ㅋㅋㅋㅋ 그래도 솔직하네요..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③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
D-29

borumis

장맥주
전 더 얄밉습니다. 아니, '얄밉습니다'에서 '얄' 자는 빼도 될 거 같기도... ^^

siouxsie
사건이었던 것은 계속되는 사건으로 남아 있어야만 한다. 우리는 단지 네트워크를 역사화하고 국소화하는 것을 계속하고, 누가 그리고 무엇이 그것의 후예를 만들어내는지 찾아나가야 한다.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268p,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 어떻게 우리가 근대인이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었음을 깨달았는지를 알 수 있는가? 그들은 사실을 허구로부터 구분하고 매개의 실행으로부터 이러한 분리의 이론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부서진 조각을 끊임없이 강박적으로 고치고 수리하고 극복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주체와 객체가 조화되어야 하고, 땜질되어야 하고, 극복되어야 하고, ‘파기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용한다. 근대주의는 수리와 땜질을 되풀이하는 것을 결코 멈춘 적이 없으며, 동시 에 그것이 수리 가능하지 않은 것임에 대해 절망한다. 이러한 모든 수리 작업에도 근대인은 애초에 근대성을 만들어낸 것, 즉 이 모든 것을 시작되게 한 파괴의 몸짓을 결코 포기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모든 다른 문화를 산산조각 내고 난 후에, 절망에 찬 나머지 그들은 그들을 질투하기 시작하고, 엑조티시즘의 이름 아래 온전하고 완전하고 유기적이며 건전하고 훼손되지 않고 더럽혀지지 않은, 그리고 근대화되지 않은 야만인에 대한 전시학적인 예찬을 고안해내는 것이다. 근대인이 되기 위해 그들은 전근대라는 한층 더 이상한 발명을 덧붙인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440p,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

siouxsie
끝~~이 책을 읽고 다른 책을 읽었더니 한국어의 아름다움이 유난히 돋보이며, 내용이 쏙쏙 더 잘 들어오네요. 브뤼노 님께 감솨~

장맥주
그런 효과는 저도 확실히 받았습니다. 한국어의 아름다움 전도사 브뤼노님!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