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문고 서점원과 함께하는 비문학 독서모임입니다. 매달 네 번째 수요일 저녁 7시 반에 책을 읽고 만나 이야기 나눕니다. 간단한 소감, 인상 깊었던 부분을 공유해주세요. 함께 이야기하고 싶은 주제를 공유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진주문고 매장에서 독서모임 참가자 도서 구매 시 10%할인, 5% 적립 혜택을 드려요. 카운터에 문의해주세요.
다음 모임에 함께 읽을 책은 참가자 추천과 투표를 통해 진행됩니다. 참여 시 함께 읽고 싶은 책을 골라와 주세요.
진주문고 블로그 포스팅 보기
https://blog.naver.com/jinjumoongo/223810804100
*4/24(목) 저녁 7시 정여울 작가님과 함께하는 오프라인 북토크가 진행됩니다.
신청하기 -> https://jinjumoongo.com/pbbs/shop/item.php?it_id=1742894680
[진주문고 서점친구들] 비문학 독서모임 <데미안 프로젝트> 함께 읽기
D-29
진주문고모임지기의 말
이너프
온라인 참여도 가능한가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진주문고
이너프님의 대화: 온라인 참여도 가능한가요?
오프라인 모임을 위한 페이지입니다. 책 이야기 나누시는 거면 자유롭게 참여 가능합니다.
정여울 작가님 북토크는 오프라인으로만 참여가 가능합니다.

지구반걸음
우리 모두는 미친 사람입니다.
담대하게 한걸음,
당당하게 한걸음,
용감하게 한걸음,
매일 그렇게 더 높은 나를 향한 간절한 개성화의 길을 한없이 걷는 나를, 당신을 그리고 지구로 연결된 모든 것에 응원을 보내며...
상처입은 치유자가 되진 못해도
사랑자체를 사랑하고자 하는 나를 온전히 보듬을 수 있도록 오늘도 나의 데미안을 찾고 있네요
찾는데 실패하는 날은 어김없이 실망과 후회가득하지만
내일이 오면 크로머는 되지않도록 또 일어나지요
반복되는 어느날문득 아프락사스로부터 오는 빛에 날아오르리라 믿으며
오늘은 그림자아이와 함께 웅크린다해도
마냥 주저앉아만 있지는 않을 것을 믿으며
무탈한 어제를 지나, 오늘 느닷없이 터널에 처박힌다해도
분명히 벗어날 어느날이 존재함을 믿으며

지구반걸음
저항은 나아질 수 있다는 희망이 있을때도 자꾸 그 치유를 미루는 마음
『데미안 프로젝트 - 눈부신 ‘나’를 발견하는 특별한 순간』 정여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구반걸음
투사의 고통을 위한 예방주사는 사랑자체를 사랑하는 마음
『데미안 프로젝트 - 눈부신 ‘나’를 발견하는 특별한 순간』 정여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지구반걸음
좌충우돌의 과정에서 지치지 않는 자신만의 독특한 방법이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좋을듯합니다.
꾸준히 나아가는 꺾이지 않는 마음갖기는 참으로 힘든것같아요
그리고 타인에 흔들리지않게 나를 봉인할 수 있는 용기를
변하지않게 간직할 방법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의 이야기를 듣고픕니당
아날로그
반갑습니다.
아날로그
햇빛아이의 잠재력을 다시 발견해서 더 나은 어른이 되기까지의 과정, 진정한 개성화를 향한 길이 《데미안》의 작품세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미안 프로젝트 - 눈부신 ‘나’를 발견하는 특별한 순간』 p.57, 정여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날로그
사회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다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사회화로 포섭되지 않는 나, 진정한 나 자신’을 찾고 싶은 열망을 느끼게 되는데, 이것이 개성화의 욕망입니다.
『데미안 프로젝트 - 눈부신 ‘나’를 발견하는 특별한 순간』 p.74, 정여울 지음
문장모음 보기
아날로그
일단 책 이야기를 해야겠지만 이게 결국 저는 이렇게 이 책이 정말 재미있었던 게 문학을 자기개발서로 읽으면 이렇게 읽겠구나 싶은, 실용서로 읽히는 지점이 있더라고요. 그러니까 모든 문학이든지 우리가 뭔가 어떻게 뭔가를 찾아내면, 코드를 찾아내면 이게 진짜 자기개발서나 실용서가 되는 거구나 싶어서. 정여울 작가님이 그 작업을 하고 있구나. 그러니까 문학 안에 들어 있는 코드 상징들을 읽으면서 어떻게 좀 그런 게 그렇게 만들어가는 게 너무 흥미로워서 너무 찰떡으로 해놨잖아요. 그런 것들 얘기를 먼저 좀 해봤으면 좋겠고요. 이 안에 들어 있는 것들 어떻게 어떻게 자기 에고 이드 슈퍼 에고 이런 거 나오는 그런 개념들도 한번 얘기해 봤으면 좋겠고 그래서 책 이야기 한번 정리해 봤으면 좋겠고요.그다음 이게 결국 성장에 대한 이야기라서 성장한다는 게 뭘까 문학으로도 그렇고 자기 삶도 그렇고 성장한다는 게 뭘까 뭐 이런 것들을 좀 얘기를 해보면 좋을 것 같고요. 나는 지금 어떤 단계일까 이 책에서 예를 드는 거라면 약간 내 주위에 그런 예를 들 수 있는 얘기들이 뭐가 있을까 그런 얘기도 좀 해봤으면 좋겠고 또 하다가 또 생각나면 한 가지 정도 더 잡아서 얘기해 봤으면 좋겠습니다.
아날로그
데미안 프로젝트 이 책을 읽으면서 느낀 거는 알을 깨는 것들이 성장인가 성장은 좋은 건가 이런 질문을 계속 던지게 되더라고요.그러니까 저는 이 소설이 크게 보면은 타자의 등장에 대한 소설이거든요.제가 개인적으로 정말 저 내면만 있던 인간이기 때문에 저 굉장히 저 완결적으로 사는 사람이거든요.타자가 별로 없을 때는 저 혼자서 이게 다 만족하고 저 혼자서 이해하고 전 세계를 파악하고 여기 나오는 그 교회 교회에 오르간 치는 그 친구 있잖아요.네 약간 그런 그런 캐릭터였어 가지고 정확하게 제가 그런 캐릭터였어서 네 근데 새로운 사람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면서 그런 게 깨지잖아요.깨지면서 상처도 받고 훼손되고 그러면서 근데 세계는 확실히 넓어지거든요.네 세계는 넓어지잖아요. 상처받으면서 세계가 넓어지잖아요.
이거 진짜 에덴 동산 이야기잖아요. 에덴 동산에서 화가 뱀이 선악과를 푸는데 그게 언어 지식이라고 이렇게 많이 해석하죠.지식 그래서 따먹고 분별지가 생기자마자 지식이 생기자마자 이렇게 서로 서로 아담과 하와가 서로 성기를 가리고 이렇게 살잖아요.그런 그런 아주 근원적인 이야기 구조를 그대로 따르고 있는 것 같아서 그게 그게 그냥 그렇게 그렇게 쑥 읽히는 것 같아요.쑥 읽히는 것 같아요. 그렇게 치면 왜냐하면 우리가 지금 여기서는 성경 이야기도 하고 데미안 얘기도 하고 그러지만 사실 여기 제가 방금 얘기한 것처럼 각자의 이야기를 대입해 볼 수 있잖아요.각자 내가 어리고 어리숙했던 시절 내가 성장하면서 겪었던 외부 환경들 그 환경들을 통해서 내가 어디로 왔는가 이런 것들이 고스란히 딱 붙어 있는 책이고 그걸 그대로 읽어주는데 좀 이렇게 분석해서 읽어주시니까 그게 참 와닿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