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걸상 함께 읽기] #1.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D-29
제가 궤변을 잘 만들어내는 사람이라는 사실을 작가가 되고 나서 깨달았습니다. 그런데 궤변을 잘 만들어내려면 상당한 창의력이 필요하더라고요. 험험... 동지에는 팥죽, 어린이날에는 맛 좋은 궤변이 딱이죠!
오우...좀전에 이부분을 읽고 표시하고 넘어갔는데, 여기서 이렇게 만나니 약간 소름이. ^^
지식이나 취향에 관해서도.. 일이 아니라 취미나 재미로 알게된 것들에 대해서, 나만큼 모르는 이가 있을 경우 잘 가이드를 해주거나 살짜쿵 잘 언급하는 정도면 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할때가 있습니다. 나는 아는 그것을 모르는 사람들도 내가 모르는 그들 나름의 방식으로 그것을 즐길수도 있는거니까요. "앎"이 누군가를 섣부르게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건.. 왠지 아닌것 같아서요.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은 제가 내년에 내려는 SF 소설집 "저희도 운전 잘합니다" 수록 예정작입니다. 표제작은 지금 열심히 쓰고 있네요. 내년에 제가 책을 여러 권 낼 계획인데, 그 중 한 권입니다.
아, 소설집 제목이 정해졌군요. 저는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을 표제작으로 가도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저희도 운전 잘합니다"는 발표한 지면 찾아서 읽어봐야겠네요. (그런데 여전히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이 "저희도 운전 잘합니다"보다 더 강렬합니다.)
아, 소설집 제목 아직 안 정해졌고 그냥 제가 혼자 부르는 프로젝트명(?)입니다. 오해가 있게 썼네요. 죄송합니다. 수록작을 10편으로 하려는데 초단편도 몇 편 있고 좀 짧은 단편도 있어요. 한데 "저희도 운전 잘합니다"는 중편 분량이 될 거라서 그냥 그걸 임시로 표제작으로 삼았습니다. 나중에 편집부에서는 어떤 의견을 주실지 모르겠어요.
여하튼 이른바 '경이감'보다는 금방이라도 도입될 거 같은, 그다지 대단한 것 같지 않은 기술이 사회와 개인에게 미묘한 영향을 미치는 풍경을 묘사하려 합니다. 저 개인적으로는 이 글들을 'STS(과학기술사회학) SF'라고 불러도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도 물론 그런 SF가 있었지만 뾰족한 이름을 붙여줘도 좋을 거 같아서요. '썸'이라는 표현이 등장하기 전에도 친구 이상 연인 이하의 관계는 있었지만 '썸남, 썸녀'라는 단어가 생기니 어떤 상태를 더 정확하게 표현하게 되었지 않습니까?
제가 지금 SF를 STS로 읽기, 이런 콘셉트의 책을 하나 준비 중이거든요. 장 작가님은 STS SF를 쓰시고, 저는 SF를 STS로 읽고. 이런 게 분업이겠죠? (소설집 기대됩니다!!!) 장 작가님, 이제 SF 흑역사를 부끄러워하지 않으셔도 될 것 같아요. :) (놀리는 것 절대 아님!!!)
오, 이렇게 작은 장르가 탄생하는 건가요? STS로 SF 읽기 기대됩니다. 저의 SF 흑역사는 클론... 쿨럭...
와우 SF를 STS로 읽기! 기대됩니다^^
"저희도 운전 잘합니다"는 근미래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집입니다. 과학기술이 인간의 현실 감각이나 윤리 의식, 노동과 성, 예술에 관련된 인식이나 제도, 풍습을 변질시키는 모습을 포착하려고 합니다.
기대가 됩니다 ~~
모두들 환영합니다. 장 작가님께서 활약하셔서 오전에 잠시 딴일 하고 들어왔다가 깜짝 놀랐어요. :) 이런 수다 좋습니다. 그리고 혹시 저랑 <사랑의 이해> 드라마 보시면서 책얘기 하실 분들 있으실까요? 다섯 분 이상 되시면 [책걸상 함께 읽기] 번외편으로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
오, YG님, "사랑의 이해" 드라마 보시는군요! 모임 여시면 동참하고 싶습니다. TMI로, YG님 덕분에 "환혼" 보고 있어요 ^^
저도 사랑의이해 책도 보고 드라마도 1편은 봤어요~ 모임 결정된다면 참여할게요. 근데...저는 환혼 모임이 더 좋은데...^^;;; ㅎㅎㅎ
사랑의 이해 저도 이혁진 작가님 책 나왔을 때 바로 읽었는데 드라마로 만들어진 줄은 몰랐네요. 환혼은 강화도 '국자와주걱' 책방에서 네 번째 그믐밤 할 때 본격 독서토론 전에 어색함을 떨칠겸 참가자들끼리 최근에 본 재밌는 콘텐츠 소개하는 시간을 가졌는데 그 때 참석하신 김금숙 작가님께서 이 드라마 소개해 주셔서 적어놓았거든요. 근데 드라마를 원체 안 보니 제목을 '황혼' 이라고 듣고 써놨네요. 아래는 그 때 다른 분들이 소개해주신 콘텐츠들인데 생각난 김에 공유해 봅니다.다. ^^ https://www.gmeum.com/meet/196#8886
"환혼" 모임 좋아요! (두눈 반짝 +.+)
작가님 페북보고 부랴부랴 신청했습니다.. 잘 읽어보겠습니다 ㅎㅎ
헉... 닉네임이... 왠지 경건해집니다. 환영합니다. ^^
작성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
[책나눔 이벤트] 지금 모집중!
[김영사/책증정] 왜 협상 가능한 세계에서 총을 겨눌까? 《우리는 왜 싸우는가》 함께 읽기[도서 증정] 작지만 탄탄한 지식의 풍경, [출판인 연대 ‘녹색의 시간’] 독서 모임[그믐앤솔러지클럽] 2. [책증정] 6인 6색 신개념 고전 호러 『귀신새 우는 소리』[도서 증정] 《조선 궁궐 일본 요괴》읽고 책 속에 수록되지 않은 그림 함께 감상하기![책 증정] 호러✖️미스터리 <디스펠> 본격미스터리 작가 김영민과 함께 읽기
💡독서모임에 관심있는 출판사들을 위한 안내
출판사 협업 문의 관련 안내
그믐 새내기를 위한 가이드
그믐에 처음 오셨나요?[메뉴]를 알려드릴게요. [그믐레터]로 그믐 소식 받으세요
버지니아 울프의 네 가지 빛깔
[그믐밤] 28. 달밤에 낭독, <우리는 언제나 희망하고 있지 않나요>[서울외계인] 버지니아 울프, 《문학은 공유지입니다》 읽기<평론가의 인생책 > 전승민 평론가와 [댈러웨이 부인] 함께 읽기[그믐연뮤클럽] 7. 시대와 성별을 뛰어넘은 진정한 성장, 버지니아 울프의 "올랜도"
전쟁 속 여성의 삶
[도서 증정] <여성과 전쟁: 우크라이나 소설가의 전쟁일기> 번역가와 함께 읽어요.[책걸상 함께 읽기] #47. <전쟁은 여자의 얼굴을 하지 않았다>
밀리의 서재에 있는 좋은 책들
[밀리의 서재로 📙 읽기] 27. 데미안
좋은 스토리의 비밀을 밝혀냅니다
스토리 탐험단 8번째 여정 <살아남는 스토리는 무엇이 다른가>스토리탐험단 7번째 여정 <천만 코드>스토리탐험단 여섯 번째 여정 <숲속으로>
문화 좀 아는 건달의 단상들
설마 신이 이렇게 살라고 한거라고?그믐달자연의 일부일 뿐이라는 생각
믿고 읽는 작가, 김하율! 그믐에서 함께 한 모임들!
[📚수북플러스] 4. 나를 구독해줘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책증정 ]『어쩌다 노산』 그믐 북클럽(w/ 마케터)[그믐북클럽] 11. <이 별이 마음에 들어> 읽고 상상해요
현암사 80주년 축하해 주세요 🎉
[도서 증정] <이달의 심리학> 편집자와 함께 읽어요!![현암사/책증정] <코끼리는 암에 걸리지 않는다>를 편집자, 마케터와 함께 읽어요!
퇴근의 맛은 두리안 ?!
[도서 증정] 소설집『퇴근의 맛』작가와 함께 읽기[📚수북플러스] 1. 두리안의 맛_수림문학상 작가와 함께 읽어요
🎁 여러분의 활발한 독서 생활을 응원하며 그믐이 선물을 드려요.
[인생책 5문 5답] , [싱글 챌린지] 완수자에게 선물을 드립니다
이렇게 더워도 되는 건가요?
[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25. <일인 분의 안락함>기후위기 얘기 좀 해요![책걸상 '벽돌 책' 함께 읽기] #11. <화석 자본>무룡,한여름의 책읽기ㅡ지구를 위한다는 착각
모집중밤하늘
내 블로그
내 서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