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부터 29일 동안 @모임 여러분과 함께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 아틸라 요제프 북클럽을 이끌어 갈 모임지기 문재영입니다.
4월 7일 오늘은 여러 모로 인상적입니다. 먼저 국가 폭력을 자행한 내란 우두머리의 파면 이후 처음 맞는 월요일이고, 마침 가브리엘라 미스트랄(1889-1957)의 생일이 오늘입니다. “라틴 아메리카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인 미스트랄이 생전에 국가 폭력의 희생자였다는 사실을 떠올리면 오늘의 우연은 어쩐지 우연이 아닌 듯합니다.
📌 예고한 대로 오늘부터 4.13(일)까지 미스트랄의 『밤은 엄마처럼 노래한다』에 수록된 ‘노벨문학상 시상 연설(ix~xiv쪽)/옮긴이의 말(95~111쪽)’을 읽고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어 보겠습니다. 시 읽기부터 시작하지 않는 이유는 외국시가 한국시에 비해 생소하거나 어렵다는 평이 많기도 하고, 이번 북클럽에서 외국시가 처음인 분들이 꽤 계시기 때문입니다. 외국시는 왜 낯설까에 관해서도 함께 이야기하면 북클럽하는 재미가 두 배가 될 것 같습니다.
📖 시집 상세 소개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201369350
저는 미스트랄의 존재를 1996년에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당시에 박경리 작가가 ‘미스트랄 문학메달’을 받았다는 뉴스를 보고 종로서적에 가서 미스트랄의 책이 나온 게 있는지 찾았던 기억이 납니다. ‘옮긴이의 말’에는 미스트랄의 시집이 왜 이렇게 늦 게 빛을 보게 되었는지 그 이유가 상세히 나와 있습니다. 우리나라만 그런 것은 아니고, 출판 대국이라는 미국에서도 2011년에 어슐러 K. 르 귄이 번역해서 출간했다고 합니다.
2024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는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라는 두 질문이 글쓰기의 동력이라고 말했습니다. 미스트랄에게 이 질문을 한다면 어떤 대답이 돌아올까 상상을 해봅니다. 산문시 「예술」(34~38쪽)에 나오는 이 구절을 언급하지 않을까요?
“별이 빛나는 밤, 인간다워진 하늘은 세상의 고통을 이해한다.”
📷 아티초크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artichokehouse
ㅡ
가장 주고 싶은 책
가장 받고 싶은 책
아티초크 출판 & 스토어
Artichoke Publishing House
https://litt.ly/artichokehouse

밤은 엄마처럼 노래한다 - 가브리엘라 미스트랄 시집라틴아메리카 작가 최초로 1945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브리엘라 미스트랄의 시선집이다. 칠레 작가 미스트랄은 명실공히 라틴아메리카 시문학의 대모이자 교육자다. 파블로 네루다는 그녀의 지도를 받은 학생이었다. 국내 첫 미스트랄 단독 시집으로, 죽음, 사랑, 슬픔, 회복, 배신, 부활의 메시지가 강렬하게 펼쳐진다.
책장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