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78쪽에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양반 족보를 사서 가짜 양반 행세를 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양반이 뭐라고 가짜 행세까지 해야 하나 싶다. 라는 문장이 조금 이상한 듯 해 문의 드립니다... '행세'가 사전적으로는 해당되지 아니하는 사람이 어떤 당사자인 것처럼 처신하여 행동함. 또는 그런 짓. 이라는 뜻인데 진짜 양반 행세로 쓰는게 더 맞지 않았을가 싶어용...ㅠㅠ
[세창출판사/ 도서 증정] 편집자와 함께 읽는 한나 아렌트가 필요 없는 사회
D-29

ㅌㅈ

woojoo
양반행세......
양반 족보를 사고팔던 그렇게 양반 '행세'하던 문화가 최근에는 또다른 방법으 로 신분 상승을 꿈꾸는 듯 싶어요 ... 결혼제도를 이용한 신분상승 ( 앗, 이것은 행세가 아니라 '신분' 상승?일지도요 ㅎㅎㅎ)
둥둥둥둥둥
요즘 들어 읽는 책들에서 한나 아렌트 얘기가 주석으로 많이 달리기에 궁금했던 인물이었습니다. 제목부터 궁금해요! 한나 아렌트다 필요없는 이유가 무엇읽지 읽고싶어 신청합니다!!

제제도서관
“ 자유가 필요한 이유는 정치적이든 사회적이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다. 다른 사람의 삶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충분히 행복해질 수 없다. 다만 각자 자기 방식대로 최선을 다해 의미있는 삶을 산다면 그 사회 역시 의미있는 사회가 될 것이다.
”
『한나 아렌트가 필요 없는 사회』 p. 34, 윤은주 지음
문장모음 보기

woojoo
다른 사람의 삶을 인정하는 태도!!
한나 아렌트 선생님은 하이데거의 존재론 철학을 비판적으로 계승하면서 공적인 영역으로 끌고 온 분!!!
함께의 의미를 강조하셨으니 이는 곧, 다른 사람의 삶을 인정해야한다는 문장의 의미이기도 합니다

바닿늘
“ 교양 철학에서 이데아를 강의할 때면, 진짜 사과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사람들에게'진짜 사과를 본적이 있는가?'라고 물으면 다들 대답하길 주저한다. 빨간 사과를 직접 보여주면서 질문하면 모두 난감한 표정을 짓는다. 손에 든 사과가 진짜가 아니면 무엇이 진짜란 말인가? 아침 식사로 사과를 먹고 나왔는데, 그럼 내가 먹은 것은 사과가 아닌가? 진짜라는 수식어를 붙이면 모두 당황해한다. 진짜 사과, 진짜 삼각형. 그럼 진짜 나는? 진짜가 붙으면 참 어렵다. ”
『한나 아렌트가 필요 없는 사회』 p. 48, 윤은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바닿늘
“ 플라톤 전공자들이 들으면 뭐라고 하겠지만, 쉽게 다가갈 수 있게 설명하자면, '진짜 사과'의 이데아는 사전에 나온 단어 설명이다. 사과는 생김새도 다르고 종류도 많다. 같은 사과면서 다양한 사과다. 그런데 사과의 이데아는 하나다. 하나를 적용하면 이것은 사과고 저것은 사과가 아니라고 구분할 수 있다. 그래서 진짜 사과는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있는 가시적인 것이 아니라 가지적인 이성의 결과이다. ”
『한나 아렌트가 필요 없는 사회』 p. 49, 윤은주 지음
문장모음 보기

바닿늘
요즘 한 번씩 느끼는 부분인데..
진짜 괜찮은 사람 알아보는 것은 진짜 어렵습니다. 😳

바닿늘
그에 비해 가짜인 사람을 알아보는 것은..
상대적으로 쉬운 것 같습니다. 🧐
(특히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는 가짜일 확률이 정말 높다고 생각합니다.)

woojo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