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소전문화재단 독서 장려 캠페인 <읽는사람>입니다.
2025년 4월 이달의 소설로 4권의 소설이 선정되었습니다.
우리는 『어둠 뚫기』 함께 읽어요!
목표는 4월이 가기 전에 1권을 다 읽는 것입니다.
① 한 달이라는 기간 안에 나름의 독서 계획을 세우고,
② 독서를 하며 알게 된 사실, 감상 등을 공유하고,
③ 완독의 기쁨을 나누는
느슨한 독서 모임이 될 예정입니다.
*이달의 소설 프로젝트에 참여하시는 분이 아니더라도 함께 하실 수 있습니다.
📢모임 방식 안내
① 모임에서 오른쪽 아래 검정색 아이콘에 있는 [책모양] 버튼 클릭>게시판 모드로 설정해주세요.
② '화제로 지정된 대화'를 확인해주세요.
③ '화제로 지정된 대화'에 관련된 내용을 타래로 달아주세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 닉네임 옆 말풍선 클릭 > 이 대화에 답하기 답변 창이 뜹니다.
*[이 대화에 답하기] 기능을 활용해서 읽기 진도를 체크해보세요!
[이달의 소설] 4월 『어둠 뚫기』 함께 읽어요
D-29
함께읽는사람모임지기의 말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안녕하세요. 이달의 소설 담당자 홈스입니다🕵🏻♀️
『어둠 뚫기』의 차례를 보니 크게 6번으로 나눠 읽을 수 있을 것 같더라고요. 저는 분량과 상관없이 이 구획을 따라 읽겠습니다.
다른 분들도 제 계획을 따라오셔도 좋고 각자 자신의 계획을 세우셔도 좋습니다.
책을 읽어가는 틈틈이 인증 남겨주시면, 서로의 존재를 확인하며 힘을 내어 완독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읽기 전에
지니00
그 말을 듣고 나는 유도 선수처럼 체격이 건장한, 초등학교 선생님으로 근무하는 남편을 집에 데려오는 장면을 상상했다.
『어둠 뚫기』 p.29,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1 껍질 깎기 (11~47쪽)
지니00
애초에 누군가를 이해한다는 것이 가는한 일이긴 할가. 나는 나조차 제대로 이해해본 적이 없는데.
『어둠 뚫기』 p.13,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그제야 이것이 망고라는 실감이 났고, 뭔가를 실감하는 일이 나를 살아 있게 만드는 것 같았다.
『어둠 뚫기』 p.15,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추측건대 엄마는 내가 자신과 다른 사람이 되어가는 듯한, 그러니까 자신이 알지 못하는 세계로 나아가려는 듯한 조짐을 느끼고 무의식중에 거부감을 드러냈던 게 아닌가 싶다.
『어둠 뚫기』 p.41,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나’는 엄마를 사랑하지만 이해할 수는 없어요. ‘나’는 엄마가 좋아서 같이 사는 것이 아니라 굳이 빚을 내면서까지 다로 살아야하나 싶어서예요. 주인공이 어린시절부터 지금까지 나쁜 일을 많이 겪어서 안타까웠어요.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2 망명 (51~94쪽)
지니00
“ 그럼에도 우리가 엄마를 용서할 수는 없는 것 같다. 이제는 우리 안의 상처들이 오롯이 엄마의 잘못으로 생긴 게 아님을 알 만큼 충분히 나이를 먹었지만, 그래서 엄마를 안쓰럽게 여기는 순간들도 더러 있지만, 그럼에도 엄마를 용서할 수는 없는 것. 어떤 원망은 많은 시간이 흐른 뒤 그것을 분석하거나 누군가에게 털어놓을 수는 있어도 결코 해소할 수는 없는 것 같다. ”
『어둠 뚫기』 p.74,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 하지만 누군가의 불행이 온전히 다른 누구의 탓일 수 있을까. 누가 누구를 그토록 전면적으로 망쳐놓을 수 있을까. 아니, 우리가 진심으로 서로를 망치려고 든 적이 있었을까. 정말로 그런 순간이 살면서 단 한 번이라도 있었을까.
그럴리가.
무엇보다 자신의 불행이 누구의 탓도 아님을, 그저 제 소관임을 모르는 사람도 있을까.
그럴리가.
대체 우리는 왜 이 모양일까. ”
『어둠 뚫기』 p.86,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나’는 연애도 순탄치 않아요. ‘나’와 엄마는 흔한 모자 관계라고 생각했지만 과거는 생각보다 더 어두웠어요. 학대 수준이고 엄마를 용서할 수는 없지만 엄마랑 같이 살고 사랑한다는 게 신기하네요. 아무리 환경때문이라지만 엄마의 자격이 있는지 생각됩니다.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3 위안에 관하여 (97~127쪽)
지니00
“ 그렇다면 우리는 어떤 글을 좋다고 느끼는 걸까요. 이건 제 생각인데, 오늘날 독자가 책에셔 원하는 건 내밀한 공명같아요. 언젠가 자신고 겪었으나 그게 무엇인지 모른 채 막연히 흘려보냈던 시절을, 애써 덮어두고 잊어버리려 했던 상처를, 사랑하는 이에게도 차머 발설할 수 없었던 욕망을 작가가 정확한 문장으로 표현해냈을 때 그걸 좋다고 느끼는 거죠. 경험적으로는 이미 아는 건데 언어로는 미처 몰랐던 것을 선명한 인지의 단계로 끌어올려주는 글. 그래서 텍스트를 경유해 타자 혹은 세계와 연결되는 듯한 감각을, 자신이 혼자가 아니었음을 깨닫는 순간을 좋아하는 거죠. ”
『어둠 뚫기』 p.109,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4 남자들 (131~161쪽)
지니00
“ 자신이 남들과 다르다는 걸 깨달은 순간이라니? 사람은 누구나 저마다의 특성으로 타인과 구별되지 않는가. 모두가 예외 없이 서로에게 별종이 아닌가. 그런데 누군가는 그것을 깨달은 순간부터 자살을 생각하게 된다. ”
『어둠 뚫기』 p.137,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니00
어쩌면 그의 공손함은 타고난 성품이라기보다 사회적 비난과 폄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체득한 호신술 같은 게 아닐까,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어둠 뚫기』 p.155,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5 마, 마마 (165~213쪽)
지니00
“ 나는 이제부터 변할 거라고, 두 사람은 시간이 지날수록 멀어지게 될 거라고, 메울 수 없는 간극을 둔 채 살아가게 될 거라고, 선배가 울 뻔했던 이유는 그걸 다 알고 있어서라고, 왜냐하면 우리는 누군가의 자식이었고, 지금도 자식이긴 하지만, 우리가 어렸을 때 부모를 사랑했던 것과 지금 부모를 사랑하는 것에는 차이가 있으니까, 그건 아주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르니까, 그런 걸 알고 싶지 않아도 알게 되는 게 시간이 지닌 또다른 힘이라 이야기하고 싶었으나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 실제로 그런 이야기를 입 밖에 꺼내놓을 수 있는 순간이란 존재하지 않으니까. 그런 건 소설 속에서나 이렇게 쓰일 뿐이니가. ”
『어둠 뚫기』 p.180, 박선우 지음
문장모음 보기
화제로 지정된 대화
함께읽는사람
0 (217~221쪽)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