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①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

D-29
저도 콜린스 인터뷰 읽고 나서 이 분 책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책은 2005년에 출간된 책이 표지가 왜 이렇지요...
골렘 - 과학의 뒷골목골렘은 유대 전설에 나오는 괴물로, 온순하고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언제라도 미쳐 날뛸 수 있는 존재이다. 저자들은 과학은 골렘 같은 것이라고 말하며, 흥미진진한 일련의 사례들을 통해 이런 구축 - 관측과 실험 - 이론의 확증이라는 전통적인 과학상의 허구를 낱낱이 파헤친다.
앗 전 영어판 (Golem: what you should know about science) 전자책인데.. 완전 다른 표지네요^^;;; 뭔가 뒷골목의 느낌을 살리고 싶었던걸지도? 같은 책은 아니지만 같은 작가들이 쓴 '닥터 골렘'은 아직 절판되지 않았네요.
영어판 표지 압승입니다.
정치적 전환이나 과학의 대중화에 대해서 저도 좀 망설여지는 부분인데.. 어느 정도 참여가 필요하긴 하지만 또 이게 연구 자체를 왜곡시키고 타락시킬 위험도 견제해야 할 것 같아요. 콜린스의 반대를 이해할 만도 한 게 실제로도 그런 정치적 정책적 영향이 연구계에도 만연하고 있는 게 실정이지만 또한 갈 수록 대중이 울리히 벡이 말한 위험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요즘 대중적 이해나 참여가 시급해지는 것 또한 당위적 과제입니다.
참, 과학혁명의 구조는 울리히 벡의 위험사회에 비해서는 번역이 좋은 편입니다. 이 책 영어판을 구할 수 없어서 결국 한국어로 읽었는데.. 욕나오는 번역이었습니다.;;
위험사회 (양장) - 새로운 근대(성)을 향하여
과학과 교육과정에 대해서 첨언하면 교육과정마다 과학교육의 목표에 늘 STS에 대한 것이 들어가 있습니다. 7차 교육과정은 주제 중심, 실생활 위주로 교과서를 구성하여 더욱 STS적인 교과서가 되었던 거구요. 올해부터 적용되는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선택과목으로 '과학의 역사와 문화'라는 과목이 신설되었어요. 지난 교육과정에서 과학사가 처음으로 생겼는데 이번엔 과학사에다 과학기술사회학의 내용이 같이 들어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아, 정보 감사합니다. 이게 그런 내용이 들어가는 교과서도 있고, 아닌 교과서도 있는데, 그 교과서를 채택하느냐 아니냐는 학교의 권한인 걸로 이해하면 되나요? 그러니까 제가 적은 말씀이 무슨 뜻이냐 하면... 대한민국 중고교생들이 모두 그런 내용을 공부하는지 아니면 어떤 학교 학생들만 배우는 건지 궁금합니다.
제가 답을 드려도 되는지 모르겠지만, 공교육 기관에서는 학교 급별로 지정된 국가공통교육과정에 따라 공통적인 교육을 받습니다. 교과서별로 세부적인 내용이 조금씩 달라질 수는 있지만, 기준은 교육과정을 따릅니다. 다만 학교급과 선택 과목에 따라 배우는 과목이 달라집니다.
@ssun @드라이아이스 아, 설명 감사합니다. 아이가 없다 보니 중고교에서 뭘 가르치는지, 요즘 학교 분위기가 어떤지 도통 모르네요. 남자인 또래 친구들을 만나도 대부분 자기 자식들이 학교 생활 어떻게 하는지, 뭘 배우는지 잘 모르더라고요. 드물게 여자사람친구나 여성 작가 분들을 만나서 요즘 학교 이야기를 듣습니다. 어쨌든 STS를 교육과정에 포함시킨 건 참 잘한 일 같습니다.
[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 ] https://naver.me/xLW7Pj3a
와! 안그래도 만날 바뀌는 교육정책에 혼미해지는 학부모였는데..(문제집 하나 고를때도 어질어질;;) 감사합니다.
와... 이런 사이트도 있군요. 감사합니다. (제가 배웠던 6차 과정에도 '과학 지식과 과학적 탐구 과정이며, 과학과 기술,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 과학의 가치와 도덕성'이 포함되어 있었네요. 왜 하나도 기억이 안 나죠. ^^;;;)
STS적인 내용은 교육과정에 따라 거의 모든 교과서에 들어가있습니다. (과학의 본성, 과학탐구방법, 화석연료와 기후변화, 원자력, 유전자변형의 문제점 등등) 그런데 국가교육과정에서 과학기술학 자체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교과서가 생긴건 이번에 생긴 '과학의 역사와 문화'가 처음인 것 같은데 고등학교에서 선택과목으로 개설됩니다. 실제로 어느 학교에서 얼마나 개설할지, 또 아이들이 얼마나 신청할지는 아직 모릅니다.
과학사가 전에는 전문교육과정에만 있었는데 최근에는 배우는군요. 감사합니다.
한편 제가 없는 사이에 청년과학기술자협의회는 소위 NL민족해방계열, PD민중민주계열로 나뉘었고, NL쪽은 청과기협을 나와서 한국과학기술청년회라는 독자적인 단체를 만들었는데, 이 과정에서 뜻을 모았던 동지들이 서로 갈등하고 반목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저는 외국에 혼자 떨어져 있으면서 한국에 있는 후배들과 긴 편지를 주고받곤 했지만, 결국 시간이 지나며 이마저 뜸해지고, 어느 시점에는 청과기협이 실질적으로 해산하면서 저 자신도 마르크스주의 과학기술론과 조금씩 멀어졌던 것 같습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이런 차이점은 있을 수 있겠지만, 중요한 점은 STS는 STS를 '주전공'으로 하는 사람만으로는 꾸려지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2022년 서울대학교에 대학원 과학학과가 설립되었지만, 과학철학, 과학사, STS, 과학정책 등 다양한 세부 전공이 섞여 있습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흥미로운 사실은 이런 인접 전공을 하는 사람들 중에 과학기술학회에서 연구를 발표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는 점이지요. 그 외에도 요즘 과학기술학회에 가 보면 문학이나 사진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 발표하는 모습도 보입니다. 저는 이 모든 게 아주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한국 사회의 과학기술-사회의 관계를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의 역사와 철학, 그리고 정책에 대한 이해가 기본으로 깔려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STS는 가능한 한 과학기술 블랙박스를 열고 과학과 기술의 상위 과정들을 관찰하고 그 영역에서 조용히 진행되고 있는 사회적, 정치적, 규범적, 윤리적 움직임을 찾아내려고 시도해 왔어요. 생명 윤리는 대체로 그렇게 하기를 원하지 않으며, 실로 그에 매우 적극적으로 저항해 왔습니다. 생명 윤리는 권력과 성찰을 억압하는 과정에서 더욱 도전적인 시각을 가져야 합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72%,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STS와 관련된 환경적 생태적 관심의 증가 또한 극적이었고 다양한 무대에 걸쳐 나타났죠. 캐리스 톰슨이 언급했듯이, "STS분야의 사람들을 하나로 가장 잘 묶는 한 가지는 자연과 사회의 깊은 상호 의존성에 관한 관심입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78%,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앞으로의 방향과 관련하여, 저는 상대적으로 초기 STS에서는 잘 볼 수 없었던 테크노사이언스, 젠더, 인종, (탈)식민지주의, 토착성 사이의 교차점들에 들뜬 마음으로 주목하곤 합니다.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 과학기술학(STS)을 만든 사람들 81%, 브뤼노 라투르 외 지음, 홍성욱 외 옮김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