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생각하고
매일 독서
D-29

혜초모임지기의 말

혜초
“ 진정 모든 변화는 생각으로부터 일어나는 것이다. 생각의 눈은 삶에서 어디에 햇살이 깃들고 어디에 반가운 여름비가 오는지 찾아주어야 한다. 삶의 구석구석을 응시하면서 말이다. 삶에 햇살을 찾아주는 것도, 가뭄 속에 간직된 비 향기를 기억해내는 것도 생각의 노력에서 시작한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9~10.,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해답은 널려 있지만, 제대로 된 문제를 가진 사람의 눈에만 보인다. 아무런 문제의식 없는 빈털터리가 그것을 집어 들면 그저 돌멩이, 아니면 영문 모를 '42'라는 숫자로만 나타난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23.,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반복은 새로운 것이 출현하기 위한 조건일 뿐 아니라, 과거의 것을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조건이기도 하다. 우리는 현재 속에서 과거의 것을 반추하며, 이를 통해 비로소 제대로 과거의 의미를 이해한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39.,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불의 앞에서 자기기만적 정신은 나는 이 공동체 안에서 별달리 힘이 없어서 어쩔 수 없었다고 변명한다. 더 나쁘게는, 직책상 그것은 내 일이 아니라서 모르겠다고 답하며, 다른 사람들이 처리할 문제라고 외면한다. 능동적으로 판단하고 자발적으로 결단을 내리는 나 자신의 상위 심급에 나의 보잘것없는 직책을 놓아두고서, 그 직책에 어쩔 수 없이 복종할 뿐이라고 변명하며 정의의 요구를 외면하는 것이다. 이때 나는 '직책상 어쩔 수 없는 자'가 아니라, '직책의 핑계를 대며 어쩔 수 없는 자가 되기로 능동적으로 선택한 자'이다. 그러나 마치 자신의 선택이 아니었던 것처럼 믿으려 한다는 점에서 나의 영혼은 자기기만적이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48.,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이렇게 내면이 안식의 장소가 아니라 못 견디게 만드는 재앙의 장소라면, 인간은 자기 바깥으로 도망칠 수밖에 없다. 바로 '여행'을 하는 것이다.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55,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권태 속에서 우리는 보다 아름다운 곳에 대한 동격 속에서, 존재의 이런저런 모습들 가운데 하나로부터가 아니라, 존재 자체로부터 도피하고자 한다. 여행을 위한 안내서도 없고 기한도 정해지지 않은 도피, 그것은 어느 곳엔가 정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레비나스, <존재에서 존재자로>-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인간에 대한 폭력은 언제 탄생하는가? 바로 전체라는 저 허구 속에 개별적인 한 사람을 억지로 집어넣으려 할 때 도래한다. 전체의 이익을 위해 조금만 참아라. 우리 모두를 위해 좋은 것인데, 너는 너만 생각하느냐. 너는 우리 전부가 추구하는 가치를 조금도 이해하지 못했구나...이런 류의 이야기들을 수없이 들어왔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80.,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인간은 서로에게 영원히 들어맞지 않는 퍼즐 조각들이며, 전체 그림 같은 것은 결코 맞추어지지 않는다. 인간에게 남아 있는 길은 무엇인가? 오로지 상대방의 고유성, 서로 다름, 하나의 전체로 합일하려 하지 않는 상대방의 필연적인 고집을 존중하는 길밖에 없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81.,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즉 판단력은 단지 지식에 도달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하나의 사례(민간인 살해)가 어떤 일반적인 개념(전쟁 범죄)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일은 지식을 획득하는 일이다. 동시에 판단력은 '이런 살해는 있어선 안 된다는 요구'를 전 인류에 대해 하고 있다. 이런 요구는 세상이 지향해야 하는 도덕적 이념에 입각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사례가 귀속되는 일반적 규칙이 무엇인지를 아는 것은 지식이지만, 전쟁 범죄라는 일반적 법 조항을 통해 규정된 민간이 살해가 과연 일어나도 좋은지 도덕적 이념에 비추어 판단하는 일은 지식이 아니다.
판단력의 위대함은 지식을 얻는 데 있지 않고, 바로 도덕적 이념에 비추어 이런 사태가 일어나도 괜찮은지 심판하고 비난하는 데 있다. 도덕적 가치에 입각한 이런 판단(심판)은 인간의 운명을 다루는 의학과 법학의 핵심을 이룬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126.,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혜초
“ 사람들은 자신의 자유가 침해받는 것을 못 참으며, 특히 자신이 진실하다고 생각하는 바를 이야기할 자유(즉 철학함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가 침해받는 것을 가장 못 참는다. 이런 자연적인 자유를 국가가 침해하려 할 때 국가는 자유의 침해를 견디지 못하는 사람들에 의해 전복될 것이다. 그러므로 국가의 안녕은 사람들을 자유롭게 둘 때 얻어질 수 있다. ”
『철학은 날씨를 바꾼다』 p.147~148., 서동욱 지음
문장모음 보기
중간에 참여할 수 없는 모임입니다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