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토퍼 말로(Christopher Marlowe)의 "탬벌레인"(Tamburlaine)은 영국 르네상스 시대의 중요한 희곡입니다. 이 작품은 두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Tamburlaine the Great, Parts 1 and 2"라는 제목으로 1587-1588년경에 쓰여졌습니다.
이 작품의 주요 특징:
주인공: 실존 인물이었던 티무르(Timur) 또는 티무르 랭(Timur the Lame)을 모델로 한 탬벌레인이라는 인물입니다. 그는 스키타이의 목동에서 시작해 정복자이자 황제로 성장합니다.
주제: 권력에 대한 갈망, 야망, 정복, 그리고 인간의 한계를 넘어서려는 르네상스적 열망을 다룹니다.
언어: 웅장하고 강렬한 시적 언어(블랭크 버스)를 사용하여 주인공의 위대함과 과도한 야망을 표현합니다.
영향력: 셰익스피어를 포함한 이후 극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영국 르네상스 비극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혁신성: 영웅적 주인공이 아닌 잔인한 정복자를 중심으로 이야기를 전개하며, 전통적인 도덕관에 도전했습니다.
구조: 1부에서는 탬벌레인의 부상과 승리를, 2부에서는 그의 자만과 결국 닥치는 죽음을 다룹니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1. <세계를 향한 의지>
D-29

오구오구

오구오구
“ 대학 교육은 중요한 사회적 특질을 수반했으며, 이 작가들은 그것을 넘치는 자부심 속에 기꺼이 드러내고자 했다. 하지만 공정하게 말해서, 대학 교육은 단순한 상징성뿐 아니라 실제 지성과 배움을 갖추도록 해 주는 것이었기 때문에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받았다. ”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361,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 어쨌든 바로 이 셰익스피어는 바로 얼마 지나지 않아 직접 그의 극단 업무를 돌보게 되고, 거의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성실하고 꾸준한 집필 활동을 하면서(그의 작품들이 엄청난 성취를 이루였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많은 돈을 모으고 또 유지했고, 감옥에 투옥되거나 거친 법정 공방을 겪는 일도 한 번 없었으며, 농경지와 런 의 부동산에 안전한 투자를 하고, 자신이 태어난 고향 마을에 아주 좋은 저택을 사 두고, 그리고 40대 후반에 은퇴하여 그곳으로 돌아간 사람이었다. ”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363,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University wits 대학 재사파와 완전 다른 행보

오구오구
"대학 재사(University Wits)" 작가 집단
1) 토머스 키드: 성공했지만 필경사 일을 계속함, 대학 교육 없음
2) 크리스토퍼 말로: 위험한 삶과 극적 혁신으로 유명
3) 토머스 왓슨: 다재다능한 학자이자 작가, 말로의 친구, 실제 싸움에서 사람을 살해하고 정당방위로 풀려남
4) 토머스 로지: 옥스퍼드 출신, 런던 시장의 아들로 안정된 배경
5) 조지 필: 방종한 생활과 문학적 재능을 겸비, 다양한 장르의 작품 집필
6) 토머스 내시: 날카로운 비평가, 대학 교육 없는 극작가들을 비판
7) 로버트 그린: 문학적 기량은 부족했으나 강한 개성과 영향력을 가짐
*** 로버트 그린
- 신사와 학자에서 런던 불량배로 변신하는 데 성공
- 방종하고 부도덕한 생활로 악명 높음
- 부적절한 머리 모양과 의복, 나쁜 동료 관계
- 교활하고 도박에 능함, 윤리적 기준 부재
- 폭식, 거처 바꾸기, 식대 미지불, 부인 유기, 창녀와의 사생아 등 문제적 행동
--> 결국 비참하게 요절함
1593년 위의 사람들이 거의 모두 요절하여 윌공에게 경쟁자가 없어짐...

stella15
로버트 그린은 일찍 죽어도 싸네요. ㅋ
경쟁자가 없어졌다는 건 뭘 의미하는 걸까요?

오구오구
어머 실시간이네요 ㅎ 방탕하게 살다가 대부분 30대에 요절했데요

stella15
저 두 사람 박터지게 싸웠겠어요. 윌도 만만치 않았을텐데. ㅎㅎ

오구오구
생각보다 그렇지 않은거 같아요. 윌은 위 사람들보다 배경도 좋지 않았고 시골에서 올라와서... 어울리긴 했지만 신중하게 처신한것으로 나오네요 ㅎㅎ

stella15
그렇군요. 한참 앞서 가시나봐요. 저는 아직 4장 읽고 있는 중.
근데 혹시 윌이 활동했던 극단과 당시 활동했던 배우들이나 연출가들은 윌을 어떻게 평가하고 어울렸을까요? 갑자기 읽다 그게 궁금해졌어요. 뒤에 나오려나요?

오구오구
뒤에 조금씩 나옵니다~
비오는 주말... 할일은 독서밖에 없네요. 좀 있다가 마실나가려구요~ 즐독!

stella15
네. 오구님도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오구오구
로버트 그린과 윌공의 갈등:
그린은 윌공을 "인색한 개미, 성질머리 더러운벌레, 벼락출세한 까마귀, 거만한 마차꾼, 원숭이" 등으로 묘사함

오구오구
“ 이러한 패러디들은 셰익스피어도 어쨌든 사람이었다는 것을 보여 준다. 그는 작품 내에서 문학적인 모욕을 되갚아 주거나 심지어 일부는 세상을 떠났다 해도 경쟁자들을 조롱하는 데서 약간의 즐거움을 얻었다. ”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375,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폴스타프에 대한 Perplexity의 설명
영화 **<더 킹: 헨리 5세>**에서 폴스타프(John Falstaff) 캐릭터는 셰익스피어의 원작과는 상당히 다르게 재구성되었습니다. 셰익스피어의 희곡에서 폴스타프는 게으르고 익살스러우며 비겁한 광대로 묘사되며, 헨리 5세가 왕위에 오른 후 냉정하게 내치는 인물입니다. 그는 왕의 친구라기보다는 문제를 일으키는 존재로, 헨리의 성장 과정에서 과거와 단절해야 할 상징적 인물로 그려집니다.
반면, 영화에서는 폴스타프가 왕의 충직한 친구이자 전략가로 등장합니다. 그는 전술에 밝고, 아쟁쿠르 전투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며 헨리에게 깊은 충성을 바치는 인물로 묘사됩니다. 이러한 변화는 영화가 헨리 5세의 고독과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키려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입니다.
조엘 에저턴이 연기한 폴스타프는 셰익스피어의 원작과는 달리 술을 즐기는 정도로만 묘사될 뿐, 비겁함이나 광대스러운 면모는 거의 드러나지 않습니다. 이 때문에 일부 관객들은 영화 속 폴스타프가 원작 캐릭터의 정체성을 상실했다고 평가하기도 합니다.
결론적으로, 영화는 셰익스피어의 원작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캐릭터를 재해석하여 헨리 5세와 폴스타프 간의 관계를 더 긍정적으로 그려내고 있습니다. 이는 헨리의 성장과 리더십을 강조하는 영화적 선택으로 볼 수 있습니다.

오구오구
이 영화에서 폴스타프가 나오는거 같은데, 뭔가 분위기가 다른거 같아서 찾아보니... 각색된 것인가봐요.
윌공의 원작에서는 그린을 염두에 두고 만든 캐릭터라고 합니다 ㅎ

stella15
그러니까 윌공은 자신의 삶과 주위에 살아있는 인물을 반영했네요.

오구오구
“ 셰익스피어의 작품 중에서 그리고 아마도 모든 영문학에서도 비교 할 수 없는 경지로, 폴스타프는 셰익스피어의 실제적 삶과 예술에서의 원천뿐 아니라 그가 등장하는 연극에서까지 자유롭게 헤집고 돌아다닐 수 있다는 듯, 생의 활력에 대한 신비로운 내적 원리를 보유한 것처럼 보인다. ”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385-386,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구오구
셰익스피어가 그린에게 표한 경의는 금전적인 것이라기보다 미학적인 차원의 것이었다. 그를 폴스타프로 변신시키면서, 셰익 스피어는 그린에게 헤아릴 수 없이 귀중한 선물을 남겼다.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390,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오뉴
“ 그들은 예배서의 말들도 영어로 번역했으며 성공회 기도서도 발간하여, 개신교를 믿는 자 모두가 모국어인 영어로 된 예배와 기도를 이해할 수 있게 했다.
이것 은 영어의 언어 발전사에 있어서 아주 결정적인 순간이었다. 깊이 있는 추상들, 인간 영혼의 운명을 좌우하는 생각들이 이제 평범하고 친근한 일상의 언어로 표현될 수 있게 된 것이다 ”
『세계를 향한 의지 - 셰익스피어는 어떻게 셰익스피어가 됐는가』 스티븐 그린블랫 지음, 박소현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