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떻게 우리가 근대인이 근대인이었던 적이 없었음을 깨달았는지를 알 수 있는가? 그들은 사실을 허구로부터 구분하고 매개의 실행으로부터 이러한 분리의 이론을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부서진 조각을 끊임없이 강박적으로 고치고 수리하고 극복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주체와 객체가 조화되어야 하고, 땜질되어야 하고, 극복되어야 하고, '파기되어야aufhebunged' 한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이용한다. 근대주의는 수리와 땜질을 되풀이하는 것을 결코 멈춘 적이 없으며, 동시에 그것이 수리 가능하지 않은 것임에 대해 절망한다. ”
『판도라의 희망 - 과학기술학의 참모습에 관한 에세이』 브뤼노 라투르 지음, 장하원.홍성욱 옮김
문장모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