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이 사람들의 삶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이 많습니다. 첨단기술이 우리 시대에 이르러 ‘좋은 삶’을 근본적인 차원에서 위협하게 됐다고도 생각하고요. ‘STS SF’라는 이름으로 그런 문제의식을 담은 소설집을 냈고, 앞으로도 꾸준히 작업할 예정입니다. 한중일 SF 작가들이 내는 STS SF 앤솔러지도 기획해서 올해 여름 출간 예정입니다.
STS는 오래된 개념이 아니고 정의나 경계도 모호합니다. STS를 ‘과학기술과 사회(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라고 받아들이는 이들은 과학기술이 일으키는 사회적 문제에 주목하고, ‘과학기술학(Sceince and Technology Studies)’이라고 풀이하는 그룹은 과학기술의 본성과 활동을 연구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고 하네요. 각각 STS1, STS2라고 구분하기도 하나 봅니다.
STS 관련 책들을 앞으로 꾸준히 읽으며 교양으로서나마 배우고 싶은데, 먼저 12주 동안 아래 책들을 빠르게 읽어보려고요. 안 읽은 책들이라 수준이 어떤지 장담 못하고, 상당히 딱딱해 뵈는 도서도 들어 있습니다(제가 읽은 책 중에서는 홍성욱 교수님의 『홍성욱의 STS, 과학을 경청하다』와 국내 학자들이 함께 쓴 『포스트휴먼이 몰려온다』, 『욕망하는 테크놀로지』를 추천합니다).
아래 일정으로 읽어보려고 합니다. 깊이 있는 토론을 하면서 읽을 거 같지는 않네요. 완독에 의의를 두고, 주로 전자책으로 읽으면서 기억하고 싶은 내용들을 기록하는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모임 기간은 보름씩으로 하되, 목표는 7일 동안 한 권씩 읽는 것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2주차~6주차는 브뤼노 라투르와 한스 요나스의 저작을 읽어볼 예정인데, 이게 좀 딱딱해요. 이 부분 건너뛰고 후안 엔리케스의 책부터 함께 해주셔도 좋습니다.
●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진행 중)
① (3/31~4/6) 과학에 도전하는 과학 (브뤼노 라투르 외)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458
② (4/7~4/13)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브뤼노 라투르)
다 읽었습니다. https://www.gmeum.com/meet/2479
③ (4/14~4/20) 판도라의 희망 (브뤼노 라투르)
읽는 중입니다. https://www.gmeum.com/meet/2501
④ (4/21~4/27) 젊은 과학의 전선 (브뤼노 라투르)
이 모임에서 읽습니다.
⑤ (4/28~5/4) 책임의 원칙 (한스 요나스)
⑥ (5/5~5/11) 기술 의학 윤리 (한스 요나스)
⑦ (5/12~5/18) 무엇이 옳은가 (후안 엔리케스)
⑧ (5/19~5/25) 과학자도 모르는 위험한 과학기술 (피터 타운센드)
⑨ (5/26~6/1) 미래는 더 나아질 것인가 (과학기술정책연구원 미래연구센터)
⑩ (6/2~6/8) 과학기술은 어떻게 세상을 바꾸는가 (윤태성)
⑪ (6/9~6/15) AI 윤리에 대한 모든 것 (마크 코켈버그)
⑫ (6/16~6/22) 대한민국 재난의 탄생 (홍성욱 외)
12주에 12권 함께 읽기 프로젝트를 2025년 1월 1일부터 해오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를 마쳤습니다.
● 12주에 채식 관련 책 12권 읽기 (완료)
① 채식의 철학 (토니 밀리건) https://www.gmeum.com/meet/2188
② 채식의 배신 (리어 키스) https://www.gmeum.com/meet/2213
③ 고기는 절반만 먹겠습니다 (브라이언 케이트먼) https://www.gmeum.com/meet/2239
④ 나의 친애하는 비건 친구들에게 (멜라니 조이) https://www.gmeum.com/meet/2255
⑤ 어떻게 먹을 것인가 (캐롤린 스틸) https://www.gmeum.com/meet/2269
⑥ 고기를 끊지 못하는 사람들 (마르타 자라스카) https://www.gmeum.com/meet/2284
⑦ 죽음의 밥상 (피터 싱어, 짐 메이슨) https://www.gmeum.com/meet/2312
⑧ 텀블러로 지구를 구한다는 농담 (알렉산더 폰 쇤부르크) https://www.gmeum.com/meet/2333
⑨ 먹히는 자에 대한 예의 (김태권) https://www.gmeum.com/meet/2349
⑩ 물건이 아니다 (박주연) https://www.gmeum.com/meet/2376
⑪ 비만의 사회학 (박승준) https://www.gmeum.com/meet/2404
⑫ 지속 가능한 삶, 비건 지향 (미지수) https://www.gmeum.com/meet/2420
12주에 STS 관련 책 12권 읽기 ④ 젊은 과학의 전선 (브뤼노 라투르)
D-29

장맥주모임지기의 말

장맥주
“ 과학은 두 얼굴을 가진다. 한 얼굴은 알고, 또 다른 한 얼굴은 아직 모른다. 우리는 그중에 조금 더 모르는 얼굴을 선택할 것이다. 내부자와 외부자는 모두,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에 필요한 성분들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가지고 있다. 우리는 과학을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가능한 한 거의 모르는 것으로 하자. 하지만 블랙박스는 언젠가 결국 닫혀야 하는데, 이 밀봉에 대해 우리가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모임이 시작되었습니다

장맥주
“ 이중나선 이야기의 마지막 부분은 마치 대통령 선거의 결선을 보는 듯하다. 이제 새 모델이 조립된 연구소에는 모든 경쟁자들이 방문하고, 구조의 여러 부분을 비판해 보다가 결국은 승복하고 구조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맹세한다. 브래그는 한편으론 조금 걱정이 되지만 세상 그 누 구보다 진지한 짐과 프랜시스가 이중 나선 구조를 면밀히 검토하였을 것이라고 믿는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아직 서문과 1장을 읽는 중인데.. 이전 책들보다 훨씬 더 이해하기 쉽네요.
이 글에 달린 댓글 1개 보기

장맥주
“ 과학자가 아닌 다른 일반인들은 과학과 과학의 견고함, 토대, 발달, 그리고 위험성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슬프게도, 그중에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에 흥미를 느끼는 사람은 찾아볼 수 없다. 그들은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이 드러내는 무질서한 혼합물을 두려워하며, 과학적 방식과 합리성이 보여 주는 질서 정연한 패턴을 더 선호한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장맥주
borumis님의 대화: 아직 서문과 1장을 읽는 중인데.. 이전 책들보다 훨씬 더 이해하기 쉽네요.
저도 가슴을 쓸어내리고 있어요. <판도라의 희망>보다 훨씬 낫네요.

borumis
1장에서 나온 GHRH의 논쟁에서 언급된 니콜라스 웨이드는 'The Nobel Duel'이라고 1977년 노벨의학상을 1/4씩 나눠 받은 Andrew Schally와 Roger Guillemin의 피터지는 과학 경쟁을 다룬 책인데 미국에서도 절판되었네요. 대신 비슷한 주제로 나온 책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이 한국에 번역되었네요. DNA 이중나선구조의 발견에 대해서도 백스토리가 많은 걸로 알고 있고 진화론도 다윈과 월러스가 누가 먼전지 논쟁이 끊이질 않았고... 하워드 마르켈의 '생명의 비밀'도 그렇고 과학학의 과학전쟁 뿐 아니라 과학은 언제나 전쟁이었던 것 같습니다.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 되풀이되는 연구 부정과 '자기검증'이라는 환상<뉴욕타임스> 과학전문 기자들의 생생하고도 집요한 보고서. 조작, 날조, 표절 등 과학에서 일어나는 기만행위를 통해 과학계의 실상을 구조적으로 파헤치는 책. 과학사에 나타난 여러 기만행위 사례를 통해 이런 과학관이 실상과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증명한다.

생명의 비밀 - 차별과 욕망에 파묻힌 진실지금까지 DNA 이중나선 발견의 역사는 왓슨의 회고록 『이중나선』에 의해 알려졌고, 그것이 정설이 되었다. 그러나 처음으로 역사학자가 밝힌 당시 연구자들 간의 노벨상을 향한 생생한 경쟁 과정, 거기서 벌어지는 왓슨의 연구윤리 위반 실태 등 그 진실이 낱낱이 드러난다.
책장 바로가기

borumis
The Nobel Duel에 대한 기사 링크입니다.
https://press.asimov.com/articles/nobel-duel
위의 타노스 밈만 봐도 과학계의 치열함과 허망함이 동시에 느껴지네요.
사람들이 서로 피터지게 싸우지 않게 그냥 AI한테 줘버릴까보다..


이 글에 달린 댓글 2개 보기

borumis
“ '만들어지고 있는 과학(science in the making)'을 주장하는 한쪽과 '기성 과학(ready made science)'을 주장하는 다른 쪽 둘의 모순된 의견을 동시에 듣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 ... 왼쪽 얼굴은 사실들과 장치들이 충분히 잘 확정된다고 여긴다. 오른쪽 얼굴은 이와 달리, 만들어지고 있는 사실들과 장치들이 언제나 충분히 확정되지 못한다[미결정적이다(under-determined)]라고 여긴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당신이 직면한 문제는 모두를 택하느냐 모두를 버리느냐를 택하는 것이고, 오로지 다음 근거에서만 판단되어야 한다고 본다. 이것(방법의 규칙, 원칙)이 다른 것들보다 더 많은 요소들을 이어 주는가? 이들은 외부자들이 과학과 기술을 더 깊게, 더 오래, 더 자주적으로 이해하도록 허용하는가? 이 점이 우리가 이 책으로의 여정을 시작하는 데 필요한 단 하나의 '메타 규칙', 즉 이 게임의 유일한 규칙이 될 것이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우리가 긍정적 양태(positive modalities)라고 부를 문장이란, 어떤 한 문장을 그 만들어진 조건에서 떼어 내서, 다른 귀결들이 자연스레 도출되게끔 그 문장을 확실한 것으로 만들어 주는 그런 종류의 문장이다. 부정적 양태(negative modalities)란 한 문장을 반대 방향으로, 즉 그 산출 조건 쪽으로 이끄는 문장이다. 부정적 양태는 어떤 한 문장이 다른 귀결들을 더 낳게끔 그 문장을 쓰지 않고, 대신 그것이 왜 견실한지 아니면 허약한지 자세하게 설명한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borumis
“ 한 문장은 다른 문장에 어떻게 삽입되는가에 따라서 더욱 사실(fact)에 가까운 것이 되거나 더욱 인공물(artefact)에 가까운 것이 되거나 한다. 어떤 주어진 한 문장은 그 자체로는 사실(fact)도 아니고 허구(fiction)도 아니다. 그것은 나중에, 다른 문장들에 의해 그렇게 된다. ”
『젊은 과학의 전선 - 테크노사이언스와 행위자 - 연결망의 구축』 브뤼노 라투르 지음, 황희숙 옮김
문장모음 보기
채팅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