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탐험단 다섯 번째 여정 <시나리오 워크북>

D-29
<배경 이야기란 이야기가 시작되기 하루, 일주일, 혹은 한 시간 전에 주인공에게 일어난 일이다.•••배경 이야기는 등장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일, 에피소드, 또는 사건이며, 그래서 그 인물은 정서적이거나 극적인 부담감을 가지고 첫 신이나 시퀀스로 진입한다.•••첫 신에 정서적 스트레스와 긴장감을 더할 수 있는 어떤 일이 등장인물에게 일어났는가? 무슨 일이었는가? 등장인물은 어떤 영향을 받았는가? 사고였는가? 말다툼? 어떤 긴급 상황? 무슨 일이었는가? 언재, 어떻게, 어디서 일어났는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등장인물에게 어떤 정서적 또는 신체적 영향을 미치는가?> 230~231쪽
<등장인물에 관한 강한 배경 이야기가 있다면 시나리오의 맨 처음, 즉 첫 페이지 첫 단어를 시작할 수 있다. 배경 이야기는 페이지의 첫 단어부터 스토리라인으로 뛰어들 수 있게 해준다. 효과적인 배경이야기를 쓰기 위해 몇 가지 기본 질문을 자문하자. - 이야기가 시작되기 하루, 일주일, 한 시간 전에 주인공에게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 그것을 묘사할 수 있는가? 분명히 나타낼 수 있는가? - 이 일이 첫 신에서 등장인물에게 감정적으로든 육체적으로든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32쪽
<배경 이야기는 첫 신이나 시퀀스를 구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그래서 작각가 첫 페이지부터 시나리오를 시작하게 해준다. 이야기가 시작되기 하루, 일주일, 혹은 한 시간 정에 주인공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열 펠이지를 넘기기 전에 독자를 사로 잡아야 한다.> 236쪽
<시나리오 선정 담당자로서 난 첫째 글이 활기찬지, 현재 시제로 쓰였는지, 간결하고 시각적으로 묘사되었는지 등 글을 쓰는 스타일에 주목했다. 스타일이 첫 페이지의 첫 단어부터 정립되어야 했다. 예를 들어 낡아빠진 건물에 대한 다음의 간단한 설명은 강렬하고 활기차고 시각적인 스타일을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밝은 햇살이 녹슨 양철 지붕의 구멍을 뚫고 들어온다. 흙바닥이 파여 있다. 플라스틱 시트가 드러난 깊은 구멍이 파헤쳐져 있다. 한쪽에는 사물함이 열려 있다"> 245~246쪽
<그 다음에 나는 첫 열 페이지 안에서 무엇에 관한 이야기인지 알아야 했다. 극적 전제는 무엇인가? 또한 그 이야기가 누구에 간한 것인지 알 필요가 있었다. 주인공은 누구인가? 이 질문에 관한 답을 알게 되면, 나는 사건과 등장인물들이 첫 몇 페이지 안에 '설정'되었는지, 그리고 강한 극적 맥락이 정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었다.> 246쪽
<세 번째로 정립되어야 할 것은 극적 상홍, 즉 행동을 둘러싼 환경이다. '차이나타운'에서는 극적 상황이 첫 열 페이지 안에 제시되고 논의된다. 로스앤젤레스는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으며 물은 희소 재화가 되었다. 제이크 기티스는 불륜을 의심받는 어는 유명인사의 부인이 고용한 사설탐정이고, 그녀의 남편은 엘에이 수력발전국장이다.>246쪽
<'차이나타운'에서는 주인공, 극적 전제, 극정 상황의 세가지가 모두 연관되어 있으며, 이 열 페이지 안에서 이야기를 설정한다. ...대본이 첫 열페이지 안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면, 즉 무슨 일이 벌어나고 있는지 내가 알지 못했다면, 나는 흥미를 잃고 읽는 것을 멈출 방법을 찾기 시작했다....필수적인 이야기 정보가 정립되도록 시나리오의 첫 열 페이지를 설정하는 것은 시나리오 작가의 책임이다. 이 첫 열페이지는 상상력을 가지고 능숙하고 간렬하게 설계해야 한다.>246~247쪽
<첫 열 페이지 안에서 세가지 주요 요소를 설정하고 정립해야 한다. 첫째, 누구에 관한 이야기인가, 즉 누가 주인공인가? 둘째, 극적 전제는 무엇인가, 즉 무엇에 간한 이야기인가? 셋째, 극적 상황은 무엇인가, 즉 행동을 둘러싼 상황이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이야기가 시작되면 주인공에게 어떤 힘이 작용하고 있는가? 이 세가지 요소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지 결정하면 첫 열페이지를 극적 행동의 한 단위 또는 토막으로 설계하고 구조화할 수 있다.> 247쪽
<오프닝 신이나 시퀀스를 시작, 중간, 결말의 개별적이고 뚜렷한 부분들로 구조화한다.>248쪽
<신은 숏으로 이루어져 있고 장소와 시간이라는 두 가지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둘 중 하나를 바꾸면 새로운 신이 필요하다.>248쪽
<매 신은 대개 한 가지를 다루는데, 이야기를 진전시키거나 주인공에 대해 알아야 할 것을 드러내기 위해 필요한 한 가지 정보를 담는다. 시나리오 요어오 이룰 누설reveal이라고 한다. 각 신하다 하나의 수설이 여러분을 그것이 무엇인지 규정할 수 있는가? 행동이나 등장 인물을 통해 드러나는? 등장인물은 인간적이고 도덕적인 행동을 통해 자신이 누구인지를 드러낸다. 성격묘사는 등장인물이 어떻게 옷을 입고, 어떤 차를 운전하고, 어디에 살고, 예술, 패션, 음악에 대한 취향이 어떤지 등 자신을 세상에 나타내는 방식이다. 그것은 모두 그들이 누구인데에 대한 표현이다.>254쪽
<신을 쓸 때 도움이 되는 좋은 요령이 있는데, 늦게 들어가서 일찍 나오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자가 누군가를 인터뷰한다. 시작 부분은 기자가 인터뷰를 준비하고 인터뷰 장소에 도착하는 것을 보여준다. 중간 부분에서는 인터뷰 대상과 인사를 나누고, 서로 편안해지고, 녹음기를 꺼내고, 인터뷰를 시작한다. 끝 부분은 인터뷰를 마무리하고, 짐을 꾸리고, 상대에게 감사 인사를 하고, 코트를 입고, 문으로 걸어가다가, 갑자기 무언가를 기억해내고, 돌아서서는 "아 ㄱ, 그런데 마지막 질문 하나가 있느네"라고 말하는 것이다. 이것이 이 가상의 신의 시작, 중간, 결말이다....신에 들어가기 가장 좋은 곳은 가능한 한 마지막 순간, 즉 기자가 "아, 마지막 질문 하나가 있느네"라고 묻는 누설 직전이다. 그 전에 일어나는 불피료안 일들을 모두 생략하고 신에서 밝혀져야 할 것에 집중할 수 있기 때문에 그곳이 신에 들어가기 가장 좋은 지점이 될 것이다. 늦게 들어가서 일찍 나온다.>254~255쪽
<신이나 시퀀스에서 가장 흥미로운 부분을 선택하고, 그것을 첫 신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독자를 사로잡아야 한다. 첫 신을 클로즈 숏close shot들로 처리할 것인가, 아니면 식당이나 거실처럼 전체 로케이션의 마스터 숏master shot으로 처리할 것인가? 여기서 의도는 신이나 시쿠너스가 가장 효과적으로 작동하도록 최대의 극적 가치를 지닌 최고의 시각적 인상을 만드는 것이다.>256쪽
<첫 번째 열 페이지에 지나치게 힘을 쏟아부은 탓에, 두 번째 열 페이지에서는 갈피를 잡지 못하는 것 같았다. 오프닝을 '홀가분하게' 벗어나기 위해서 이야기와 맞든 안 맞든 정교한 신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강박 관념'에 사로잡혀 있는 것 같았다.> 267쪽
<이 두 번째 행동 단위에서 등장인물이 어떤 사람인지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어느 하루'를 통해 그를 따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알아냈다. 영화는 행위이므로 등장인물의 특성과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스토리라인의 극적 힘을 가지고 그의 일상을 따라간다면 그가 누구인지 더 잘 이해하기 시작할 수 있다.> 268쪽
<극적 전제의 관점에서 행동이 얼마나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는지를 보고 나서 주인공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두 번째 열페이지를 위한 꽤 훌륭한 '법칙'임을 알게 되었다. 주인공은 이 두 번째 열 페이지의 거의 모든 신에 등장해야 한다. 첫 열 페이지를 사용하여 이야기가 무엇에 관한 것이고, 누구에 관한 것인지를 설정하고 정립한다면, 다음 열 페이지 분량의 극적 행동 단위는 주인공이 어떤 사람인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269쪽
<첫 번째 열 페이지는 등장인물, 극적 전제, 극적 상황을 설정한다. 두 번째 열 페링지는 등장인물과 그의 관계를 확장하고 아마 그의 일상에서 그를 보는 데 초점을 맞춘다.> 271쪽
<그냥 스스로에게 물어보자. "다음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다음 신이나 신들로 안내할 수 있는 마법의 단어들이다. 페잊니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새로운 신을 처음 시작했던 곳으로 돌아가서 거기서부터 앞으로 나아가자.> 272쪽
<패러다임에 맞춰 아이디어를 구조화한 다음 구성점이 바뀌었을 수도 있다. 구조는 바람에 휘어질언정 꺽이지 않는 나무처럼 유연하다. 구성점이 스토리라인상에서 앞이나 뒤로 밀려서 바뀌는 경우가 종종 있으니, 구정점 I이나 구성점 II가 무엇인지에 대한 최초의 생각을 고수하려 하지 말자. 이야기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해야 할 일을 하자.> 273쪽
<('보통 사람들'의 경우) 첫 번째 열 페이지에서 우리는 문제가 있다는 것을 보고, 두번째 열 페이지는 무엇이 문제인지 규정하고, 세 번째 열페이지에서 우리는 문제가 무엇인지 이해하게 된다.> 278쪽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도서증정][작가와 함께]그리하여 사람은 사랑에 이르다-춤.명상.섹스를 통한 몸의 깨달음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그믐클래식] 1월부터 꾸준히 진행중입니다. 함께 해요!
[그믐클래식 2025] 한해 동안 12권 고전 읽기에 도전해요! [그믐클래식 2025] 1월, 일리아스 [그믐클래식 2025] 2월, 소크라테스의 변명·크리톤·파이돈·향연[그믐클래식 2025] 3월, 군주론 [그믐클래식 2025] 4월, 프랑켄슈타인 [그믐클래식 2025] 5월, 월든[그믐클래식 2025] 6월, 마담 보바리 [그믐클래식 2025] 7월,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7월 23일 그믐밤 낭독은 <리어 왕>
[그믐밤] 37. 달밤에 낭독, 셰익스피어 3탄 <리어 왕> [그믐연뮤클럽] 3. "리어왕" 읽고 "더 드레서" 같이 관람해요
수북탐독의 재미, 다시 한 번 더!
[📚수북플러스] 3. 깊은숨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2. 귀하의 노고에 감사드립니다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우리가 몰랐던 냉전의 시대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4. <소련 붕괴의 순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3. <냉전>[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6. <마오주의>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김영사/책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기★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개정증보판》[도서 증정] 내일의 고전 <불새>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1인출판사 대표이자 편집자와 책읽기[도서 증정] <먼저 온 미래>(장강명) 저자,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
바쁘지만 책은 읽고 싶어 by Oncoazim
올해 가을엔 산에 가야지 머리는 차갑게 좋아하는 것들을 찾기
극과 극은 통한다!
[도서증정][김세진 일러스트레이터+박숭현 과학자와 함께 읽는]<극지로 온 엉뚱한 질문들>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9. <호라이즌>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서리북 아시나요?
<서리북 클럽> 두 번째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여름호(18호) 혼돈 그리고 그 너머서울리뷰오브북스 북클럽 파일럿 1_편집자와 함께 읽는 서리북 봄호(17호) 헌법의 시간 <서울리뷰오브북스> 7호 함께 읽기
문풍북클럽의 뒷북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7월의 책 <혼모노>, 성해나, 창비[문풍북클럽] 6월 : 한 달간 시집 한 권 읽기 [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5월의 책 <죽이고 싶은 아이 1,2권>[문풍북클럽] 뒷BOOK읽기 : 4월의 책 <예술도둑>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