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소설 안에서 에이전트의 작동방식은커녕 생김새도 설명하지 않거든요. 별 생각도 안 나고, 그런 설명이 없는 편이 오히려 더 진짜 같아 보이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스필버그가 영화 "죠스"를 찍다가 로봇 상어 모습이 부자연스러워 보여서 그냥 상어 모습을 최대한 안 보여주는 방식을 택했다는데 저도 비슷한 전략이었습니다. 한편으로는 지금 한국 소설가들이 소설에서 안경의 원리나 형태에 대해 묘사하지 않듯이 에이전트가 자연스러운 세상에서 사는 1인칭 화자는 그런 묘사에 얽매이지 않을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책걸상 함께 읽기] #1. <당신이 보고 싶어하는 세상>
D-29

장맥주

챠우챠우
네, 그래서 더 현실감있게 읽혔던 것 같습니다. 그래야 저같은 독자도 이것저것 상상해보게 되고요.

YG
우리 방송에서 멋진 가능성 이야기했잖아요. 이 소설이 정말 전 세계적으로 유명해져서, 혹시 소설과 같은 증강 현실 디바이스가 나오면 이름은 '에이전트'로 하기로.

장맥주
윌리엄 깁슨은 사이버스페이스, 닐 스티븐슨은 메타버스, 장맥주는 에이전트!

장맥주
나란히 적으니 에이전트가 뭔가 임팩트가 없는데... 이거 단 행본 나올 때 이름을 바꿀까요? 신조어로? 어떤 명칭이 좋을까요?

YG
어쭙잖게 아이디어를 말씀드리자면, '옵티(Opti)' 어때요? 저는 소설 읽으면서도 '에이전트'보다 '옵티마이저'가 더 적합하지 않아? 이런 생각했었거든요. 현실을 자기한테 맞춘다는 의미도 있고, 옵티미스트-세상을 낙관적(?)으로 보게하는 장치니까요. :) 장강명의 '옵티'!

장맥주
오, 옵티 좋은데요? 옵티... 옵티전트? 옵티머? 옵티어? 옵티아이? 만약 옵티로 명칭을 바꾸게 되면 YG 기자님 아이디어라고 책에 명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챠우챠우
장작가님이 이 작품으로 심훈문학상을 받으시고 한 인터뷰 영상입니다. 장작가님은 소설을 읽은 뒤에 검색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독서습관이라고 말씀하신 적이 있는데, 저는 그게 버릇이라 재미있는 책을 읽으면 꼭 관련된 내용을 검색해보곤 합니다. https://youtu.be/km4SUs5JRZc

장맥주
컥... 감사합니다. ^^ 아마 심훈문학대상 시상식 직후에 심훈기념관에서 찍은 영상 같네요.

장맥주
ㅋㅋㅋㅋㅋㅋ 저는 사실 대화만 활발해지면 환혼 얘기도, 사랑의 이해 얘기도, 환승연애 얘기도 좋습니다. 환혼은 부모님 댁에 가서 5분쯤 봤는데 한국에서 그런 소재로 대중 드라마가 나와서 인기를 모은다는 게 신기하더라고요. 도깨비나 별에서 온 그대가 대박을 쳤으니 이런 감상조차 새삼스러운 걸까요. 그런데 그와 별도로 YG 기자님이 환혼을 좋아하시는 것도 너무 예상 밖이어서 신기합니다. ^^

진공상태5
저는 YG님이 아니었으면 "환혼"을 보지 않았을수도 있는데요, 저도 신기하다는 생각이 들어요. 결국 사람들에게는 판타지가 필요한 건가? 라는 생각도 들구요. 별에서온그대, 도깨비, 호텔델루나, 환혼까지.. 뭔가 인기가 많은 판타지 드라마들에 어떤 힘이 있는건지.. 궁금해집니다 ^^

Nana
@YG 님이 말씀하신 가상현실 같은 것이 아닐까요? 친구가 너무 현실적인 드라마는 보면서 스트레스 받으니 보고 싶지 않아서 주로 판타지와 로맨틱 코미디를 본다고 하더라구요. 그 말을 듣고 보니 저도 그런 맥락에서 드라마를 보는 경우가 많다는 것을 깨달았답니다. 아 그래도 현실을 직시하는 힘이 필요한데…🙄

진공상태5
오, 나나님 말씀 일리 있는 듯! "환혼"의 세계에도 어둠이 있지만, 판타지의 세계니까 극이 진행되는 재미? 정도로 느껴지는 것 같아요. 그런데 "사랑의이해"는 지금 대한민국의 현실? 지금 내가 살고 있는 세계의 한 단면을 그린 드라마이다보니까 뭔가 꼬인 부분이 나올때, 아.. 왠지모를 피곤함이 좀 느껴지더라구요. 나랑 너무 멀지 않은 이야기라 그런가봐요. 아마 그래서 제가 "작은아씨들" 드라마를 피곤할까봐 한참을 안보다가 어느 주말에 드디어 정주행을 했었던건가봅니다.
이혜민
무슨 말씀인지 저도 알아요. 공감해요. 어차피 내가 지금 겪는 이야기인데 또 피곤하게 봐야되나 싶은 생각이 드는 소설이나 드라마가 있죠...그리고 막상 보면 또 되게 비현실적이기도 해서 더 괴리감 느껴지고 싫더라고요...같은 주제라도 어떻게 다루느냐가 그래서 중요한 거 같 아요. 저는 장작가님하고 김희선작가님 소설을 좋아하는데, 현실적인 이야기를 비틀어서 비현실적으로 너무나 재밌게 표현하는데, 실제 일어날 법하다는 몰입감도 충분히 느낄 수 있고, 결국은 현실을 다시 생각하게 해주거든요. 재미와 의미를 모두 잡은 거죠 ㅎㅎㅎ 기본적인 진실함에 약간의 능청스러움..그런 게 있는 소설이 좋더라고요. 갑자기 고독사워크샵이 뜬금없이 생각나네요. 지금 전자책으로 몰입해서 읽는 중~~ 비현실적인데 현실감 가득하고 문장도 맛깔납니다^^

진공상태5
오, 고독사워크샵! 그거 책걸상 카페에서 함께읽기하고 줌미팅도 했었는데요, 와.. 그때 줌미팅에서 독지가님들이 해주시는 이야기들이 어찌나 좋던지요.. 즐독 하세요, 이혜민님 ^^

장맥주
저도 그런 이유로 한국 영화를 잘 안 봅니다. 기생충도 부산행도 안 봤어요. 영화를 볼 때는 그냥 현실을 잊고 싶어서요. 그런 용도로는 마블 영화가 딱이더라고요.

책읽는나랭이
<당신이 보고싶어 하는 세상> 구입하려고 집앞영풍문고에 갔는데 재고 없음 이에요. 주문 구매 해야겠어요. 얼릉 읽고 책이야기에 참여하고 싶어요. SF 좋아해서 더 기대가 됩니다.

장맥주
와. 감사합니다. 아시아출판사에서 이 글들 보면 무지 좋아할 거 같습니다. 막 엄청나게 나 SF입니다 하는 글은 아니고, 그냥 어떤 아이디어 하나를 재미있게 풀어봤습니다. 마음에 드셨으면 좋겠네요. ^^
작성
게시판
글타래
화제 모음
지정된 화제가 없습니다