, 이 참에 한 번 더 읽어야겠네요. 저는 요즘 STS 분야 책 계속 읽어가고 있는 중인데, 타래 읽다보니 어렵다는 분들 조금 계신 것 같아서,,ㅎㅎ 조금 쉬운 입문서로는 <미래를 위한 준비>(손화철), <미래는 오지 않는다>(전치형,홍성욱), <과학과 가치:테크노사이언스에서 코스모테크닉스로>(과학과 가치 연구회 기획), <로봇의 자리>(전치형), <사람의 자리>(전치형). 요 정도가 좋았어요! 1분기에 이 책들 다 읽어서, 차차 해외 저자 도서로 넘어가려고 하고 있었는데 너무 반가운 모임이네요. 잘 따라가보겠습니다!
오! 입문서 소개 감사합니다. 안그래도 전 쿤이나 비트겐슈타인도 아직 안 읽었고 STS의 S자도 모르는데 STS의 역사부터 따라가다보니 어렵네요;;; 어쩌면 이 책은 홍성욱교수님이 이 책을 만든 취지답게 연구자들이 자신이 연구하는 분야의 역사를 알기 위해 역사를 공유하는 거라 좀더 STS를 알아간 후에 정리하는 식으로 읽었어도 좋았을 듯. @띠오라 님이 소개해주신 책들을 먼저 읽어봐야겠어요. (그나저나.. 정말 STS가 무엇의 약자인지? 결국 홍성욱 교수님도 두리뭉실하게 우린 BTS처럼 다들 알만한 STS가 되겠다고 농담으로 마무리하시다니;;; 저도 항상 명절때 친척들한테 제가 무슨 전공인지 알려주기 난해하던데;;ㅋ STS 전문가들이 아직도 합의를 못 본 듯 하네요;; 여하튼 과학기술사회학은 절대 아닌 걸로!)
명확한 합의도 없으니 STS는 앞으로 새우 탕수육 소스 혹은 수지 탕웨이 설현의 약자인 것으로... 험험... 아침부터 죄송합니다.
우와. 후자라면 정말 최상의 조합이네요. BTS 뺨치겠어요;;
어...갑자기 예전에 Bus, Train, Subway 하시던거 생각나 버렸어요.
아...저 이런 유머에 약한데.. 살짝 뿜었습니다...;;;
@siouxsie @borumis 어디 가서 말로 하면 욕 먹고 쫓겨날 유머들인데 귀엽게 봐주셔서 얼마나 감사한지 모릅니다. 아울러 '이런 유머도 허락되는구나' 하는 생각으로 제가 망가질까봐 두렵습니다. ㅠ.ㅠ
@장맥주 님은 우리의 BTS니까요! 아하하하!
독서계의 버스, 트레인, 서브웨이가 되겠습니다!!
이책 고전하며 읽는 중이었는데, 언급해주신 책들 먼저 살펴봐야하나 싶네요. 책추천 감사합니다!!
저도 띠오라님 책들 먼저 읽어봐야할 것 같아서 한글 책들을 찾아보니 거의 다 종이책들이라구요;;; 그것도 도서관에 없는..ㅜㅜ 그나마 책 속에서 언급된 책들(Thomas Kuhn의 Structure of Scientific Revolution, Steven Shapin의 Leviathan and the Air Pump, Harry Collins의 The Golem 등)과 이어서 읽을 Bruno Latour 책들 (Pandora's Hope, 젊은 과학의 전선)은 kindle이나 한글전자책으로 구할 수 있어서 읽어보실 수 있을 것 같아요
알려주셔서 감사해요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