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게 성장한다 나아간다 커진다라고 말하지만 이게 사실 성장하거나 나아지는 게 아니라 그냥 있는그대로 보는 거거든요. 그래 이런 지점도 있었어 약간 이런 느낌으로. 생각이 되는 거예요. 그래서 내가 요만큼 보던 것들을 요만큼 봤는데 그래서 내가 성장한 게 아니라, 그냥 세계는 이렇게 있고 나는 원래 요만큼 보다가 요만큼 본 사람인 거죠.그 안에는 여러 가지가 있고.
[진주문고 서점친구들] 비문학 독서모임 <데미안 프로젝트> 함께 읽기
D-29
아날로그
아날로그
저희가 이 책도 그렇고 그렇지만 타인을 읽거나 책을 읽는 게 결국 자기 안의 생각들을 정교하게 구체화하는 일이잖아요. 그러니까 그 말이 정말 맞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읽을 수 있을 만큼 내 내면이 생기는 것 같아요. 읽을 수 있을 만큼 더 많은 것들을 읽게 되면 더 많은 것들을 위할 수 있게 되고. 약간 그런 느낌처럼.
아날로그
저는 여기 나오는 투사 개념도 재밌었는데요. 투사라는 것들도 결국 데미안도 내 안에 있지만 크로머도 내 안에 있는 거잖아요. 그렇게 이해하면은 좀 더 가리게 되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내가 미워하는 거 무서워하는 거 싫어하는 것들 다 내 안에 있는 것이라는 개념이 되잖아요. 예를 들면 해리포터에 무슨 마법 부리면은 자기가 제일 공포스러워하는 거 등장하는 그 마법 있죠. 해리 포터 다들 보셨으니까 아실 거예요. 그러니까 그 주문을 외우면은 그 사람이 가장 무서워하는 게 등장이에요. 근데 마법을 깨는 방법이 가장 무서워하는 것들에게 유머를 달아주는 거거든요. 우스꽝 쓰게 만들어버리는 거. 그 이게 약간 그 투사 개념 투사를 바라보고 그걸 지나가는 방법이랑 또 맞닿아 있는 것 같아서 생각이 나네요.
아날로그
어떤 사람의 이야기가 정말 정말 커지면 그 이야기가 그 사람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모두의 이야기가 되는 거구나 좀 더 큰 이야기가 되는 이야기가 되는 거구나. 이번에 프란치스코 교황의 이야기도 그렇고 김장 어르신의 이야기도 그렇고 큰 이야기를 가진 사람들이 좀 더 여기서 말하는 셀프 같은 것들을 더 크게 가지고 있는 큰 셀프를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구나 그러니까 우리가 좀 더 큰 이야기의 일부가 되고 좀 더 큰 이야기를 만들 수 있다면 그게 성장이 아닐까 이런 생각들을 했어요. 정혜윤 작가님 책 <삶의 발명>에 나오 는 그 테마잖아요. '당신은 어떤 이야기의 일부가 되고 싶습니까?'라는 게 그 책의 테마거든요. 그러니까 결국 개인의 이야기가 아니라 좀 더 큰 이야기 좀 더 들려주고 싶은 이야기 더 큰 이야기가 되는 게 성장이 아닐까 데미안도 그렇고요.
아날로그

삶의 발명 - 당신은 어떤 이야기의 일부가 되겠습니까『슬픈 세상의 기쁜 말』이 ‘당신을 살아 있게 하는 말은 무엇입니까’라는 부제가 말해주듯이 저마다 붙들고 살아가고 있는 혹은 붙들고 살아가야 할 ‘단어’와 ‘말’에 관한 책이라면 『삶의 발명』은 자신의 삶을 좀 더 앞으로 나아가게 해주는 ‘이야기’에 관한 책이다.
책장 바로가기
아날로그
지향이 없다고 생각해야 되나 그러니까 말은 그냥 말이잖아요. 말은 그냥 말이고 새는 알을 깨고 나온다고 그냥 말이잖아요. 근데 새가 알을 깨는 모델들 실제 사례들 이런 것들이 그 말의 실감 같은 걸 주는 것 같거든요. 저희가 문학 작품을 읽을 때도 문장을 읽는 게 아니라 우리가 어렸을 때 데미앗을 읽었을 때 이게 안 와닿았던 거는 거기에 실감이 전혀 없었기 때문이에요. 진짜로 그러니까 저는 새가 알을 경우 나온다라는 개념에 대한 실감이 없었거든요. 실제 사례들이. 근데 나이를 먹으면서 좀 좀 더 그때보다는 풍성한 어떤 실감을 부여할 수 있잖아요. 그 문장에. 그런 부분도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아날로그
그러니까 고유한 거 남들이 다 원하는 거 말고 다른 거 특별한 거 내가 믿고 있는 거 이런 것들이 있어야 되지 않나 내가 가지고 있는 이야기 내가 많이 가지고 있는 중요함 이런 것들이. 그러니까 물어주고 뭔가 귀기울주는 사람이 있으면 그게 좀 더 괜찮은 것 같아요.
아날로그
제가 좋아하는 허경 선생님이 저한테 데미안 같은 분이시거든요. 허경 선생님이 계신데 그 선생님이 항상 하는 말이'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 인간은 본질적으로 그렇게 챙겨 먹을 수밖에 없다.' 메시지는 그러니까, 예를 들어서 이런 게 있어요. 사랑하는 사람이 있어요. 사랑하는 사람이 사랑을 증명할 때 그 사랑을 어떻게 증명하냐. 꽃을 백송이 갖고 오겠다 황금을 이만큼 가져오겠다 막 이렇게 하잖아요. 근데 그 사람은 사랑을 증명할 수 없어요. 받는 사람, 네, 사랑은. 어떤 사람은 그게 스토킹이고 그럴 테니까, 그 근데 메시지가 이거랑 똑같다는 거예요. 인간도 이거랑 똑같다는 거예요. 맞는 것 같잖아요. 그러니까 저는 저도 제가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저도 제가 하는 말을 하는 애가 있고 듣는 애가 있는데, 듣는 내가, 하는 애는 무의식이고요. 듣는 애는 의식이라서, 듣는 내가 결정하는 것 같아요. 약간 그런 재밌는 생각도 좀 해봤습니다.
아날로그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우리는 모두 내로남불을 행한다. 따라서, 우리는 타인들의 내로남불만이 아니라, 타인과 나 자신 모두의 내로남불을 감시하고 따져 묻는 비판 정신을 유지해야 한다. 편안함은 물론 좋은 것이지만, 철학은 마냥 편안함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긴 안목으로 볼 때, 비판받지 않는 편안함, 곧 지나친 편안함은 결국 더 많은 문제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나는 ‘철학이 건강한 불편함을 지향한다’고 믿는다. 내가 쓴 이 책은 바로 이렇게 철학이 지향하는 건강한 불편함
책장 바로가기
아날로그
"나는 맞고 너는 틀리다"우리는 모두 내로남불을 행한다. 따라서, 우리는 타인들의 내로남불만이 아니라, 타인과 나 자신 모두의 내로남불을 감시하고 따져 묻는 비판 정신을 유지해야 한다. 편안함은 물론 좋은 것이지만, 철학은 마냥 편안함만을 추구하지 않는다. 긴 안목으로 볼 때, 비판받지 않는 편안함, 곧 지나친 편안함은 결국 더 많은 문제를 불러오기 때문이다. 나는 ‘철학이 건강한 불편함을 지향한다’고 믿는다. 내가 쓴 이 책은 바로 이렇게 철학이 지향하는 건강한 불편함
책장 바로가기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